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산화적 특성

검색결과 1,146건 처리시간 0.032초

양조간장으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 및 그 특성 (S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Fermented Soybean Sauce)

  • 문갑순;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61-465
    • /
    • 1990
  • 양조간장 중의 항산화료력을 가진 물질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알기위하여 Sephadex G-10, 50, 100을 이용하여 양조간장을 겔여과하고 각 획분에 대한 항산화성과 관련된 특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조간장을 Sephadex G-10에서 분획한 결과 갈색도가 가장 높은 멜라노이딘 획분(MF-I)에서 항산화효력이 가장 컸고, 이 부분은 질소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환원력이 매우 큰 물질이었다. Sephadex G-10에서 항산화 효력이 가장 큰 MF-I을 동결 건조하여 Sephadex G-50에서 재분획 한 결과, 갈색물질은 광범위한 범위에서 분획되었고 저분자의 멜라노이딘 부분(MF-II)에서 항산화성 및 환원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 MF-II 획분을 다시 Sephadex G-100에서 재분획하여 항산화효력이 비교적 크고 환원력이 매우 큰 한 획분(MF-III)을 분리하였으나 환원력을 제외한 갈색도 및 항산화력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양조간장의 항산화성 관련 물질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분리한 각 획분의 UV-VIS 및 IR spectra를 측정한 결과 항산화성이 큰 각 획분(MF-I, MF-II 및 MF-III)의 UV-VIS spectra는 $260{\sim}320\;nm$에서 완만한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멜라노이딘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IR spectra의 경우 특징적인 OH기 및 amine기 구조를 지니고 있었고 이들이 항산화성을 갖는 기능기로 추정되었다.

  • PDF

저장기간 동안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 첨가 약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Yackwa added with Ethanol Extract from Ulmus davidiana)

  • 심기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6-457
    • /
    • 2015
  • 최근 식품에 첨가하는 합성 항산화제가 생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암을 유발시키는 등의 안정성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천연 식물자원으로부터의 항산화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느릅나무의 껍질인 유근피는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천연 항산화제로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을 0, 0.05, 0.1, 0.2%로 약과에 첨가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천연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를 0.02%로 첨가한 약과와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과 지질산패 정도를 비교하였다. 유근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패취와 경도는 감소하였고, 반면에 수분활성도, 팽화도, 관능평가 등은 증가하였다. 특히 유근피를 첨가함에 따라 약과의 명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약과의 메일라드 반응에 의한 갈색물질인 멜라노이딘류의 생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약과의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경도, 색도, 산패취 등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수분활성도와 팽화도, 색,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은 감소하였다. 유근피가 약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실험한 결과, 유근피를 첨가한 약과는 첨가하지 않은 약과에 비해서 지질산화가 적게 일어나, 약과의 저장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인 특성을 비롯한 품질특성과 지질산패 정도를 평가한 결과, 유근피 추출물을 0.1% 첨가한 약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액란과 생란의 난황으로 제조한 블루베리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okies Containing Blueberry Powder and Different Types of Egg Yolk)

  • 김경옥;유아남;윤이나;박현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999-10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 분말을 첨가한 쿠키를 생란 또는 액란 형태의 난황으로 제조한 후 쿠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항산화능을 측정하여 기능성 쿠키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블루베리 분말이 첨가되지 않은 쿠키의 경우 생란 제조 쿠키에 비하여 액란 제조 쿠키에서 더 높은 수분 함량을 보였다. 또한 색도 측정 결과 액란 제조 쿠키에서 적색도가 높은 반면 명도, 황색도에서는 생란 제조 쿠키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인 총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측정 결과 난황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블루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물질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능 측정 결과에서도 난황의 종류에 상관없이 블루베리 분말 첨가량이 높을수록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났다.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를 비교하였을 때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생란 제조 쿠키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총 안토시아닌 함량에서는 액란 제조 쿠키에서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에 따른 항산화능 측정 결과 10%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는 생란 제조 쿠키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나,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는 액란 제조 쿠키에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쿠키의 관능적 품질특성 비교에서는 난황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측정되지 않았다. 생란 제조 쿠키의 경우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 향미는 높은 점수를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액란 제조 쿠키의 경우 향미, 맛, 질감에 있어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액란 제조 쿠키에서는 전반적 기호도가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화학적 결과와 관능적 품질특성 결과를 보아 제품화 단계로 진행될 시 생란과 액란에 따른 제조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블루베리 분말 첨가에 있어서는 항산화능과 관능적 품질특성에서 높은 값을 보인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가 제품화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Phytic Acid의 분해특성 및 항산화 활성 (Radiolytic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hytic Acid by Gamma Irradiation)

