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고혈압활성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7초

알코올 발효성 야생 효모, Aureobasidium pullulans P-1의 균학적 특성과 막걸리 발효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coholfermenting Wild Yeast, Aureobasidium pullulans P-1 and Its Makgeolli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 홍용철;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7-314
    • /
    • 2018
  • 본 연구는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한 야생 효모를 막걸리 발효에 응용할 목적으로 충남 예산군 예당저수지 야생화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야생 효모들 중 에탄올 생산 우수 효모로 선발한 Aureobasidium pullulans P-1의 균학적 특성과 막걸리 발효 조건을 조사하였다. A. pullulans P-1는 출아에 의해 영양증식을 하였고 자낭포자를 생성하는 유포자 효모로서 내당성과 에탄올 내성이 강한 호염성 야생 효모이었다. A. pullulans P-1의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배양액을 주모로 증자미와 입국과 물이 혼합된 술밑에 5% 첨가한 후 $25^{\circ}C$에서 1~10일간 발효시키면서 발효 중의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에탄올 함량은 $25^{\circ}C$로 10일간 발효시켰을 때 가장 많은 8.45%를 생성하였고 관능 특성이 우수하였으며 항고혈압 활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71.1%로 높았다.

한약재들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 작용 검색 (In vitro Screening of Oriental Medicinal Plants for Inhibitory Effects o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 강대길;오현철;손은진;권태오;이호섭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9
    • /
    • 2001
  •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 51종을 극성에 따라 4가지 용매로 분획한 후 안지오텐신 전환 요소 활성도 억제를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2종의 분획중 $400{\;}\mu\textrm{g}/ml$의 농도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도를 50% 이상 억제한 추출물 수는 26종이었고, 90% 이상 억제한 추출물 수는 4종이었다. 2. 대부분 추출물의 $IC_{50}$ 수치는 $300-400{\;}\mu\textrm{g}/ml$ 이었으나 택사의 물층, 황련의 buthanol, 물 추출물과 단삼의 ethylacetate, buthanol 추출물, 토사자의 ethylacetate 추출물 등은 6종의 추출물은 $200{\;}\mu\textrm{g}/ml$ 이하의 $IC_{50}$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많은 한약재들의 항고혈압 효과는 부분적으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를 억제하는 효과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구기자를 이용한 전통주의 제조 및 생리 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 이대형;박원종;이봉춘;이주찬;이대형;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89-794
    • /
    • 2005
  • 구기자(Lycii fructus)를 이용한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구기자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기자 전통주에 지골피, 두충, 감초와 민들레를 0.1%-3.0%까지 각각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발효주를 제조한 후 에탄올 생성량과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구기자 전통주에 지골피 0.1%, 두충 0.1%, 감초와 민들레 각각 1.0%를 덧밥에 첨가하여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전체적인 기호도도 우수하였다. 여기에 구기자 잎을 0.1%, 0.5%, 1.0%씩 각각 첨가하여 구기자 전통주를 제조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구기자 잎을 0.1% 첨가하여 제조한 전통주가 기호도가 제일 높았고 항고혈압 활성을 나타내는 ACE 저해활성도 68.5%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맛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Pholiota nameko sp. ethanol extract)

  • 조세현;진경언;우양;정경주;윤형식;유영복;박기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2-149
    • /
    • 2010
  • 맛버섯 10계통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polyphenol 및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 및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전 계통에서 전반적으로 40 mg% 함량 이상이였고, 맛버섯 M-1548이 $61.50{\pm}0.59$ mg%로 가장 높았다. ${\beta}$-glucan 함량에서도 맛버섯 M-1548에서 $37.20{\pm}1.12%$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맛버섯 M-900에서 $36.35{\pm}1.11%$, M-1630에서 $36.24{\pm}1.27%$의 순서로 높은 ${\beta}$-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항당뇨 활성에서도 역시 맛버섯 M-1548이 $13.78{\pm}0.56%$로 가장 높은 효소 저해율을 보였으나 항염 활성에서는 맛버섯 M-1630이 $56.59{\pm}7.11%$로 가장 높은 nitric oxide 저해율을 보였으며 맛버섯 M-1548은 $26.21{\pm}0.5%$로 미미한 저해율을 보였다. 전자공여능 및 ACE 저해활성, nitrite 저해활성은 효과가 없거나 미미한 활성만을 나타냈다.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1 mg/mL로 처리시 폐암세포에 대해 전반적으로 30%이상의 세포 사멸율을 보였으며, 자궁경부암세포에서도 맛버섯 M-1548에서 $10.05{\pm}0.44%$의 세포 사멸율을 보였다. 그러나 대장암세포와 정상세포인 섬유아세포에서는 세포 사멸율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맛버섯 10계통은 폐암세포와 자궁경부암세포에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정상세포에 대해선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걸 확인하였다.

