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암약물치료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항암제 KR 53170 및 관련 화합물의 in vivo 항암효과 연구

  • 정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29-129
    • /
    • 1993
  • 현재 암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항암제들은 therapeutic index가 낮아서 면역 및 조혈기능 장애 등 해결 되어야 할 문제점 들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여구자는 우수하고 안전한 항암제를 개발하여 암의 치료에 이바지하고자, 화학연구소에서 in vitro 세로독성을 확인한 화합물에 대하여 in vivo 항암력을 실험, 치료효과가 높은 유도체/유사체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목표를 두고 있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화학연구소측이 제공한 KS 0409를 실험 약물로, sarcoma 180 복수암에 대한 in vivo 항암력을 실험하였다. 약 4주령의 SPE(specific pathogen-free) ICR계 마우스 및 BALB/c 마우스를 실험동물로 하여 sarcoma 180 암세포 부유액(세포 농도, 1$\times$$10^{7}$ cells/ml)을 실험동물의 복강내에 0.1ml 씩 이식하고 암이식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9회 약물 주사를 시행하였다. 대조약물 cisplatin은 2% DMSO-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생존일수 관찰은 60dlfRK지 하였으며 % T/C를 계산하여 항암력을 평가하였다. 단 60일 생존 동물은 평균수명 계산에서 제외하였다.

  • PDF

Effect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on Survival in High-grade Localized Osteosarcoma of the Extremity (골육종에서 수술 전 항암 약물치료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

  • Choi, Eun-Seok;Han, Ilkyu;Cho, Hwan Seong;Kim, Han-Soo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8 no.2
    • /
    • pp.59-65
    • /
    • 2012
  • Purpos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of surgical resection and chemotherapy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non-metastatic osteosarcomas. We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metastasi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225 young (<30 years old) and non-metastatic osteosarcoma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between February 1984 and July 2010. Mean age was 14.4 years old (ranged: 4-29 years old)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9.1 years (2-28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metastasis-free survival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Results: All of 225 patients,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193 patients were perform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rate of amputation (p<0.001). Metastasis was occurred in 101 patients.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indicated significant higher rate of metastasis (69% vs 41%, p=0.004) and early development of metastasis (mean: 11.5 vs 20.3 months, p=0.045) than pre-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Fifty-seven patients were died of osteosarcoma.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revealed significant lower rate of 5-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than pre-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51% vs 84%, p=0.001). Adult (>15 years) and large sized tumor (>8 cm) were meaningful risk factors of metastasi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Although, local recurrences were occurred in 13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Neoadjuvant chemotherapy offers better disease-specific survival and metastasis-free survival.

반응성을 이용한 항암성 2-alkoxy-1-arylsufonylimidazoline 유도체의 설계 및 합성

  • 정상헌;송재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16-16
    • /
    • 1992
  • 1940년대에 처음으로 암의 화학요법이 시도된 이래 많은 항암제들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항암제를 사용하여 비교적 치료율이 높은 암은 leukemia나 lymphoma와 같은 혈액암에 국한되어 있다. 고형암에 대하여는 고환암과 같은 극히 일부가 항암제에 의해 비교적 잘 치료되나 대부분은 여전히 치료가 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다. 고형암의 발생빈도는 전체 암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로 사망율이 매우 높아, 현대의 40대 이상 사망원인의 1위를 나타내고 있어 그 치료제의 개발이 매우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형암의 치료를 목적으로 많은 화합물들이 검토되어 왔다. 이중 최근 매우 큰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diarysulfonylurea 유도체가 발견되어 임상시험에 도입됨으로서 이 화합물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형암의 치료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diarysulfonylurea의 특성과 강력한 항암효과를 발현하는 alkylating agent의 특성을 갖을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2-alkoxy-1-arylsufonylimidazoline 유도체를 설계하고, 이들 유도체의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이들 유도체들은 일차적으로 생체내에서 DNA 또는 효소등에 alkylation을 일으킨후 diarysulfonylurea로 변하여 작용함으로서 보다 큰 항암효과를 발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신항암제 2-N(2-dimethylaminoethyl) 9-hydroxy ellipticiniam chloride (Datelliptinium)를 이용한 항암제 제 2상 임상시험 모델연구

