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염증작용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ti-Cancer Effect of Ursolic Acid in Melanoma Cell A375SM and A375P (Ursolic acid의 악성 흑색종 세포주 A375SM과 A375P에서의 항암효능)

  • Woo, Joong-Seok;Kim, Na-Won;Lee, Jin-Gyu;Kim, Jae-Hyuk;Lim, Da-Young;Kang, Shin-Woo;Kim, Sung-Hyun;Yoo, Eun-Seon;Lee, Jae-Han;Han, So-Hee;Park, Young-Seok;Kim, Byeong-Soo;Kim, Sang-Ki;Park, Byung-Kwon;Jung, Ji-You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4 no.2
    • /
    • pp.183-190
    • /
    • 2019
  • Ursolic acid is recognized for various effects such as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anti-cancer effect of ursolic acid on human melanoma cancer cells, A375SM and A375P. Survival rate of the melanoma cells was confirmed by MTT assay and the proliferation rate was confirmed by wound healing assay. The rate of apoptotic bodies was confirmed by DAPI staining, and apoptosis rate was confirmed by flow cytometry. The induction of apoptosis protein was examined by western blotting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ursolic acid in melanoma cells. The survival and proliferation rates of melanoma cell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s of ursolic acid. DAPI staining showed that chromosomal condensation of melanoma cell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ursolic acid, and increased apoptosis rate of melanoma cells by ursolic acid was confirmed by flow cytometry. We also 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that cleaved-PARP and Bax were increased and Bcl-2 was decreased at $12{\mu}M$ concentration of uricolic acid in melanoma cel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low concentrations of ursolic acid, 0 to $20{\mu}M$, and analyzed 24 h after treat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ursolic acid has the anti-cancer effect through the regulat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in melanoma cells A375SM and A375P.

Interleukin 1 Receptor Antagonist(IL-1ra) Gene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Henoch-$Sch{\ddot{o}}nlein$ Purpura Nephritis (Henoch-$Sch{\ddot{o}}nlein$ Purpura 신염에서 Interleukin 1 Receptor Antagonist(IL-1ra) 유전자 다형성)

  • Hwang, Phil-Kyung;Lee, Jeong-Nye;Chung, Woo-Yeong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9 no.2
    • /
    • pp.175-182
    • /
    • 2005
  • Purpose : Interleukin 1 receptor antagonist(IL-1ra) is an endogenous antiinflammatory agent that binds to IL-1 receptor and thus competitively inhibits the binding of IL-1$\alpha$ and IL-1$\beta$. Allele 2 in association with various autoimmune diseases has been reported.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L-1ra gene VNTR polymorphism on the susceptibility to HSP and its possible association with disease severity, manifested by severe renal involvement and renal sequelae, we studied the incidence of carriage rate and allele frequency of the 2 repeats of IL-1ra allele 2($IL1RN^{*}2$) of the IL-1ra gene in children with HSP with and without renal involvement. Methods : The IL-1ra gene polymorphisms were determined in children with HSP with(n=40) or without nephritis(n=34) who had been diagnosed at Busan Paik Hospital and the control groups(n=163). Gene polymorphism was identified by PCR amplification of the genomic DNA. Results : The allelic frequency and carriage rate of $IL1RN^{*}1$ were found most frequently in patients with HSP and in controls. The allelic frequency of $IL1RN^{*}2$ was higher in patients with HSP compared to that of controls($4.7\%\;vs.\;2.5\%$, P=0.794). The carriage rate of $IL1RN^{*}2$ was higher In patients with HSP compared to that of controls($8.1\%\;vs.\;6.8\%$, P=0.916). The allelic frequency of $IL1RN^{*}2$ was higher in patients with HSP nephritis compared to that of HSP($5.3\%\;vs.\;2.9\%$, P=0.356). The carriage rate of $IL1RN^{*}2$ was higher in Patients with HSP nephritis compared to that of HSP($10.0\%\;vs.\;5.9\%$, P=0.523). Among 13 patients with heavy proteinuria(>1.0 g), 11 had $IL1RN^{*}1$, 1 had $IL1RN^{*}2$ and the others had $IL1RN^{*}4$. At the time of last follow up 4 patients had sustained proteinuria and their genotype was $IL1RN^{*}1$. Conclusion : The allelic frequency and carriage rate of $IL1RN^{*}1$ were found most frequently in patients with HSP and in control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carriage rate and allele frequency of the 2-repeats of IL-1lra allele 2($IL1RN^{*}2$) of the IL-1ra gene may not be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and severity of renal involvement in children with HSP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5;9:175-182)

