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합체

검색결과 1,401건 처리시간 0.024초

고분자 알로이용 고효율 상용화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Compatibilizer for Polymer Alloys)

  • 조창기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757-767
    • /
    • 1996
  •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g-카프로락톤)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것을 폴리카보네이트(PC)/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블렌드의 상용화제로 사용하였다. PC나 ABS와 비상용성인 폴리 알킬아크릴 레이트 주사슬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이것을 PC/ABS의 계면에 위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1중량부 포함하는 블렌드물은 충격 강도는 물론 파단 인장 강도에서 아주 향상된 값을 보였으며, 1/8인치 시편에서의 충격 강도 향상이 두드러졌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형태학적인 분석 결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존재가 좀더 매끄러운 PC/ABS 계면을 형성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변성 셀룰로오즈막의 표면물성과 혈액 적합성 (Surface Properties and Blood Compatibility of Modified Cellulose Membrane)

  • 이순홍;허훈;이영무;김진일;박영훈
    • 공업화학
    • /
    • 제4권1호
    • /
    • pp.188-195
    • /
    • 1993
  • 생체의료용 재료로서 응용 가능한 고분자 전해질복합체와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수용성 고분자 유도체로부터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들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CMC)와 젤라틴으로부터 제조하였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메틸셀룰로오즈(MC)에 아크릴산을 그라프트반응시켜 합성하였고, 이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젤라틴의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도 제조하였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들을 화학가교법과 열처리법으로 제조시 최적조건들을 조사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이들 재료들이 생체의료용 재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았다.

  • PDF

정공 및 전자 전달체의 기능기를 가진 공중합체를 사용한 단층형 유기 발광소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ed Organic EL Device Using a Copolymer Having Hole and Electron Transporting Moieties)

  • 이창호;김승욱;오세용
    • 폴리머
    • /
    • 제26권4호
    • /
    • pp.543-550
    • /
    • 2002
  • 곁사슬에 정공 및 전자 전달체로 triphenylamine moiety와 triazine moiety를 갖는 새로운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ITO/공중합체와 발광물질 (DCM, coumarin 6, DPvBi)/Al으로 구성되는 단층형 유기 EL 소자는 정공 전달 단위체와 전자 전달 단위체 비율이 6:4와 방광물질의 함유량이 30 wt%일 때 최고의 외부 양자 효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위에서 제작한 유기 EL 소자는 각각 발광물질에 상응하는 빨강 (620 nm), 초록 (520 nm)과 파랑색 (450 nm)의 빛을 발광하였다. 최고 휘도는 DC 12V에서 ITO/공중합체 (6:4)와 DCM (30 wt%)/Al으로 구성되는 소자를 구동하였을 때 500 cd/$m^2$이었다.

실리콘을 함유한 양친성 중합체의 합성 및 성질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mphiphilic Polymers Containing Silicone)

  • 윤구식;성용길;김성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6-80
    • /
    • 1995
  • 소수성 Polydimethylsiloxane(PDMS)과 친수성인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PHEMA)의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여러가지 용매의 팽윤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EMA의 용해도 파라미터$(\delta)$가 26$(J/c m^3)^{1}2}$인> 것으로 나타났다. PHEMA의 함량이 많은 공중합체에는 $\delta$값이 큰 에탄올의 함유율이 높았으며, PDMS의 함량이 많은 경우 $\delta$값이 작고 극성인 tetrahydrofuran의 함유율이 높았다. 또한 용매의 $\delta$값이 클수록 PDMS의 함량의 증가와 함께 용매 함유율은 증가하였다. 모델 의약으로 사용된 crystal violet(CV)의 흡수거동을 조사한 결과 CV의 흡수율은 PHEMA 단일 중합체보다 PDMS가 함유된 공중합체일 때 더 큰 값을 나타내었다. 공중합체 중의 PDMS 함량이 증가하면 CV의 흡수율은 감소하였다.

  • PDF

나일론 6-SBR-나일론 6 불록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Nylon 6-SBR-Nylon 6 Block Copolymers)

  • 조의환;이경우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4-430
    • /
    • 1976
  •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말단기로 가진 SBR 프리폴리마를 금속 나트륨을 촉매로 사용하여 ${\varepsilon}$-카프로락탐과 함께 음이온 중합시켜 나일론 6-SBR-나일론 6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촉매 농도의 변화는 반응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개시제인 SBR 프리폴리마의 농도는 0.5몰%일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반응온도는 $150^{\circ}C$일 때에 비하여 $185^{\circ}C$일 때가 수득률과 분자량의 증가를 보였다. 합성된 중합체의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1,730 cm^{-1}$의 우레탄 카르보닐 흡수띠로부터 블록 공중합체임을 확인하였고 프리폴리마와 나일론의 특성 흡수띠에서의 흡광도비로부터 공중합체의 조성을 추정하였다.

