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법데이터

Search Result 28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Navigation Parameter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Russian GLONASS (러시아의 GLONASS 항법 파라미터 및 성능 분석)

  • Choi, Chang-Mo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2 no.1
    • /
    • pp.17-24
    • /
    • 2018
  • The Russia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LONASS) has been fully recovered since October 2011, and it has been significantly modernized. The recently launched GLONASS 752 was set for successful performance on October 16, 2017 and has resulted in 24-satellite constellation with 22 second-generation (GLONASS-M) satellites, and a third-generation (GLONASS-K) satellite.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not only the identified navigation parameters, but also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project based on its real data received from the studied satellites. It is verified that the 5-11 satellites are available for receiving navigation signal at this time. The obtained values of GDOP, PDOP, HDOP, VDOP, and TDOP are 2.790, 2.424, 1.169, 2.123, and 1.381, noted respectively in standard deviation. In fact, the level of positioning precision is about 1.4m in standard deviation. As a result, the positioning performances of the measured GLONASS and GPS are virtually identical. Therefore, we determine that the GLONASS is expected to be expanded for future applications.

국내 공항 주변환경에서의 전리층 폭풍이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및 비행 시험을 통한 Code-Carrier Divergence Test 결과 분석

  • Ju, Jeong-Min;Heo, Yun-Jeong;Jo, Jeong-Ho;Heo, Mun-Beo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5.3-35.3
    • /
    • 2010
  •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GBAS)은 지상에서 위성항법시스템에 대한 위치보정정보와 무결성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여 공항 주변 항공기의 정밀 이착륙을 돕는 지상기반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위성항법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리층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전리층 폭풍(Ionospheric storm)의 경우 공간적으로 급격한 위치오차 차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안정적인 항공기의 정밀이착륙을 위해서는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의 지상시스템(Ground Facility)과 항공기 탑재시스템에서의 전리층 폭풍에 대한 정확한 감시와 전리층 폭풍의 지배적 영향을 받는 위상항법신호를 제거하거나 보완하는 방식 등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들이 계속해서 연구 중이다. 이 논문에서는 2001년과 2003년 미국에서 발생한 전리층 폭풍에 대한 위성항법데이터 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전리층 폭풍에 대한 모델링과 지상시스템과 항공기 간의 공간적 상이현상(Spacial decorrelation)을 고려하여 전리층 폭풍이 항공기 이착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전리층 폭풍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을 하기 위해서는 전리층 폭풍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전리층 폭풍 발생 시 획득한 위성항법 데이터를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이 선행되며 이러한 분석결과와 항공기 이착륙에 절차를 반영하여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수학적 모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모델을 국내 공항에서 실제 비행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위성항법데이터에 적용하여 전리층 폭풍이 국내 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표적 전리층 폭풍 감지기법 중 하나인 Code-Carrier Divergence Test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는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에 대한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 연구의 기반이 되며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한 다양한 시뮬레이션환경의 하나로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Terrain Aided Inertial Navigation for Precise Planetary Landing (정밀 행성 착륙을 위한 지형 보조 관성 항법 연구)

  • Jeong, Bo-Young;Choi, Yoon-Hyuk;Jo, Su-Jang;Bang, Hyo-Ch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7
    • /
    • pp.673-683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errain Aided Inertial Navigation(TAIN) which consists of 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 with the optical sensor for precise planetary landing. Image processing is conducted to extract the feature points between measured terrain data and on-board implemented terrain information. The navigation algorithm with Iterated Extended Kalman Filter(IEKF) can compensate for the navigation error, and provide precise navigation information compared to single INS. Simulation results are us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integration to accomplish precise planetary landing. The proposed navigation approach can be implemented to the whole system coupled with guidance and control laws.

