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산화 기능

Search Result 2,18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노인의 항산화 영양상태와 만성질환 및 면역기능과의 관련성 연구

  • 김미정;김정희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392.2-394
    • /
    • 2004
  •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인구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고, 주요사망원인이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이동하고 있다. 노화는 산화-환원의 균형이 깨져 산화 촉진쪽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일어나며,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는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의 유병율을 높이고, 또한 면역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노화 억제 및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한 항산화 영양소의 건강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항산화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만성질환 중 유병율이 높은 당뇨병, 고혈압에 따른 항산화 영양상태와의 관련성 및 노인들에게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진 면역기능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3차에 걸친 연구를 수행하였다.(중략)

  • PDF

Effect of Harvest Tim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nstituents of Oriental Melons (수확시기가 참외의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 Kim, Hye Suk;Kang, Young-Hwa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31 no.3
    • /
    • pp.209-216
    • /
    • 2013
  • This study compar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nstituents of the peel, flesh,and placenta of oriental melons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 The sample oriental melons were harvested during the major harvest time (from June to August) and divided into peel, flesh, and placenta.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nstituents, the sample melons were extracted using EtOH. As a result, the function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oriental melons were found to change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 The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samples harvested in June, and lowest in the samples harvested in July. Meanwhile,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stimated using an ABTS and FRAP assay, where the samples harvested in June also showed the strongest the antioxidant potential, while the samples harvested in July showed significantly lower antioxidant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 climate influences the synthesis of secondary metabolites. The above data also suggests that oriental melons harvested in June contain more functional phytochemicals, making them more beneficial for human health.

  • PDF

정소와 정자에서 Polyphenol과 Vitamin C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 박민영;김창근;장유민;류재원;이주형;정영채;방명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82-282
    • /
    • 2004
  • 동물에서 활성산소계(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지속적이고 과도한 노출과 산화스트레스는 생리적 기능의 저하, 노화 또는 많은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항산화제의 투여효과에 대한 연구가 최근 많이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Vit. C의 공급이 절대. 필요한 guinea pig를 공시하여 녹차 추출물 중 항산화제인 polyphenol과 Vit. C의 경구 투여에 따른 정소 내 정자형성과 항산화기능의 변화 및 액상 돼지정액에 첨가 후 정액성상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Using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둥근마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 Choi, Won-Seok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7 no.2
    • /
    • pp.20-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둥근마와 장마의 일반성분을 분석하여 둥근마의 우수한 성질을 밝히며, 에탄올 농도를 달리(0~95%, v/v)한 용매로 둥근마를 추출한 후 항산화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둥근마의 항산화성분을 최대한 함유할 수 있는 최적의 에탄올농도를 찾아, 이 추출물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함유 음료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반 성분 분석결과 둥근마의 경우 탄수화물, 열량, 단백질 및 철 함량이 장마와 비교하여 월등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식이섬유 및 칼륨 함량 또한 비교적 높았다. 47.5~95% (v/v) 에탄올 함유 용매로 추출할 경우 순수한 물로 추출한 경우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총 폴리페놀성 화합물함량의 경우 71.25% 농도의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탄올농도 약 70~95% 정도의 용매로 추출한 둥근마 추출액 함유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항산화 성분을 다량함유 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둥근마 추출액에 첨가물 및 기타 기능성 성분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증가되고 기능성이 향상된 다양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국내산과 이란산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Jin, So-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8
    • /
    • pp.1063-1072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megranate juice and pomegranate husk, endocarp and seed extracts by comparing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Korean pomegranate husk (KPH)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among the pomegranate extracts, and total phytoestrogen content was highest in Korean pomegranate endocarp (KPE). Iranian pomegranate endocarp (IPE) and Iranian pomegranate husk (IPH)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levels. Overall, Korean pomegranate had more functional components than those in Iranian pomegranate. KPE ha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like-activity among all of the extracts, and KPH had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PE showed the highest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The ABTS$^+$ assay also indicated that IPH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more total polyphenols, flavonols, and phytoestrogens the pomegranate contained, the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otal polyphenol, flavonol and phytoestrogen leve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pomegranates contained more functional components and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of Iranian pomegranates. Additionally, pomegranate endocarp and seed extracts were better than pomegranate juice in terms of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megranate husk, endocarp and seed extracts as well as pomegranate juice may have value as natural antioxidants with their high quality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orn Silk(Zea mays L.)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활성과 기능성분 분석)