  • PDF

CHEMOPREVENTION OF COLON CANCER BY THE KOREAN FOOD STUFFS COMPONENTS

  • Kim, Dae-Joong;Shin, Dong-Hwan;Ahn, Byeong-Woo;Jang, Dong-Deuk;Hiroyuki Tsuda;Shoji Fukushim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oxicology Conference
    • /
    • 2002.05b
    • /
    • pp.106.2-132
    • /
    • 2002
  • 형질전환 (유전자 결핍; Knockout) Min 마우스를 이용하여 대장암 발생에서 배추, 양배추 주성분인 indole-3-carbinol (I3C)의 대장암 예방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C57BL/6J-Apc$^{min/+}$(Min 마우스)계의 5내지 6주령의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 70마리와 C57BL/6J계의 동일 산자, 동일 주령의 수컷 wildtype 비형질전환 마우스 10kfl를 The Jackson Laboratory 사 (Bar harber, ME, USA)로부터 직접 구입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Min)마우스 70마리를 각 군 20내지 25마리씩 세군으로 나누었다. Group 1에는 20마리, Group 2에는 25마리, Group 3에는 25마리를 배치하고, I3C 투여 실험군 (Group 1과 2)에는 실험시작시에 AIN-76A 분말사료에 I3C가 각각 100 및 300ppm이 함유되도록 조제하여 공급하였다. 그리고 실험군(Group 3)에는 실험시작부터 종료시까지 AIN-76A 정제고형사료(Teklad사, WI, USA)를 자유로이 급이하였다. 각군간의 체중, 사료 및 음수소비량을 매 2주마다 측정하였고, 10주간 (16주령)의 실험종료시에는 최종체중과 간장, 신장, 비장 등의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상대장기 무게비를 산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C57BL/6J계의 동일 산자, 동일 주령의 수컷 wildtype 비형질전환 마우스 10마리는 같은 조건의 사육실에서 AIN-76A 정제고형사료를 33주간 자유로이 급이하였다. 실험동물은 부검전에 하룻밤 동안 절식하고 이산화탄소 흡입 마취하에서 흉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하고 각 장기(심장, 폐, 위)를 적출하여 생리심염수에 넣어 장기무게를 측정하고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소장과 대장의 검사를 위하여 위의 식도부위와 직장을 실로 결찰하여 적출하고 생리심염수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십이지장, 공장, 및 회장, 그리고 대장으로 나누어 여과지에 펼친 후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소장과 대장은 육안 및 자동 영상분석길ㄹ 이용한 분석이 끝난 후에 각 부위별로 4-6개의 절편을 작제하여 포르말린에 재고정하고, 통상적인 조직처리과정, 파리핀 포매 및 3-4$\mu$m 두께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H&E 염색을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약 1주일간의 포르말린 고정이 끝난 소장 및 대장을 부위별, 별 종양개수 및 분포를 자동영상분석기(Kontron Co. Ltd., Germany)로 분석하였다. 체의 변화, 장기무게, 사료소비량 및 마리당 종양의 개수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Duncan's t-test로 통계처리 하였고, 종양 발생빈도에 대하여는 Likelihood ration Chi-square 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대장선종의 발생률은 84%(Group 3; 21/25례)로써 I3C 100ppm 및 300ppm을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는 각군 모두 60%(Group 1; 12/20 례, Group 2; 15/25 례)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장선종의 마리당 발생개수에 있어서는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은 1.40$\pm$0.24(100%)에 비하여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0.85$\pm$0.23; 61%, P<0.01), 그리고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 1.32$\pm$0.29 ; 94%)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선종의 크기별 종양의 발생개수의 분포에 있어서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에 있어서는 선종의 크기가 3mm이하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부위별 소장선종의 발생수는 십이지장부위를 제외하고 각 군에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십이지장 종양의 발생개수에서만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 3.11$\pm$0.85)이 대조군 (Group 3: 1.48$\pm$0.35) 및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1.56$\pm$0.47)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0.05). 따라서 I3C은 소장에서는 암예방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나, 대장에 대한 암에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장 및 대장을 제외한 간장, 신장, 비장, 심장, 폐 그리고 위 등의 기타 장기에서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소장 및 대장의 종양은 선종(polyps)으로 관찰되었다. 지난 10여년간 형질전환 및 유전자 결핍 실험동물의 종류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이용되고 있다. 가족성 대장 선종성 용종증(FAP)의 대표적인 모델로 이용되고 있는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를 사용하여 배추나 양배추의 주요성분인 Indole-3-carbinol(I3C)의 대장암 예방효과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본 결과 AIN-76A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대장선종의 발생률 84%에 비하여 I3C 100 및 300ppm을 투여한 실험군에 있어서 각군 모두 60%로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장선종의 마리당 발생개수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1.40$\pm$1.041를 100%로 환산하였을 경우 I3C 저농도 및 고농도 투여 실험군에서는 각각 약 61%와 94%를 나타내여 감소하였다. 특히 대장선종의 크기별 분포에 있어서 선종의 크기가 3mm이하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저농도 I3C의 투여는 실험적 유전성 가족성 대장 선종성 용종증 모델에 있어서 어느정도 암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장 선종의 발생에는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실험에 사용된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는 실험개시 시점이 7내지 8주령이 경과하여 이미 태생기부터 소장 및 대장의 선종 발생이 진행되어 온 것을 감안하고 특히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소염제(NSAIDS)와 같은 강력한 COX-2억제제가 아님을 고려하면, 상당한 선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제까지 배추나 양배추 성분의 복합성분들에 대한 실험적 대장암 모델에서의 촉진효과 등에 대한 보고들이 있어 온 점을 고려할 때 위암(Kim 등, 1994) 간암(Kim 등, 1994), 유방암(Grubbs, 등, 1995; Bradlow 등, 1995)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러한 종양조직내에서의 COX-2 및 iNOS mRNA와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분자병리학적으로 연구중에 있으며, 향후 십자화과식물 성분인 indole-3-carbinol이 마우스뿐 만 아니라 랫드의 화학발암물질에 의한 대장종양에 대한 억제효과 있는지 연구 필요가 있다. Min 마우스와 같은 형질 전환(유전자결핍;knockout) 실험동물을 이용한 새로운 중기 발암성 시험범의 확립을 통한 각종 환경 유해물질의 발암성 유무 및 COX-2 억제작용이 있는 식품인자의 암예방 후보물질을 체계적으로 검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