  • 노재경;노형근;정현철;최진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58-58
    • /
    • 1992
  • 연구자들은 제 2상 임상시험의 모델을 검토하기 위하여, 비무작위적 제 2상 임상시험을 진행 위선암환자에서 시행하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인되고, 객관적으로 계측가능 병변이 있는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선암의 조직 진단은 위선암의 모든 유형을 포함하였다. 환자는 (Datelliptinium)율 1일 250 mg/$m^2$씩 3일 연속 30분에 걸쳐 정주하고, 매 3주마다 반복하였다. 반응의 완전평가는 초치료전 실시하여, 14-25명의 환자가 포함될 예정으로 시작하여 총 15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매 환자마다 매 치료 주기전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소 1주기 (3일 치료)를 끝낸 환자에서도 반응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치료기간은 반응의 정도와 치료에 대한 내약력으로 결정하였고, 만일 치료에 대해 현저한 독성이 발생되지 않는다면, 치료 반응이 계속되는 동안 약물투여를 계속하였다. 국소진행암의 경우 약물의 반응이 현저하고, 환자의 전신상태가 현저히 개선되어 외과적 절제가 가능하면, 관해로 간주하고 외과적 절제를 실시 후 약물은 4회 투여하고 치료 종료 후 추적 관찰할 계획으로 시행하였다.

  • PDF

Treatment Results of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Positive Axillary Nodes (액와 림프절에 전이된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 약물 요법의 치료 성적)

  • Shin, Hyun-Soo;Suh, Chang-O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8 no.4
    • /
    • pp.265-276
    • /
    • 2000
  • Purpose : Between January 1983 and December 1988, 218 female Patients with known breast cancer and positive axillary nodes were treated with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following radical mastectomy. Treatment results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of College of Medicine. Materials and Methods :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group I included II patients treated with adjuvant chemotherapy alone; in group 2, 52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and in group 3, n patients treated with combined chemo-radiotherapy. The mean age was 44 years and ranged from 27 to 70.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51 months. Results :Seven-year relapse free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56$\%$ and 67$\%$; in group 1, 50$\%$ and 56$\%$ in group 2, 51$\%$ and 65$\%$ and in group 3, 62$\%$ and 75$\%$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loco-regional failure rates were 13$\%$ and distant failure rates were 33$\%$. There was less risk of loco-regional failure in group 2 and 3 which included radiotherapy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rates of distant failure( p>0.05). By univariate analysis, the on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ffecting relapse-free survival was the percentage of positive axillary nodes; and the overall surviva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rimary tumor site, the number or percentage of positive axillary nodes, and stage. But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on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was treatment modality. By univariat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rates of overall failure and distant failure,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was the percentage of positive axillary nodes; and the risk of the loco-regional failu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reatment modality. Conclus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a potential for decreasing the risk of loco-regional failure with the addition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to chemotherapy in the premenopausal patients, and in the patients with number or percentage of positive nodes more than 4 or 1/3.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mbined chemo-radiotherapy as adjuvant treatment following radical mastectomy was the most effective modaliw in groups of 2$\~$5 cm sized tumor, stage IIB, and in patients with more than 4 or 1/3 of number or percentage of positive nodes.

  • PDF

Treatment Results of Rhabdomyosarcomas of Head and Neck (두경부의 횡문근육종에서 다방면요법의 효과)

  • Ahn Ki-Jung;Suh Chang-Ok;Kim Gwi-Eo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7 no.1
    • /
    • pp.45-51
    • /
    • 1991
  • 최근 횡문근육종을 치료함에 있어서 수술적 요법, 방사선 치료, 강암 약물요법을 적절히 병행함으로써 치료에 따르는 후유증을 극소화하면서 괄목할만한 생존율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특히 두경부의 횡문근육종은 소아에서 다발하고 병소의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임상적 특성을 가지며 수술적 절제를 했을 때 기능 및 외견상 결손이 크므로 별도의 연구 대상이 되어 왔으며 수술적 방법보다는 방사선 치료 및 항암 약물요법이 강조되고 있다. 저자들은 1976년부터 1987년까지 두경부 횡문근육종으로 진단받고 연세 암센터에서 항암 약물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발생 부위, 조직 병리, 병기별 분포 및 생존율, 치료 방법에 따른 생존율을 후향성으로 분석하였다. 22명의 환자중 10 세 미만이 12 예로 가장 많았고, 13명이 배아세포형이였으며, 임상병기는 병기 III 이 가장 많아서 14 예였다. 병소의 위치는 안와가 6명으로 가장 많았고, 뇌수막주변부가 7명 (상악동 3명, 중이도 2명, 비강 l명, 비인강 1명), 기타 9명 (경부 5명, 이하선 2명, check 2명) 이었다. 5년 무병 생존율은 안와 종양에서 가장 높아서 50% 였고, 안와외 두경부가 37.5%, 뇌수막주변부가 16.7% 로 가장 낮았으며, 낮은 병기(병기 III), 배아세포형, 항암 약물 요법 병용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 PDF

