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만컨테이너터미널

Search Result 44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효율적인 공컨테이너 관리를 위한 수직형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이송모델 연구

  • Jang, Jae-Hwan;Lee, Je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18-220
    • /
    • 2019
  • 전 세계 주요 항만에서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가 추진되고 있으나, 기존 터미널 자동화 모형은 수출입 화물의 단순 양하에 초점을 둔 서구형 수직 배열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다양한 On Dock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의 경우, 터미널 자동화 추진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 On Dock 서비스 중 주요 업무인 공컨테이너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수직 배열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내 이송모델을 제시하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우리나라 부산항 항만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Ryu, Dong-Geun;Kim, T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66-169
    • /
    • 2011
  • 항만간 허브항 경쟁이 극심해 지고 있는 오늘날, 컨테이너 선사는 M&A 및 전략적 제휴로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와의 가격 협상력의 우월적 지위를 갖게 되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간 선사 및 화물유치를 경쟁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그러나 수요측면에서 컨테이너물동량 증가율 둔화로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처리해야 할 물동량은 한정되어 있는 반면, 공급 측면에서 항만터미널의 지속적인 건설은 항만간 또는 터미널간 물량 유치경쟁을 과열시키고 있다. 특히 부산항은 신항 개장이후 북항과 신항간 물동량 유치경쟁으로 인하여 항만하역시장의 교란을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컨테이너 항만하역시장의 구조적 특성분석과 설문조사 방법론을 통하여 향후 부산항 항만하역시장의 안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장구조 분석결과 부산항은 한정된 처리물량과 신항의 개장으로 인한 공급과잉, 그리고 정부의 지역항만개발정책에 따른 컨테이너화물의 분산처리로 지속적인 부산항의 비중 감소로 선석당 처리물량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사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하역료 인하요구로 터미널운영사간에 서비스경쟁이 아닌 비협력적인 가격경쟁으로 재정수지가 악화되고 있고, 또한 '10년 외국적선사의 처리물량이 60%를 차지하고 있어 국부유출이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으로 항만시설 수요 및 공급의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하여 항만풀링공동기금관리를 통한 재정수지를 확보할 수 있는 항만풀링제도를 제안하며, 이 제도의 운영을 위하여 한시적으로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별 처리물량 상한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 적정 임대규모 검토

  • Gil,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89-91
    • /
    • 2012
  • 컨테이너터미널의 규모는 내용년수 기간 동안 해당 터미널의 관리, 운영, 경쟁적 지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해당 항만의 경쟁구조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항만당국과 터미널 운영사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기에 앞서 터미널 규모의 중요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론상 특정 설비/기업의 규모는 전형적으로 최소효율규모(MES)와 관련하여 규정되지만, 컨테이너터미널의 규모는 이론과 실제상 MES와 기타 여러 요소가 결합되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위 운영사가 선호하는 적정 컨테이너터미널 규모는 항만거버넌스 구조와 목표, 시장규모와 구조, 기술변화와 운영상의 고려요소, 선사의 운항패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세계 주요 항만의 컨테이너터미널 적정 임대규모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컨테이너 터미널 유형별 이송장비 투자가치 분석 (자율주행 차량 운영관점)

  • Jeong, Seung-Ho;Gil, Sang-Hui;Song, Hyang-Seop;Cheon, Y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55-156
    • /
    • 2020
  • 해양수산부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 해상물류체계 구축전략"의 일환으로, 스마트 항만 도입 및 항만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하는 야드 트럭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항만의 야드 트럭 운영 환경은 무신호 교차로 주행, 낮은 GPS 정확도, 악천후 상황 주행, 컨테이너 이송을 위한 정차 등과 같이 일반 도로에서의 자율주행차량 운행 환경과는 달라 기존의 자율주행차량 기술을 바로 적용할 수 없어 항만 내 자율협력주행기반 이송장비 도입을 위한 별도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송장비 도입을 위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유형별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이송장비의 투자가치 분석 및 민감도 분석을 통해 항만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소규모 인접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Yard Co-petition Area 활용 모델 연구