  • PDF

몇 가지 주요 식용버섯의 생리기능성 물질 탐색과 파골세포 분화 저해물질의 생산 (Screening of Bioactive Compounds from Edible Mushroom and Production of Anti-osteoporosis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

  • 장인택;김영헌;김정한;이윤혜;주영철;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4-117
    • /
    • 2012
  •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생리기능성 물질을 개발을 위해 몇가지 식용 버섯들의 물 추출물들을 제조한 후 이들 추출물들의 파골세포 분화 저해활성등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시료 버섯자실체들의 물 추출물 중, 느타리버섯의 물 추출물은 73.2%, 만가닥버섯은 65.3%의 비교적 높은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보였고 느타리버섯의 물 추출물은 73.3%의 높은 항통풍성 잔틴 산화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만가닥버섯의 물 추출물이 21.5 mm투명환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보였고 잣버섯 물 추출물 역시 40.3%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매우 미약 하였다. 또한 큰느타리버섯과 만가닥버섯의 물 추출물들은 파골세포 분화 저해활성이 높았으나, 잣버섯과 느타리버섯의 물 추출물에서는 파골세포 분화 저해활성이 없었다.

매생이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Maesaengi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α-Glucosidase)

  • 조은경;유슬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11-818
    • /
    • 2011
  • 해조류 매생이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또는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증가율을 보였는데, 10 mg/ml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10.8, 62.4%, SOD 유사활성은 각각 13.8, 27.1%로 나타났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에서는 1 mg/ml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5.9, 49.7%의 활성을 보여 비교적 높은 효능이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나타났다.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저해능 분석으로 측정하였는데, 1 mg/ml 농도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1.4, 67.3%로써 비교적 높은 효능을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보였다. 매생이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심지어 acetaldehyde 분해능은 관찰되지 않았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각각 75.9, 51.2%로 나타났다.

폴리페놀 화합물과 항생제의 상호작용 (Interaction with Polyphenols and Antibiotics)

  • 조지중;김혜수;김철환;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6-481
    • /
    • 2017
  • 항산화, 항알러지, 항염증, 항암, 항고혈압,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페놀 화합물은 고등식물에 의해 생산되는 2차 대사산물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페놀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와 비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 나뉘며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비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우수하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칼콘, 플라반-3-올(카테킨), 플라바논, 플라본, 플라보놀, 프로안토시아니딘 등이며 플라보놀 화합물은 그람 음성 세균(Fusobacterium nucleatum,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melaninogenica, Prevotella oralis)과 그람 양성 세균(Actinomyces naeslundii, Lactobacillus acidophilus,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비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중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커피산, 갈릭산, 페룰산 등이며 그람 양성 세균(Listeria monocytogenes, S. aureus)과 그람 음성 세균(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젠타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보다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플라본 화합물인 캠퍼롤과 퀘세틴은 단독 사용보다는 리팜피신, 시플록사신과 병용하였을 떄 S. aureus와 메티실린 내성 S. aureus (MRSA)에 대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고,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는 베타락탐계 항생제와 병용했을 때 MRSA 에 대한 대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한국 녹차에서 분리된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등의 차 폴리페놀류는 임상에서 분리한 MRSA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옥사실린과 병용했을 때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주산 녹차, 발효차 추출물과 바나듐의 식후 혈당강하 및 항고혈압 기능에 미치는 In Vitro 효과 (Inhibitory Effect of Jeju Tea Extracts and Vanadate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and Hypertension, and In Vitro Study)