Hypoxia and NF-${\kappa}B$; The Relation to Chemoresistance (저산소증과 NF-${\kappa}B$의 항암제내성과의 연관성 고찰)

  • Yoon, Seong-Woo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Oncology
    • /
    • v.15 no.1
    • /
    • pp.119-128
    • /
    • 2010
  • 항암치료는 현재 암환자의 주요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항암제내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약물내성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수송단백질의 과발현, 비독성화발현, 손상유전자의 복구, 세포사멸신호의 변화, STAT-3와 NF-${\kappa}B$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 암세포는 저산소환경에서 발생하며 일반세포에 비해 무산소해당에 상대적 의존도가 높고 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인자가 된다. 항암제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저산소환경은 이를 방해하며 또한 유전자의 불안정화로 인해 약물내성이 유도된다. NF-${\kappa}B$는 주요 전사인자 중 하나로서 각종 염증과 암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변화, 증식, 침윤, 전이에 관여한다. 환경적 스트레스 등과 대부분의 항암약제들이 NF-${\kappa}B$를 활성화시키며 임상적으로도 암환자의 생존과 연관된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NF-${\kappa}B$의 발현은 항암제로 인한 암세포의 자멸을 회피하게 만들고 수송단백질을 활성화시켜 항암제내성을 유도한다. 강황, 적포도, 고추, 건칠 등 다양한 천연물에서 NF-${\kappa}B$를 억제시키는 효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항암제내성을 억제시키고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저산소환경의 개선과 NF-${\kappa}B$의 억제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제내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암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연구목표가 될 수 있다.

  • PDF

Application of Optimized Gompertz Algorithm for Estimation of Controlled Drug Release (Gompertz modeling을 이용한 약물유출 예측시스템의 최적화)

  • Choe, Se-Woon;Woo, Young W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12
    • /
    • pp.219-225
    • /
    • 2014
  • A Gompertz modeling, sigmoid in shape, is a widely used application for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medical research to allow confident approximation and accurate analysis and has been applied to estimate an elderly population on aging of population. Due to the high toxicity of currently available drug delivery vehicles,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side-effects in clinical fields, but its application to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is limited and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optimize the parameters of Gompertz modeling applicable to preclinical stud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ability of sickle red blood cells loaded by hypotonic dialysis then photosensitized and light-activated ex vivo for controlled release and simultaneously optimized Gompertz function to evaluate controlled drug release properties of photosensitized sickle red blood cells to reduce pain-related treatments in cancer patients.

제 3세대 백금착체 항암제 신약개발: SKI 2053R의 제 1상 임상연구

  • 김노경;신상구;방영주;허대석;김기협;김대기;조용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187-187
    • /
    • 1994
  • 선경인더스트리 연구소에서 개발된 100 여종의 새로운 백금착체 항암제 중 그 동안의 전임상연구를 통해 항암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이 확인된 항암제인 SKI 2053R의 인체내 최대내약용량을 결정하고 부작용 및 항암효과를 평가하고 약제의 인체내 약동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종 악성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제 1상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약제의 투여는 500m1의 5% 포도당용액에 용해하여 1시간에 걸쳐 정주하였으며 병의 악화나 심한 독성이 없으면 치료를 매 4주마다 반복하였다. SKI 2053R의 초기용량은 생쥐에서의 LD$_{10}$의 1/10에 해당하는 40 mg/$m^2$로 하였고, 용량의 단계별 증가는 modified Fibonacci법에 따랐다. 각 단계별로 3명이상의 환자를 치료하여 WHO 기준상 3도 이상의 부작용이 2/6 이상에서 나타날 때의 용량을 최대내약용량으로 설정하였다.

  • PDF

Application and therapeutic effects of sickle red blood cells for targeted cancer therapy (표적항암치료를 위한 겸형적혈구의 응용 및 치료 효과)

  • Choe, Se-w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12
    • /
    • pp.2395-2400
    • /
    • 2016
  • Conventional drug carriers such as liposomes, nanoparticles, polymer micelles, polymeric conjugate and lipid microemulsion for cancer chemotherapy shield normal tissues from toxic drugs to treat cancer cells in tumors. However, inaccurate tumor targeting uncontrolled drug release from the carriers and unwanted accumulation in healthy sites can limit treatment efficacy with current conventional drug carriers with insufficient concentrations of drugs in the tumors and unexpected side effects as a result. Sickle red blood cells show natural tumor preferential accumulation without any manipulation due to the adhesive interaction between molecular receptors on the membrane surface and counter-receptor on endothelial cells. In addition, structural changes of microvascular in tumor sites enhances polymerization of sickle red blood cells.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use of sickle red blood cells as a new drug carrier with novel tumor targeting and controlled release properties to quantify its therapeutic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