위성항법 지상국 및 탐색구조단말기 기술개발 및 시험

  • Lee, Sang-Uk;Sin, Cheon-Sik;Lee, Jeom-Hun;Jeong, Seong-Gyu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6.4-36.4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신호감시국, 상향링크국, 감시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 위성항법 지상국과 탐색구조단말기 관련 기술내용과 그 시험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위성항법 지상국 시스템 및 탐색구조 단말기 기술 개발은 향상된 위치기반서비스와 재난시 신속한 탐색구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것으로 그 핵심기술 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개발된 신호감시국용 고정밀 위성항법 수신기 기술은 고정밀 전문용 위성항법 단말기의 상용화의 추진하며 감시제어시스템은 GPS 및 갈릴레오 신호 감시 데이터를 위성항법 통제센터(GNSS Control Center: GCC)에 제공하고, 향상된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며, 위성항법 신호감시국의 장비를 감시 제어하며, GPS 및 갈릴레오 서비스를 위한 가용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향링크국에서는 다중 중궤도 위성 추적시스템과 상향링크 데이터 처리를 목적으로 한다. 탐색구조 단말기 기술개발은 항법 칩셋을 탑재한 2세대 탐색구조 단말기를 개발 완료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조난구조가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를 국내외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 하였으며, 2세대 탐색구조 단말기의 소형화 저전력화에 성공하여 상용화 및 국제인증을 완료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술개발 내용과 그검증을 위한 시험 결과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달 탐사선의 항행해 결정을 위한 심우주 예비 항법 소프트웨어의 개발

  • Kim, Jae-Hyeok;Song, Yeong-Ju;Park, Sang-Yeo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28.4-29
    • /
    • 2010
  • 이 연구는 심우주 추적망(Deep Space Network) 측정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한국형 심우주 항법 예비 소프트웨어(Korean Deep Space Orbit Determination Program version 1; K-DSODP ver.1)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주 내용은 심우주 항법을 위한 기초 기술 연구로 지구로부터 달까지 진행하는 탐사선의 궤적 추정에 대한 것이며, 연구의 시작에 앞서 사용될 관측 데이터를 얻기 위해 한국형 심우주 항법 관측데이터 생성 소프트웨어(Korean Deep Space Observation Data Generation Program version 1; K-DSODGP ver.1)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임의의 잡음이 추가된 가상의 관측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 관측 데이터를 실제 궤도로 상정하여 기하학적인 관측 모델을 수립하였고, 일정한 시간 간격동안 모은 임의의 관측 데이터를 가지고 궤도 결정을 수행하여 추정된 궤도를 전파하였다. 궤도 결정 알고리즘을 구성하기 위해 기본적인 좌표계, 탐사선에 미치는 지구의 중력에 대한 동역학 모델, 천체력과 탐사선의 동역학 모델로 구성된 관측 모델들을 유도하였으며, 탐사선의 위치와 속도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가중치 최소 자승법을 적용하여 추정 궤도와 실제 궤도의 최소화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요구한 시각의 탐사선의 위치와 속도를 결정하는 궤도결정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궤도 결정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전파된 궤도와 실제 궤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300초마다 관측데이터를 받을 경우, 2일 이상의 궤도결정 시간간격을 상정했을 때 평균 오차는 각각 약 0.26km RMS(range), 6.84km/s RMS(range-rate) 이내의 결과를 얻었고, 600초마다 관측데이터를 받을 경우, 평균 오차는 각각 약 0.30km RMS (range), 6.35km/s RMS(range-rate) 이내의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추후 심화된 심우주 항법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p Databases for Telematics and Car Navigation Systems using an Embedded DBMS

  • Joo, Yong-Jin;Kim, Jung-Yeop;Lee, Yong-Ik;Moon, Kyung-Ky;Park, Soo-H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4 s.39
    • /
    • pp.379-389
    • /
    • 2006
  • Map databases for CNS (Car Navigation System) can be accessed quickly and compressed efficiently due to that these are usually recorded as in a PSF (Physical Storage Format). However, it is difficult to create and manage data storage based on a file-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DBMS needs to be combined with spatial data management. Therefore, we developed an embedded DBMS with which to store data and conduct quick searches in CNS. Spatial data could be easily managed and accessed using the compression method, Multi-Link, spatial index, and spatial division. In the result, the proposed embedded DBMS searched quickly and stably supported data management. If synchronization is applied in DBMS, it is expected to utilize the advantages of an embedded DBMS.