  • Jang, Won-Ho;Lee, Je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50-352
    • /
    • 2018
  • 컨테이너터미널은 적정 규모의 선석(길이)과 야드 부지를 확보하였을 때, 운영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하지만 부산신항을 비롯한 일부 컨테이너항만은 운영주체 분리로 인해 소규모 터미널이 분리 운영되어 물류 효율성에 제약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접한 2개의 소규모 터미널에 야드 코피티션 영역을 활용할 경우, 기존에 비해 전체 터미널 운영(물류) 효율성이 크게 제고될 수 있음을 분석한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 장치장에서 외부트럭 인터페이싱 방법에 따른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Choe, Hyeong-Rim;Gwon, Hae-Gyeong;Son, Jeong-Rak;Lee, Ho-In;Sin, Jung-Jo;Lee, H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187-188
    • /
    • 2009
  •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출현 이후 각국의 항만들은 메가 허브 포트가 되기 위하여 첨단기술을 컨테이너터미널 업무에 적용하는 등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에서는 게이트, 야드, 안벽 업무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들 업무간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각 업무들 간에 인터페이스가 원활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현재 컨테이너터미널의 야드 업무에서는 외부차량과의 인터페이스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바코드를 이용한 키오스크 기반 외부트럭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변화해가는 항만 환경 속에서 좀 더 효율적인 야드 업무 처리를 위해서는 신기술이 적용된 외부트럭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컨테이너터미널 야드 업무에서 외부트럭과의 인터페이싱 방안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RFID 기반 외부트럭 인터페이스와 기존 사용되고 있는 키오스크 기반 외부트럭 인터페이스를 비교 분석을 통하여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의 에너지 소비 패턴 분석

  • Son, Ho-Seong;Choe,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10a
    • /
    • pp.7-8
    • /
    • 2009
  •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시스템은 유류 및 전기 에너지를 주로 소모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컨테이너의 작업량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에서 하역작업시 장비별로 소비하는 에너지소비 패턴분석을 하고자 한다. 에너지소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하역장비별 에너지 소모량과 영역별 컨테이너 처리량을 상호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의 월별 소비패턴에서 정상적인 에너지 소비패턴과 비정상적인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류하는 방법을 도출하고 정상적인 에너지소비 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Market and Management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시장 및 경영 현황 분석)

  • Lee, Joo-Ho;Won, Seung-Hwan;Choi, Na-Young-Hwan;Yun, Won-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2 no.3
    • /
    • pp.47-66
    • /
    • 2016
  • Once it has been built, a container terminal is impossible to move to another location. It is hard to rectify wrong decisions in a container terminal.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cision making for a container terminal. The port management about a container terminal has developed from a cargo interface location between sea and land transport, to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procedures due to globalization among global shipping and terminal operator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urrent states of market and management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by investigating up-to-date data for them. The current market states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analyzed by using by Herfindahl-Hirschman Index. The analyses of current management states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divided into profitability analysis, activity analysis, and bankruptcy risk analysis. Finally,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by the current management states.

컨테이너터미널 게이트 운영효율성 향상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 Kim, Yong-Jin;Gang, Da-Yeon;Jang,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35-236
    • /
    • 2012
  • 국내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인 K컨테이너터미널이 스마트폰 기능을 터미널운영시스템에 도입하고 있다. "스마트로(SmartLo)"라고 이름 붙여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화물차 운전기사들이 항만출입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 게이트에서 스마트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컨테이너터미널에서는 사전정보 조회를 통하여 외부 정보오류 최소화와 게이트 내 혼잡 해소, 화물에 대한 신속한 반출입을 통한 고객 서비스 증대, 스마트 슬립(e-SLIP)발급으로 슬립 구입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운송차량은 신속한 게이트 통과로 운송회전율의 향상, 전배 및 셔틀 운송시 화물에 대한 적기 운송이 가능하게 되고, 운송사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배차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PDF

터미널 생산성향상을 위한 풀링시스템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연구

  • Cha, Sang-Hyeon;No, Cha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61-16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이송장비를 이용한 GC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GC가 대기하는 일이 업도록 이송장비의 운반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고, 수동 컨테이너 터미널의 Non Pooling System과 자동 컨테이너터미널에서 Pooing System의 이송장비 할당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제로 적용하여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향상의 차이를 비교 분석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