  • PDF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삼원공중합에 스티렌계 단량체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yrenic Monomers on the Metallocene Catalyzed Terpolymerization)

  • 김태완;윤귀림;김형중;김동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1호
    • /
    • pp.85-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메탈로센 촉매, 공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에틸렌, 1-헥센, 스티렌계 단량체가 포함된 삼원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교 및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스티렌계 단량체들로는 스티렌, p-methylstyrene, 4-tert-butylstyrene 이다. $^{13}C$ NMR과 $^1H$ NMR을 이용하여 삼원공중합체의 구조를 분석하였고 조성을 확인하였다. 삼원공중합체의 촉매활성도, 수율, 분자량을 비교하였고 삼원공중합체에 삽입된 스티렌계 단량체에 따른 유리전이온도, 결정화도 및 열적특성을 DMA, WAXS 및 TGA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을 이용한 Polystyrene-b-Poly(acrylic acid) 블록 이오노머의 합성 및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tyrene-b-Poly(acrylic acid) Block Ionomer via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 박계리;안성국;조창기
    • 폴리머
    • /
    • 제27권1호
    • /
    • pp.17-25
    • /
    • 2003
  •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 (ATRP)을 이용하여 CuBr/N,N,N',N",N"-pentamethyldiethylene triamine 촉매 시스템하에서 용액중합으로 polystyrene 거대 개시제와 polystyrene-b-t-poly(butyl acrylate) (PS-b-P(tBA))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한 후, 가수분해를 통해 polystrene-b-poly(acrylic acid)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얻었다. 또한, 이를 중화하여 블록 이오노머를 제조하였다. 합청된 PS-b-P(tBA)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5000-10000 정도로 조절되었고, 분자량 분포도 1.2 이하로 비교적 좁게 나타났다. 공중합체는 $^1$H-NMR, FT-IR로 분석하였으며, DSC로 열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 styrene의 비율이 더 많기 때문에 100 $^{\circ}C$ 근처에서 T$_{g}$가 나타났으며, TEM을 통해 이온 그룹의 상분리를 확인하였다.분리를 확인하였다.

Pyrochlore 상의 첨각가 PMN 요업체의 유전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chlore Phase on Dielectric Properties of PMN Ceramics)

  • 조상희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22-122
    • /
    • 1993
  • Perovskite형 PMN 은 약 -12$^{\circ}C$에서 Curie 최대치를 (Tm)를 가지며 1KHz에서 매우 5598;은 유전상수(~18000)를 갖기 때문에 유전체로의 응용이 큰데, PMN의제조시 쉽게 생성되는 Pyrochlore상은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유전률(⊆210)을 가져 계의 전체 유전률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런 이유로 이제까지의 연구의 초점의 주로 제조공정중 Pyrochlore 상의 첨가량 및 입자크기에 따른 PMN-Pyrechlore 2상혼합체에서 Prochlore 상의부피분률을 변화시킬 때 유전물의 변화률 GEM(General Effective Media)식을 이용하여 논의하고자한다. Pyrochlore상의 입자크기가 클 경우 2상혼합체 PMN 의 유전률은 Pyrocholre 상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입자크기가 작은 겨우 급겨한 갑소를 보였다. 결국 2상의 입자크기 차이는 2상혼합체인 PMN의유전류과 밀접하 ㄴ관계가 있으며. 또한 유전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임계부피분률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yrochlore상의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2상혼합체인 PMN의 유전률의 변화는 GEM식 적용에 있어서는 임계부피률과 t값을 정확히 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임계부피분률의 설정은 Perovskite PMN 과 Pyrochlore상의 입자 크기비를 이용하여 Kusy 이론을 기초로 결정하였으며, t 값은 퍼콜레이션 Power-law식에 적용시켜 정하였다였다

  • PDF

Poly(DL-lactic acid)/Poly(ethylene oxide)을 포함한 블록공중합체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Block Copolymer Comprising of Poly(DL-lactic acid) and Poly(ethylene oxide))

  • 이찬우;배기서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582-588
    • /
    • 2002
  • DL-lactide의 단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개환중합법으로 촉매로서 diethylzinc (ZnEt$_2$)를 사용하여, poly(ethylene oxide) (PEO)를 세그먼트로서 도입한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그 결과 DL-lactide에 대한 PEO세그먼트의 첨가비가 30% 이상에서는 조성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들 공중합체를 캐스트법에 의해 필름으로 제작하여 6$0^{\circ}C$에서 2.5배 연신하여 인장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공중합체 필름은 PDLLA에 대한 PEO에스테르 첨가비의 증대에 따라 탄성율이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어 세그먼트 도입에 의한 유연성의 증대를 확인하였으며 유연성이 요구되는 의용재료로서의 기대를 높였다.

폴리카보네이트 판 위에 Poly(benzoylphenylene)과 그의 공중합체들을 이용한 하드 코팅 (Hard Coatings on Polycarbonate Plate Using Poly(benzoylphenylene) and Its Copolymers)

  • 신연록;신영재;양도현;오미혜;윤여성;신재섭
    • 폴리머
    • /
    • 제32권5호
    • /
    • pp.427-432
    • /
    • 2008
  • 자동차의 유리를 폴리카보네이트로 대체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판 위에 하드 코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olyphenylene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이것들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판 위에 코팅을 시도하였다. 합성한 polyphenylene 유도체는 poly(benzoylphenylene)과 그의 phenylene 공합체들이다. Poly (benzoylphenylene)을 이용한 코팅은 최고 연필 경도 1H를 나타내었으며, 이것의 공중합체를 이용한 코팅에서는 최고 연필 경도 2H를 나타내었다. 내마모성도 공중합체가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