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암제

Search Result 1,01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Results of the ATP Based Chemotherapy Response Assay in Gastric Cancer Tissues (ATP-CRA 방법을 이용한 위암조직의 항암제 감수성 검사결과)

  • Lee, Je-Hy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7 no.3
    • /
    • pp.160-166
    • /
    • 2007
  • Purpose: Recently, chemosensitivity tests have become widely used for the selection of effective drugs in gastric cancer patients. In this study, a chemosensitivity test was performed to select agent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djuvant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Chemosensitivity testing was performed in 81 gastric cancer patients that received a gastrectomy at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n ATP (adenosine triphosphate) based chemotherapy response assay was used. Clinicopatholgical factors such as sex, age, expression of tumor markers (CEA and CA19-9 levels), location of the tumor, morphology of advanced cancer, histological type, cell differentiation, depth of invasion, Lauren classification, Ming classification, lymphatic invasion, vascular invasion, neural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TNM stage were used to correlate the chemosensitivity and clinicopathological factors. Results: The most effective antitumor agents in gastric cancer patients were (in order of effectiveness) 5-FU, Epirubicin, lrinotecan and Oxaliplatin in our series. The chemosensitivity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sceptibility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al factors. Conclusion: Further studies on multidrug therapy are needed to evaluate synergistic effects of drugs. Therefore, for effective chemotherapy, it is more efficacious to select a chemosensitive drug than continue to use the same drug regimen.

  • PDF

Hypoxia and NF-${\kappa}B$; The Relation to Chemoresistance (저산소증과 NF-${\kappa}B$의 항암제내성과의 연관성 고찰)

  • Yoon, Seong-Woo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Oncology
    • /
    • v.15 no.1
    • /
    • pp.119-128
    • /
    • 2010
  • 항암치료는 현재 암환자의 주요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항암제내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약물내성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수송단백질의 과발현, 비독성화발현, 손상유전자의 복구, 세포사멸신호의 변화, STAT-3와 NF-${\kappa}B$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 암세포는 저산소환경에서 발생하며 일반세포에 비해 무산소해당에 상대적 의존도가 높고 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인자가 된다. 항암제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저산소환경은 이를 방해하며 또한 유전자의 불안정화로 인해 약물내성이 유도된다. NF-${\kappa}B$는 주요 전사인자 중 하나로서 각종 염증과 암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변화, 증식, 침윤, 전이에 관여한다. 환경적 스트레스 등과 대부분의 항암약제들이 NF-${\kappa}B$를 활성화시키며 임상적으로도 암환자의 생존과 연관된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NF-${\kappa}B$의 발현은 항암제로 인한 암세포의 자멸을 회피하게 만들고 수송단백질을 활성화시켜 항암제내성을 유도한다. 강황, 적포도, 고추, 건칠 등 다양한 천연물에서 NF-${\kappa}B$를 억제시키는 효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항암제내성을 억제시키고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저산소환경의 개선과 NF-${\kappa}B$의 억제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제내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암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연구목표가 될 수 있다.

  • PDF

제 3세대 백금착체 항암제 신약개발: SKI 2053R의 제 1상 임상연구

  • 김노경;신상구;방영주;허대석;김기협;김대기;조용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187-187
    • /
    • 1994
  • 선경인더스트리 연구소에서 개발된 100 여종의 새로운 백금착체 항암제 중 그 동안의 전임상연구를 통해 항암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이 확인된 항암제인 SKI 2053R의 인체내 최대내약용량을 결정하고 부작용 및 항암효과를 평가하고 약제의 인체내 약동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종 악성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제 1상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약제의 투여는 500m1의 5% 포도당용액에 용해하여 1시간에 걸쳐 정주하였으며 병의 악화나 심한 독성이 없으면 치료를 매 4주마다 반복하였다. SKI 2053R의 초기용량은 생쥐에서의 LD$_{10}$의 1/10에 해당하는 40 mg/$m^2$로 하였고, 용량의 단계별 증가는 modified Fibonacci법에 따랐다. 각 단계별로 3명이상의 환자를 치료하여 WHO 기준상 3도 이상의 부작용이 2/6 이상에서 나타날 때의 용량을 최대내약용량으로 설정하였다.

  • PDF

CLA(Conjugated Linoleic Acid)를 이용한 고품질 뱀장어 생산에 관한 연구

  • 손의정;강석중;최병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17-218
    • /
    • 2000
  • 최근 발암물질 등에 노출되었을 때 이들이 야기하는 발암성을 경감시킬 수 있는 항암제에 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식물로부터 많은 항암제가 분리 동정되었으나, 이들 항암제는 미량으로 존재하면서 상당한 독성을 가지므로 이들을 산업화시키는데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제품으로부터 항암물질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Ha et al., 1987). (중략)

