• 제목/요약/키워드: 항우울작용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2초

우울증과 항우울작용에 관한 p11(S100A10)의 역할 (Role of p11 (S100A10) in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Effects)

  • 박성우;서미경;이정구;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3권1호
    • /
    • pp.24-28
    • /
    • 2016
  • p11 protein (S100A10) is downregulated in depressive-like states of human and rodent. Antidepressant drug treatment increases p11 levels in rodent models. We reviewed studies demonstrating that p11 levels are regulated in depression and by antidepressant treatment and that p11 upregulation exerts antidepressant effects. Current studies on p11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11 as a potential antidepressant target.

강제수영실험을 통한 산청목의 항우울효과 (Antidepressant Effect of Acer tegmentosum Maxim on Forced Swimming Test in the Rat)

  • 진병문;이길현;현경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39-6745
    • /
    • 2014
  • 은행속에 속하는 산청목은 중국과 한국 북동부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자생 식물로 전통적으로 항염증제로 사용되었으며 현재까지 항우울에 대한 효능과 그에 대한 면역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실에서는 100, 200, 그리고 400 mg/kg 농도의 산청목추출물을 실험쥐에게 경구투여를 실행하였으며 강제수영실험을 통하여 항우울효과를 평가 그리고 혈 중 코티솔, ACTH, 그리고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쥐에 경구투여한 산청목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제수영실험에서의 행동불능시간이 감소하였으며 수중공포에 의해 분비유도된 사이토카인 농도 또한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코티솔, IL-6 과 $IL-1{\beta}$농도가 산청목 투입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산청목 경구투여군에서의 부동시간의 감소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저하를 종합하여 볼 때 산청목의 항염증 효능으로 인한 작용에 의하여 강제수영 실험에서 항우울효과가 발현했다고 간주된다.

감맥대조탕 복합추출물의 만성스트레스 유발 생쥐의 항우울 작용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Depressant Effects of Gammakdaejo-tang Complex Extracts in Rats Induced with Chronic Mild Stress)

  • 이유찬;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68
    • /
    • 2018
  • Objectives: To experimentally assess the anti-depressant effects of Gammakdaejo-tang Complex Extracts (GMDJ-Tang) in rats. Methods: Twenty Wistar Hannover (160~170 g) stressed ra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MDJ-Tang extracts i.e., 0, 62.5 mg/kg, 125 mg/kg, and 250 mg/kg. Chronic mild stress was induced by food deprivation, empty bottles, forced swimming, flickered light, tilt cages, shaking cages, high density breeding, water deprivation, and by soaking the litter cover according to fixed schedule. Blood and brain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or biochemical analysis. Tests included serotonin and ELISA assays. Results: GMDJ-tang increased the weight of treated rats as well as levels of serotonin, BDNF and TrkB;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contrast, the extracts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glucose in stressed rats. GMDJ-tang extract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Serum AST, ALT, leukocytes, erythrocytes and thrombocytes when comparing treatment groups to control rats. Likewise, hemoglobin, hematocrit and PLT increased in treatment groups following treatment with GMDJ-tang, but this change was without significa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MDJ-tang can alleviate chronic mild stress in rats, possibly through anti-depressant activity.

para-Chloroamphetamine에 유도된 흥분작용에 대한 항우울 약물 Tricyclic Isoxazole 유도체들의 3D-QSAR 분석 (3D-QSAR Analysis of Antidepressant, Tricyclic Isoxazole Analogues against para-Chloroamphetamine-induced Excitation)

  • 최민성;성낙도;명평근
    • 약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91-97
    • /
    • 2011
  • To search a new anti-depressant agents against para-chloroamphetamine-induced excitation, three dimensional quantitative-structure relationships (3D-QSAR) models between structure of 3a,4-dihydro-3H-[1]-benzopyronao[4,3]isoxazoles (1-30) and thi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ra-chloroamphetamine-induced excitation were performed and discussed quantitatively using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and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ity indices analysis (CoMSIA) methods. From these basis on the findings, the optimized CoMSIA-2F model ($q^2$=0.793 and $r^2$=0.952) showed the best statistical results. And also, it is found that the para-chloroamphetamine inhibitory activity from the optimized CoMSIA-2F model was dependent on steric field (35.2%) and electrostatic field (64.8%) of tricyclic isoxazoles. Particularly, it is predicted that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ra-chloroamphetamine-induced excitation will be able to increase by the designed compounds from the CoMSIA-2F model.