  • 박희라;이철호;안현주;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52-1256
    • /
    • 2004
  • 방사선 조사에 의한 phytic acid의 분해특성 및 항라디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hytic acid를 수용액 모델에서 방사선 조사(0∼20 kGy) 후 기존 항산화제(ascorbic acid, tocopherol, BHA)와의 항산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phytic acid의 조사분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분해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phytic acid의 농도에 따라 방사선에 의한 영향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phy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사선 조사분해 정도가 감소하였다. 항산화 특성의 측정 결과, 방사선 조사된 phytic acid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형성되었으며, 조사선량 및 phy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동안 유지산패의 억제효과는 기존 항산화제보다 phytic acid의 항산화성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지 혹은 다소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시 phytic acid의 조사분해와 동시에 항산화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 뽕나무 유전자원의 재배생태적 특성 및 항산화능 분석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Genetic Resources conserved by Jeollabuk-Do)

  • 김현복;고성혁;오남기;정종성;성규병;홍인표;정인모;이광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60-66
    • /
    • 2007
  • 기능성 소재로서 각광받고 있는 뽕잎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특히 전라북도에서 보유하고 있는 뽕나무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재배생태적 특성을 조사함과 동시에 품종별 및 시기별 뽕잎의 항산화능 변화 양상을 구명함으로써 항산화능이 높은 유전자원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합적인 재배 생태적 특성 조사 결과 '신일뽕', '수원상 2호' 및 '일본금' 3계통은 뽕잎이 비교적 크고 수량이 많으며 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전라북도 유전자원을 활용한 뽕 품종 선택시 우수 품종으로 활용할 가치가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북 지역에서 뽕나무를 심을 경우 내동성에 약한 '구문용' 계통은 선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다. 2. 공시 계통 전체(15계통)의 뽕잎에 대한 항산화능을 품종별 및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춘기 뽕잎의 경우 5개 엽기의 어린 뽕잎의 항산화능은 1380.1 nmol이었으며, 오디가 착색되기 직전에 채취한 뽕잎의 항산화능은 1611.8 nmol으로 다소 증가된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오디가 성숙함에 따라 뽕잎의 항산화능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3. 추기 뽕잎의 항산화능은 춘기 뽕잎의 항산화능에 비해 높았다. 즉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2109.8 nmol, 2,617.8 nmol, 3,311.5 nmol으로 증가하였다. 추기 1차(8월16일 채취)의 경우 '용천뽕'의 항산화능이 4026.7 nmol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불란서'가 2659.7 nmol의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추기 2차(9월 15일 채취)에는 '갑선'과 '용천뽕'이 각각 3438.0 nmol, 3426.9 nmol로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추기 3차(10월 17일 채취)의 경우 '용천뽕'(4439.1 nmol '덕천상'(4307.7 nmol)의 항산화능이 높았다.

식물 phenolic compounds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lant Phenolic Compounds)

  • 최홍식;이창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17
    • /
    • 1993
  • 식물 특히,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식품에 널리 존재하고 있는 phenolic compounds는 simple phenols과 phenolic acids,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그리고 flavonoids 등의 세가지 종류들로 나누고 있다. 이들 물질은 일정수준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원성, 항암성을 지니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식물성 phenolic compounds의 특성, 산화작용과 항산화작용, phenolic compounds의 항산화 메카니즘, 그리고 식물성 phenolic compounds들의 항산화능 등에 대하여 차례로 살핀다. 특히,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에서의 이들 물질과 그들의 항산화성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 PDF

적갓김치의 발효특성 및 항산화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Red Mustard Leaf Kimchi)