  • PDF

반응성을 이용한 항암성 2-alkoxy-1-arylsufonylimidazoline 유도체의 설계 및 합성

  • 정상헌;송재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16-16
    • /
    • 1992
  • 1940년대에 처음으로 암의 화학요법이 시도된 이래 많은 항암제들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항암제를 사용하여 비교적 치료율이 높은 암은 leukemia나 lymphoma와 같은 혈액암에 국한되어 있다. 고형암에 대하여는 고환암과 같은 극히 일부가 항암제에 의해 비교적 잘 치료되나 대부분은 여전히 치료가 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다. 고형암의 발생빈도는 전체 암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로 사망율이 매우 높아, 현대의 40대 이상 사망원인의 1위를 나타내고 있어 그 치료제의 개발이 매우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형암의 치료를 목적으로 많은 화합물들이 검토되어 왔다. 이중 최근 매우 큰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diarysulfonylurea 유도체가 발견되어 임상시험에 도입됨으로서 이 화합물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형암의 치료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diarysulfonylurea의 특성과 강력한 항암효과를 발현하는 alkylating agent의 특성을 갖을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2-alkoxy-1-arylsufonylimidazoline 유도체를 설계하고, 이들 유도체의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이들 유도체들은 일차적으로 생체내에서 DNA 또는 효소등에 alkylation을 일으킨후 diarysulfonylurea로 변하여 작용함으로서 보다 큰 항암효과를 발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ole of Catheter Imaging with $^{99m}Tc$-Macroaggregated Albumin in Intraarterial Chemotherapy (동맥내 항암제투여에 있어 $^{99m}Tc$-Macroaggregated Albumin 도관스캔의 역할)

  • Kim, Byung-Tae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7 no.1
    • /
    • pp.18-21
    • /
    • 1993
  • 이상에서 $^{99m}Tc$-MAA 도관스캔을 고찰하여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99m}Tc$-MAA 도관스캔은 반복 시행할 수 있고, 그 방법이 간단하나 도관의 위치를 알아내는데 매우 정확하다. 2) 방사선학적 방법인 혈관조영술은 조영제 주입시 실제 항암제를 주입하는 속도보다 매우 빠르게 주입하므로써 야기될 수 있는 동맥의 연축(spasm), 층류 등의 원인에 의하여 항암제를 주입할 때와 다른 양상을 보여 암종의 헐류분포나 주변의 다른동맥으로 항암제가 주입 되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반면, $^{99m}Tc$-MAA 도관스캔은 항암제 주입속도와 동일하게 주입하므로써 보다 정확하게 암종의 혈류분포나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다. 3) 골반내 종양의 경우와 같이 도관을 양측의 동맥에 삽입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암종에 대한 각 동맥으로부터의 혈류분포를 비교하여 항암제의 투여량을 변화시키므로써 치료효과의 상승과부작용의 감소를 꾀할 수 있다. 나아가서 둔부동맥으로의 혈류가 많은 경우에는 둔부동맥을 색전화하여 부작용을 극소화할 수도 있다. 4) 여러 종류의 종양, 특히 간종양의 경우에는 폐의 방사능섭취를 측정하여 종양내 동정맥단락을 정량화 할 수 있어 치료후 그 변화를 관찰하여 치료효과를 추측할 수도 있다.

  • PDF

Thiophosphotyrosine을 함유한 peptide 유도체의 중간체 합성

  • 김은경;이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163-163
    • /
    • 1996
  • Peptide 유도체, 특히 tyrosine을 함유한 peptide 유도체는 항암제 개발을 위한 연구의 관심이 되고 있다. Thiophosphotyrosine을 함유한 peptide는, 종양 발현에 관련되는 여러 효소의 억제제로써, 즉 protein tyrosine kinase(PTK)의 억제제 및 protein tyrosine phosphatase(PTPase)의 억제제 혹은 cytosolic protein의 결합을 방지하는 차단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항암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 이에, t-BOC chemistry를 이용하여 t-BOC-tyrosine을 출발물질로 하고, cyanoethyl 기를 phosphate protecting group으로 사용하여 thiophosphotyrosine을 함유한 peptide 유도체의 합성에 필요한 중요한 중간체 인 N-(tert-butoxycarbonyl)-O-(dicyanoethylthio-phosphene)-L-tyrosine을 합성하였다.

  • PDF

연구실 탐방 - KIST 무기화학연구팀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1 s.356
    • /
    • pp.30-31
    • /
    • 1999
  • KIST 무기화학연구팀(책임연구원 손연수박사)은 4년간의 연구끝에 종이와 비닐에 방염재와 방수재를 뿌려 불에 잘 타지않는 비닐벽지와 방염비닐벽지용 사이즈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또 이 연구팀은 최첨단 연구분야인 항암제 연구에도 착수하여 세계 최초로 고분자형 제3세대 항암제를 개발했다.

  • PDF

항암제 KR 53170 및 관련 화합물의 in vivo 항암효과 연구

  • 정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29-129
    • /
    • 1993
  • 현재 암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항암제들은 therapeutic index가 낮아서 면역 및 조혈기능 장애 등 해결 되어야 할 문제점 들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여구자는 우수하고 안전한 항암제를 개발하여 암의 치료에 이바지하고자, 화학연구소에서 in vitro 세로독성을 확인한 화합물에 대하여 in vivo 항암력을 실험, 치료효과가 높은 유도체/유사체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목표를 두고 있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화학연구소측이 제공한 KS 0409를 실험 약물로, sarcoma 180 복수암에 대한 in vivo 항암력을 실험하였다. 약 4주령의 SPE(specific pathogen-free) ICR계 마우스 및 BALB/c 마우스를 실험동물로 하여 sarcoma 180 암세포 부유액(세포 농도, 1$\times$$10^{7}$ cells/ml)을 실험동물의 복강내에 0.1ml 씩 이식하고 암이식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9회 약물 주사를 시행하였다. 대조약물 cisplatin은 2% DMSO-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생존일수 관찰은 60dlfRK지 하였으며 % T/C를 계산하여 항암력을 평가하였다. 단 60일 생존 동물은 평균수명 계산에서 제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