  • PDF

UAV 의사위성 항법 시스템의 항법 메시지 형식 제안

  • Kim, Do-Yun;Park, Byeong-Un;Lee, Sang-Hyo;Jo, Am;Kim, Ji-Hun;Gi,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463-466
    • /
    • 2006
  • 본 논문은 UAV를 이용한 항공기 기반 의사위성 항법시스템의 항법 메시지를 설계하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논문에서는 먼저 GPS 보강 시스템 혹은 독자적인 지역 항법시스템으로 응용이 가능한 UAV 의사위성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UAV의 기동은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매우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므로, 위치를 나타내는 항법메시지의 설계에 특별한 고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UAV의 직선 경로와 원 경로에 대해 각각 고유한 메시지 형식을 사용하고, 이 각각의 메시지를 nominal 메시지와 deviation 메시지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메시지의 전체 크기를 줄일 뿐만 아니라 시간 지연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줄어든 메시지 크기로 인해 남게 되는 공간은 다른 유용한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형식의 성능 검증을 위해서 실제 UAV의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가 단일 안테나 GPS 수신기를 사용한 제한된 제어 시스템을 가진 실험 수준의 UAV로부터 얻은 것이었지만, 전체적인 성능은 위성항법시스템에 근접한 수준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메시지 형식과 관련 설계 방법은 비행선이나 기구를 이용한 시스템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High Precision Position Estimator Using GPS/INS Sensor Fusion (GPS/INS센서 융합을 이용한 고 정밀 위치 추정에 관한 연구)

  • Lee, Jeongwhan;Kim, Hans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49 no.11
    • /
    • pp.159-166
    • /
    • 2012
  • There are several ways such as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 to track the location of moving vehicle. The GPS has the advantages of having non-accumulative error even if it brings about errors. In order to obtain the position information, we need to receive at least 3 satellites information. But, the weak point is that GPS is not useful when the 혠 signal is weak or it is in the incommunicable region such as tunnel. In the case of INS, th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and posture of mobile with several Hz~several hundreds Hz data speed is recorded for velocity, direction. INS shows a very precise navigational performance for a short period,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velocity components because of the accumulated error during integration over time. In this paper, sensor fusion algorithm is applied to both of INS and GPS for the position information to overcome the drawbacks. The proposed system gets an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from experiment using SVD in a non-accessible GPS terrain.

수중 무인항체를 위한 Vision/INS 통합 항법

  • Park, Seul-Gi;Jo, Deuk-Jae;Park, S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3
    • /
    • 2010
  • 수중 무인항체(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UV)를 고정밀, 고위험 임무수행 분야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이고 정확한 항법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항공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연속적이고 정확한 항법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센서를 결합한 통합 항법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며, GPS나 음향장치를 관성센서와 통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수중 무인항체에 경우는 해수면 노출로 인한 탐사시간 장기화와 음향장치 설치 및 회수의 한계로 인하여 GPS나 음향장치 이외에 센서를 이용한 통합 항법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성이 높으면서,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항법성능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Vision/INS 통합 항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통합 항법알고리즘은 외부표정요소 직접결정기법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항체의 위치와 자세를 추정하고, 추정된 결과를 INS의 추정치와 비교한다. 그리고 추정한 위치와 자세오차를 입력으로 칼만필터를 구동하도록 설계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지형참조항법시스템의 발전 동향

  • Yu, Yeong-Min;Yu, Myeong-Jong;Park, Chan-Guk
    • ICROS
    • /
    • v.19 no.1
    • /
    • pp.19-31
    • /
    • 2013
  • 본 고는 국내외의 지형참조항법시스템 관련 기술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형참조항법은 국외에서 1940년대부터 그 필요성이 대두된 학문으로 잠수정, 군용 전투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로 군사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950년 ATRAN의 개발을 시작으로 1990년대 PTAN 지형참조항법기술까지 발전되어 무인기뿐만 아닌 Tomahawk 같은 유도무기에도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적인 제약과 GPS의 발달로 관련 연구가 주춤하였으나 컴퓨터 기술의 발달, 지형측정센서의 정확도 향상과 더불어 GPS 교란 가능성 등이 부각되면서 최근 다시 관성항법시스템(INS)을 보조하는 대체 항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주로 다중 측정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비선형 필터를 이용하여 항법해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병렬 다중필터를 이용하여 항법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리고 다양한 지구물리데이터와 통합한 데이터베이스기반 복합항법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