  • 황정희;송영옥;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09-101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적갓김치의 발효과정에 따른 발효특성과 항산화성을 규명하기 위해 갓김치와 가열 쇠고기를 이용한 model system을 만들어 쇠고기 지방질에 대한 항산화성을 살펴보았고 용매별로 추출한 김치성분의 항산화성을 살펴보았다. 적 갓김치는 15$^{\circ}C$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6일째 김치의 pH가 4.5에 도달하였다. 발효진행에 따라서 산도는 증가하였고 환원당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이때 젖산균수 역시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또한 a-scorbic acid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다가 발효 6일째에 다시 다소 증가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생 시료에서보다는 갓김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총 페놀함량은 증가하였다. 적 갓김치를 가열쇠고기와의 model system을 조제하여 TBA가를 통해 항산화성을 살펴본 결과 첨가한 김치의 양이 많을수록 항산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시료일 때보다는 김치의 항산화성이 우수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된 숙성상태일 때 더 항산화성이 우수하였다. 동결건조시킨 적 갓김치를 물, 메탄올, 핵산 세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항산화성을 살펴보았을 때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담금직후보다는 숙성된 상태의 갓김치가 항산화성이 높았다.

  • PDF

탈지대두단백 산 가수 분해물과 당의 반응에 의하여 생산된 Maillard Reaction Products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Defatted Hydrolyzed Soybean Protein with Various Sugars)

  • 김윤숙;문지혜;김명희;최희돈;박용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9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단백 가수 분해물(HVP)인 탈지대두 단백산 가수 분해물(DFHSP)과 환원당(glucose, fructose, ribose)을 기본 원료로 하여 여러 가지 반응온도, 반응시간, 압력 등 다양한 반응조건 model system하에서 MRP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MRP생산을 위한 최적기질과 반응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반응액의 이화학적 특성은 pH, 갈변도, 색도의 변화로 비교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은 기호도로 비교하였다. 당 종류에 따른 MRP의 반응성을 비교한 결과, MRP의 pH 감소와 갈변도의 증가는 환원당 중 ribose와 반응시킨 MRP가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대기상태에서 제조된 시료보다 압력을 가해 반응시킨 MRP가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Glucose와 fructose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중에서도 R/DFHSP을 가압반응기에서 $140^{\circ}C$에서 30분 동안 2.8 kg/$cm^2$ 압력을 주어 반응시킨 MRP가 가장 높은 pH 감소와 갈변도를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의 경우 glucose나 fructose의 hexose보다 반응성이 큰 pentose인 ribose를 당원으로 한 R/DFHSP 반응계가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이를 가압상태의 조건으로 반응시킬 경우 항산화활성이 훨씬 증대되는 효과를 보였다. 관능적 특성비교 결과 ribose와 반응시킨 MRP가 고기 향에 근접한 MRP의 기질로 선정되었으며 대기압 상태의 낮은 반응조건에서 제조될 경우 탈지대두 단백 산 가수 분해물액 자체의 간장냄새로 인하여 기호도가 높지 않았다. 가압반응조건에서는 R/DFHSP을 $121^{\circ}C$에서 1.5 kg/$cm^2$의 압력 하에서 30분간 반응시킨 MRP의 경우 고기 향에 근접하는 평가를 얻었으나 $140^{\circ}C$에서 2.8kg/$cm^2$의 압력 하에서 제조 시 탄내가 심하여 기호도가 저하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반응성과 항산화적 측면에서는 ribose를 당원으로 하며 가압의 조건을 가해 MRP를 제조할 경우 상당한 항산화활성 증강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관능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는 높은 압력은 너무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기호도 감소의 원인이 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천마의 최적증자조건 설정 (Optimal Steaming Condition of Gastrodia elate Blume (Chunm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 이진만;김인호;김성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107-112
    • /
    • 2003
  • 천마를 채취한 그대로 이용하는 데에는 생체보존에 따른 불편, 독성 그리고 자극성 등의 부작용으로 간단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천마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개발을 위한 전처리 과정 중 증자 조건별로 천마의 항산화적 특성을 반응 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증자 조건을 설정하였다.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증자온도 $94.43^{\circ}C$, 증자시간 42.38min에서 최적이었고 전자 공여능은 증자온도 $101.67^{\circ}C$, 증자시간 41.09min에서 최적조건이었다.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100^{\circ}C$, 40min의 동일조건에서 최적으로 나타났다. 위 항산화적 특성의 증자조건을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으로 최적조건을 예측한 결과, 증자온도 96{\sim}107{\circ}C$, 증자시간 $28{\sim}46min$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임의의 증자조건 $100^{\circ}C$, 40min으로 실제 항산화 관련값을 측정한 결과 예측값의 $95.9%{\sim}115.6%$으로 유효성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