  • 박신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98-407
    • /
    • 2020
  • 현대인의 기호식품인 차를 이용하여 비 발효차인 녹차와 3가지 발효차로 구분하여 식후 고혈당의 지표가 되는 알파글루코시데이스(α-glucosidase) 활성과 고혈압활성의 지표로 사용되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의 억제작용을 확인하였다.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의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녹차추출물에 인슐린과 유사기능이 있다고 밝혀진 바나듐을 미량(50 ㎍/mL)으로 혼합하여 α-glucosidase 활성 억제를 위한 상승효과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녹차의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농도와 카페인(caffeine)의 농도를 측정하여 녹차와 발효차 효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녹차와 발효차 추출물로부터 식후 혈당을 증가시키는 α-glucosidase 활성이 크게 억제되어 차의 식후 혈당저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차 추출물 중에서도 20% 발효차가 가장 우수한 기능을 보였다. 그러나 차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바나듐과 함께 처리한 경우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α-glucosidase 저해효과는 저 농도(50 ㎍/mL)의 녹차와 바나듐 혼합 처리에서 단독 처리에 비해 저해활성이 2배나 증가되어 녹차가 바나듐과 가장 큰 상승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ACE 저해활성은 모든 차 추출물에서 확인되었으나 녹차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어 녹차가 다른 차에 비해 가장 높게 측정된 EGCG 농도의 효과로 생각되며 발효차의 식후 혈당강하 및 ACE 저해효과는 EGCG 외에 또 다른 기능성물질이 관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두충으로부터 분리한 Iignan glycoside 의 ACE 활성 억제 (ACE Inhibitory Lignan Glycosides Isolated from Eucommia ulmoides Oliver)

  • 주옥수;남상해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98-704
    • /
    • 2009
  • 두충 (Eucommia ulmoides Oliver)으로부터 항고혈압 활성을 가진 유효물질을 분리하였으며, 두충의 잎, 껍질 및 줄기를 건조한 것과, 건조한 후 붉은 것에 대하여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실험하였다. 두충으로부터 분리 한 유효물질은 pinoresinol-4,4'-di-O-${\beta}$-D-glucoside (PG)와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G)였으며, 이들은 각각 껍질과 잎에 많이 함유되 어 있었다. 즉 pinoresinol-4,4'-di-O-${\beta}$-D-glucoside (PG)는 자연 건조한 껍질에 135.12 mg%, 붉은 껍질에 163.94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G)는 자연 건조한 잎에 117.43 mg%, 붉은 잎에 133.93 mg%로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ACE 억제활성은 볶은 잎, 말린 껍질 및 볶은 껍질을 10 mg/ml씩 처리하였을 때, 각각 77.49, 75.52 및 75.3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두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인 pinoresinol-4,4'-di-O-${\beta}$ -D-glucoside (PG)와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C)를 1${\sim}$10 mg/ml 처리하였을 때에 는 67.1${\sim}$85.25% 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IC_{50}$값은 각각 0.6${\pm}$0.2, 0.5${\pm}$0.2 mg/ml 였다. 이것은 PG와 DAG가 두충에서 분리한 천연물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강원도 시판 막장제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조사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Gangwon-do Endemic Makjang Products)

  • 김병목;정지희;임지훈;정민정;정재형;최용석;심재만;정인학;김영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62-87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전통 막장제품(MJ) 12종을 수집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pH는 4.43~5.69로 나타났고 MJ5가 가장 높았으며, 염도는 11.1~16.9%로 분포되어 있었고 MJ3이 가장 높았다. 명도는 26.2~36.9, 적색도는 3.9~11.5, 황색도는 6.5~16.6으로 분포되어 있어 제품들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제품에 따라 342.41~605.92 mg%로 나타났고 MJ2가 가장 높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175.3~4,657.7 mg%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특히 MJ11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4,657.7 mg%로 제품들 중 가장 높았고,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lysine, leucine, isoleucine이었으며, 제품에 따라 GABA 함량이 높게(MJ12, MJ8, MJ4) 나타나기도 하였다. 지방산 총량은 1,598.6~2,874.4 mg%로 MJ10이 가장 높았고,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였으며, 오메가 6 지방산이며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지방산 총량 대비 약 37.7~46.7%를 차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제품에 따라 $401.48{\sim}746.67{\mu}g$ GAE/mL로 분포되어 있었고, MJ11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MJ11, MJ8 및 MJ4가 가장 높았고, SOD 유사 활성은 MJ12 및 MJ2가 가장 높았다.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MJ1과 MJ12가 가장 높았고, 위암세포주에 대해서는 MJ3과 MJ5가, 유방암세포주에 대해서는 MJ5가 가장 높았다. 간세포에 대한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는 MJ7이 가장 우수하였고, 항고혈압 효과는 MJ11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아미노태질소 함량과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높은 막장제품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등의 효과를 보이는 막장 제품들의 주요 원부재료는 메주, 보리, 고추씨 등이었으며(자료 미기입), 이들 원부재료의 배합비에 따라 함량과 효능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막장제품의 표준 제조방법 및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막장 원부료의 정밀분석, 제조원료에 따른 제품들 간의 상관 분석 등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