숙지황 추출물의 항염증 작용을 통한 항우울 효과 (The Anti-depressive Effe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via Anti-inflammatory Activity)

  • 김응선;정명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9-111
    • /
    • 2022
  • Objectives: Rehmanniae Radix Preparata (RRP)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to treat gynecology and endocrine diseases. Recently, studies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RP have been reported, so it was judged that RRP extracts would have an anti-depressive effect. Methods: We investigated the anti-neuroinflammatory and anti-depressive effect of RRP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depression and LPS-stimulated BV2 microglia. RRP inhibited the LPS-stimulated excessive release of nitrite in the BV2 cells. RRP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IL-6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Results: RRP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PS-induc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s) and nuclear factor (NF)-𝜅B activation. In addition, administration of RRP not only inhibited the immobility time in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but also increased the total travel distance in the open field test (OFT). Also, RRP inhibited the elevation of TNF-alpha, IL-1beta, and IL-6 in brain of LPS-injected mic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overall results, our study showed that RRP exhibited the anti-neuroinflammatory and anti-depressive activities via deactivation of MAPKs and NF-𝜅B.

만성 스트레스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의 항우울 효과 (The Anti-depressiv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Chronic Mil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정지혜;최창민;서윤정;조한백;김송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7
    • /
    • 2013
  • 목 적: 본 연구는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갱년기 우울증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SGH)의 항우울 효과를 검증하여 실험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4주간 만성 스트레스를 가하고 SGH(100 and 400 mg/kg/day)를 투여한 후 행동검사인 sucrose intake test(SIT), elevated plus maze(EPM), forced swimming test(FST) 및 Morris water maze test(MWMT) 등을 통한 우울행동 변화와 혈청 corticosterone(CORT), IL-$1{\beta}$ 및 IL-4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또한 뇌 내 hippocampus와 hypothalamus에서 5-H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SIT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자당 섭취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2. EPM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open arms에 머무는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open arms와 closed arms를 교차하는 횟수도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FST에서 SGH 100 mg/kg/day, 400 mg/kg/day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시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SGH 100 p<0.05, SGH 400 p<0.01). 4. MWMT에서 SGH 100 mg/kg/day, 400 mg/kg/day 투여군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 4일째에서 acquisition trials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단축되었고(p<0.05),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retention trials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CORT와 IL-4 측정에서 대조군과 SGH 투여군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IL-$1{\beta}$ 측정에서 대조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SGH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6. Hippocampus에서의 5-HT 측정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Hypothalamus에서의 5-HT수준은 SGH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SGH 100 p<0.05, SGH 400 p<0.01). 결 론: 이상의 결과로 SGH는 만성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서 항우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HPA axis, immune system 보다 5-HT system에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교감단이 우울행동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yogam-dan on Depression and Immunity on Repeate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정현철;김송백;서윤정;조한백;최창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32
    • /
    • 201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의 흔한 질환인 갱년기 우울증의 모델로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를 설정하고 교감단이 쥐의 항우울 행동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표보고자 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2주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교감단(100 mg/kg, 400 mg/kg)을 경구 투여한 후 행동검사로 Elevated plus maze, Forced swimming test를 실시하였고, 혈액검사로 혈청 corticosterone, IL-$1{\beta}$와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뇌내의 IL-$1{\beta}$와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Elevated plus maze에서 교감단 100 mg/kg 투여군은 open arms에서의 보낸시간이 대조군에 비해서 차이가 없었으며, 교감단 400 mg/kg 투여군은 open arms에서 보낸 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2. Elevated plus maze에서 교감단 100 mg/kg 투여군은 crossing 횟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교감단 400 mg/kg 투여군은 crossing 횟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늘어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Forced swimming test에서 교감단 100 mg/kg, 400 mg/kg 투여군은 각각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 시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1). 4. Corticosterone 측정에서 교감단 400 mg/kg을 투여한 후 Corticosterone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5. 혈청내 IL-$1{\beta}$와 IL-4 측정에서 교감단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6. 뇌내 IL-$1{\beta}$와 IL-4 측정에서 교감단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보면 교감단은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행동의 완화에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불안 행동검사에서는 유효한 효과가 없었다. 혈청 corticosterone 측정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어 항우울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면역기능에 작용하는 유의성 있는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Thrombin성 혈소판응집에 대한 Amitriptyline, Sertraline 및 Chlorpromazine의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Amitriptyline, Sertraline and Chlorpromazine on the Thrombin-induced Aggregation of Platelets)