  • Ku, Kang-Mo;Kim, Soon-Kwon;Kang, Young-Hwa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2 no.4
    • /
    • pp.323-329
    • /
    • 2009
  • In order to find out superior corn line which has a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the corn silk,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measured from various inbred and F1 line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range from 532 mg/100 g to 3,274 mg/100 g and from 980 mg/100 g to 2,420 mg/100 g respectively. Absorbance at 517 nm for contents of anthocyanins ranges from 0.05 to 0.76.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ntioxidant compounds and various antioxidant assays such as DPPH, ABTS and FRAP were analyze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and anthocyanin were significantly high in ABTS and FRAP assays. Considering acidic extraction condition and intervention between anthocyanins and DPPH solution, ABTS assay and FRAP assay are more suitable methods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of corn silks. Especially, ABTS assay is thought to be the best method among three assays because the antioxidant activity in ABTS assay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phenol, flavonoid and anthocyanin compounds respectively. Among the samples, S15 which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n ABTS and FRAP assay will be a good source for functional material.

미생물 발효를 통한 식물자원 활용

  • Yu, Eun-Mi;O, Dong-Sun;Han, Gap-H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10-10
    • /
    • 2018
  • 미생물 및 식물 등이 가지고 있는 많은 천연물질은 항균, 항암, 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의약품의 원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생물을 통한 발효는 거대분자를 낮은 분자량의 물질로 분해하여 인체의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 자체적으로 합성하는 다양한 대사산물과 발효과정에서 기존 물질에 다양한 잔기를 가감함으로서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의 추출물을 바탕으로 발효를 진행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비만 활성 등을 발효 전 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구절초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제품 개발을 추진하였다. 구절초 잎과 전초의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구절초 전초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절초 잎을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는 비타민C보다 3.93%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구절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발효하지 않은 시료보다 발효한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더욱이, 항비만 활성과 추출물의 혈중콜레스테롤 저감 활성도 발효추출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 발효 추출물이 구절초 추출물에 비하여 기능성 활성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성음료 등 다양한 제품으로의 응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돼지 액상정액에서 $Barodon^{(R)}$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 김창근;방명걸;정영채;류재원;장유민;이주형;박민영;최수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79-79
    • /
    • 2003
  • 세포에 대한 산화스트레스는 세포의 대사와 기능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를 줄이기 위한 항산화 물질의 첨가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특이면역증가제이며 다목적 고기능성 알칼리용액 조성물인 Barodon의 항산화 효과를 돼지정자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돼지 액상정액의 보존성 향상을 위한 Barodon의 이용성을 알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실험구로서 무첨가구와 활성산소 인위발생구(xanthine+xanthine oxidase, X-XO), X-XO구에 superoxide dismutase, cataiase, Barodon(2종류)의 단독처리구 및 X-XO구에 이들 항산산제의 복합처리구로 나누어 항산화제 처리효과에 따른 정자운동특성을 CASA로 분석하였다. 또한 돼지 액상정액에서 Barodon의 항산화 효과를 무첨가구, catalase구 및 Barodon구로 나누어 정액의 보존기간별 정액성상 변화(정자활력, 생존성, 첨체이상)를 조사하였다.

  • PDF

Anti-oxidative and skin barrier effects of natural plants with a supercritical extract (초임계 추출을 적용한 식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장벽 효과)

  • Kim, Bora;Lee, Su Min;Hwang, Tae-Young;Kim, Hyun-Soo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0 no.5
    • /
    • pp.597-601
    • /
    • 2013
  •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bioactive compounds from natural resources with a supercritical extract. We selected the extrac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Lufa cylindrica, Paeonia lactiflora, Gardenia jasminoides and Scutellaria baicalensis, as natural materials,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their skin barrier function. We found that these extracts increased the transactivation activity of the PPAR-responsive element (PPRE) and the anti-oxidation with different prioriti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se extracts promot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cornified envelope (CE) formation, such as involucri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natural materials from supercritical extracts will be pertinent candidat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Aplidium pliciferum and Herdmania momus (만두멍게와 분홍멍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Kang, Sang-Mo;Ru, Jeong-A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5
    • /
    • pp.215-22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otential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by examining the antioxidant effects of Aplidium pliciferum and Herdmania momus, us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efficacy of Aplidium pliciferum and Herdmania momus ethanol extract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using Minitab® 18 (IBM, USA). After various radicals were removed from the extracts of Aplidium pliciferum and Herdmania momus, DPPH was detected in 30.87±1.98% in Aplidium pliciferum, 88.27±0.84% in Herdmania momus, and ABTS in 56.23±2.50% in Aplidium pliciferum and 94.80±0.91% in Herdmania momus in the concentration of 20 mg/ml. Also, NO was detected in 88.57±0.81% in Aplidium pliciferum and 97.53±0.34% in Herdmania momus, respectively, thus all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o we can confirm the efficiency of the solvent acts as an important factor through the total poly pheno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