  • 최상현;이영재;신경호;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9-311
    • /
    • 1995
  • 혈소판은 혈전기전의 중요요소로, monoamine성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 있어서 신경계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우울약물인 amitriptyline (AMT)과 sertraline (SRT)의 혈소판응집 억제와 이에 의한 세포내 신호전달 물질의 함량변동 및 단백인산화에 대한 영향을 chlorpromazine (CPZ)과 비교연구함으로써, 이들 약물의 혈소판응집 억제작용의 효능을 검정하고, 항 혈소판 및 항우울 작용기전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SRT, CPZ 및 AMT은 thrombin (0.25 unit/ml)에 의한 혈소판응집을 억제하였으며, 각각의 IC50은 $4.37{\times}10^{-5}\;M$, $5.76{\times}10^{-5}\;M$$1.15{\times}10^{-4}\;M$이었다. 이러한 억제효과는 A23187$(1.0\;{\mu}M)$및 PMA(320 nM)에 의한 혈소판응집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thrombin은 혈소판응집과 아울러 thromboxane $B_2$$prostaglandin\;E_2$ 생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arachidonic acid 생성은 CPZ, AMT 및 SRT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CPZ, AMT 및 SRT은 cAMP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SRT, AMT $(1{\times}10^{-4}\;M)$ 및 CPZ $(3{\times}10^{-5}\;M)$은 cGMP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Ins(1,4,5)P_3$ 함량은 thrombin 부하 후 10초 이내에 정점에 도달한 후 45초 이후까지 유지된다. CPZ과 AMT은 혈소판의 $Ins(1,4,5)P_3$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thrombin에 의한 증가도 유의하게 증강시킨다. SRT은 혈소판의 $Ins(1,4,5)P_3$을 증가시키나, thrombin 부하 후 증강되지는 않았다. $Ins(1,4,5)P_3$ 증가에 이어서, $[Ca^{2+}]_i$은 thrombin 부하 후 20초에 최고점에 이르며, 이러한$[Ca^{2+}]_i$, 증가는 세 약물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혈소판 단백인산화에 대해서, thrombin은 $41{\sim}43\;kDa$ 및 20kDa 단백인산화를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AMT, SRT 및 CPZ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CPZ, AMT 및 SRT 등의 세 약물은 유의한 항응집효과와 thromboxane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 약물에 의한 protein kinase C 활성억제 및 $Ins(1,4,5)P_3$의 함량증가는 각각 이들약물의 항응집효과 및 항우울성 작용기전과 연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흡연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 증상 및 혈청 Prolactin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Clinical Symptoms and Level of Serum Prolactin in Schizophrenic Patients)

  • 우행원;임원정;연규월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2호
    • /
    • pp.143-150
    • /
    • 1997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흡연성향 및 흡연이 임상양상이나 증상, 혈청 prolactin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군과 비흡연군의 연령, 발병연령, 이환기간, 복용하는 항정신병 약물 및 항파킨슨 약물의 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기호 식품인 커피를 매일 한잔이상 마신다고 답한 경우가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2) 흡연 이유는 긴장 완화(85.7%), 권태로움을 피하고 싶어서(45.2%), 습관(38.1%),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어서나 또는 친구를 모방(23.8%)하여 담배를 피운다고 응답했다. 80.1%가 금연을 시도했었으나, 94%에서 craving때문에 금연에 실패하였다. 금단증상으로 불안감(52.9%), 정신과적 증상의 악화(23.5%), 환청의 악화(8.8%), 약물부작용의 악화(14.7%), 졸리움의 증가(47.1%)등이 있었다. 3) BPRS 총점수는 흡연군과 비흡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불안척도가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HAM-D에 의한 우울증상 및 SCL-90-R의 대인관계 민감도 항목과 공포증 항목이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PANSS. AIMS는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흡연군에서는 혈청 prolactin이 비흡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p<0.01) 공변량분석결과 흡연이 혈청 prolactin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정신 분열병 환자에서 금연 유도시 적절한 항불안 약물이나 항우울 약물의 일시적인 병합치료로서 금단증상을 최소화 시켜야 하며, 환자들의 낮은 자존심 및 높은 의존심을 충족시키는 정신치료가 병행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hromatography를 반복(反復)하여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 (Compound 1)과 Rhaponticin (Compound 2)을 얻었다. S. aureus SG 511에 대(對)해 Rhapontigenin은 50 mg/ml 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고, Rhaponticin은 $200\;mg/m{\el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며, B. subtilis ATCC 6633에 대(對)해 Rhapontigenin은 50 mg/ml 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고, Rhaponticin은 200 mg/ml 농도(濃度)에서 우수(優秀)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며, 100 mg/m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또한 E. coli 055에 대(對)해서는 Rhapontigenin과 Rhaponticin 모두 200 mg/m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의 항균(抗菌) 효능(效能)은 군약(君藥)인 대황(大黃)의 성분(成分) 중(中)의 하나인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