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합성폐수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eromons hydrophila PBl6 and Properties of Synthetic Wastewater Degradation (Protease 생성균 Aeromonas hydrophila PB16의 분리 및 합성폐수처리능)

  • 박형수;양선영;김무훈;이종광;유용호;박두현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8 no.4
    • /
    • pp.235-240
    • /
    • 2002
  • Protease producing bacterium, PB16 was isolated from food processing wastewater sludge and paddy field soil samples and selected by the clear zone and enzyme activity test. The isolate was gram negative, rod type and its protease productivity was 6.49 U/ml. As a result of API20NE kit test and 16S rDNA sequencying, the isolated PB16 was identified as Aeromonas hydrophila (99%). The growth rate ($h^{-1}$) was 0.21 in synthetic waste water only and 0.26 in synthetic waste water containing vitamin and mineral using a bioscreen C. Synthetic wastewater removal rate was 59 and 87%, respectively after 1 and 3 day reaction (intial CODcr was 2,472 mg/l).

미생물에 의한 산업폐수처리

  • 시천방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9.10a
    • /
    • pp.240.1-240
    • /
    • 1979
  • 하천, 호소등의 자정작용(Stream self purification), 즉 미생물에 의한 수중의 유기물의 안정화는, 유기물의 산화분해와 미생물세포의 합성이라는 두가지 대사과정의 조합에 의해 달성된다. 미생물에 의한 폐수처리는, 상술한 자연계의 자정작용을 인공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것이다. 즉, 미생물은 폐수중의 유기영양물을 산화분해하므로써 세포의 합성과 유지에 필요한 energy를 획득하며, 한편 폐수중의 유기물은 산화되어 안정화된다. 이산화반응을 생물학적산화라고 하며, 호기적산화와 혐기적산화의 두가지 형식으로 구별된다. 여기서는 폐수처리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분류, 또 폐수처리의 형식으로 호기적산화(산화지, 활성 오이법, 산포처상법 및 회전원판법)와 혐기적산화(Methane발효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활성오이법 에서 bulking 현상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미생물에 의한 폐수처리의 원리와함께 동력학식의 활성오이법에의 응용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PDF

Hydrogen Production from Tofu Manufacturing Wastewater by Heat-treated Anaerobic Microflora from the Concentrated Sewage Sludge (농축 하수오니 유래 열처리 혐기세균 복합체를 이용한 두부제조 폐수로부터 수소 생산)

  • Oh, You-Kwan;Kim, Mi-S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9 no.5
    • /
    • pp.410-416
    • /
    • 2008
  • 합성 및 두부 제조 폐수로부터 혐기 세균 복합체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였다. 수소생산 혐기 세균 복합체는 하수처리장 농축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90^{\circ}C$에서 20분간 열처리하여 얻었다. 혐기 세균 복합체는 $37^{\circ}C$ 회분식 운전조건에서 1% (w/v) 포도당 함유 PYG (peptone-yeast extract-glucose) 배지로부터 1.15 L-$H_2$/g-균체건조량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었고, 이때 주요 유기산으로 15 mM acetate와 32 mM butyrate가 생성되었다. 같은 발효조건에서 1.4% 전분과 0.07% 환원당을 포함하는 두부 제조 폐수로부터 1.76 L $H_2$/L-두부제조폐수의 수소를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포도당과 두부 제조 폐수로부터 혐기세균 복합체에 의한 수소생산 효율은 각각 1.9과 0.9 mol $H_2$/mol 포도당을 나타내었다. 반연속운전(HRT, 12 시간)시 합성폐수를 이용하여 60일 이상 안정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었고, 이 때 혐기 세균 복합체는 1.3-2.0 L $H_2$/L-배양액을 발생하였다. PCR-DGGE(polymer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분석결과, 반응기 내 세균 복합체의 주요 미생물은 Clostridium 종이었다. 본 연구는 적절한 열처리를 통해 혐기 소화조 슬러지로부터 고활성 수소생산 세균 복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세균 복합체를 이용하여 합성 및 두부제조 폐수로부터 효율적인 수소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eld application on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for removing 1,4-dioxane (1,4-dioxane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현장 적용성 검토)

  • Park, Doori;Lee, Kanghun;Jun, Moonhwee;Yeom, Ick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3-283
    • /
    • 2015
  • 1,4-dioxane은 페인트, 광택제 및 코팅제의 제조시에 첨가되는 화학물질로 인간에 대한 발암 가능성과 수중에서의 지속성으로 인해 EPA priority pollutant로 지정되어 있다. 이에 최근 고도산화법을 이용한 처리가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UV/$H_2O_2$ 공법을 통하여 수계에서 발견되는 난분해성 유기 오염물의 제거가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고도산화공정(AOP)은 다량의 에너지 소모와 산화제 투여로 인한 높은 운전비용이 현실적인 적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1,4-dioxane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생물학적 분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1,4-dioxane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주로 분해미생물의 분리동정 및 회분식 분해특성에 대한 연구들 위주로 보다 실질적인 연속적 처리반응조의 운전결과들은 거의보고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Lab scale 연속처리반응조의 장기운전 후 pilot plant 현장적용에 앞서 인공폐수와 합성폐수에서의 분해효율 비교 회분식 실험을 통해 합성폐수내 생물학적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inhibitor의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미생물의 배양 조건에 따른 분해효율 비교 회분식 실험과 modeling을 통하여 현장운영 효율을 예측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추후 진행예정인 pilot plant의 현장 적용성 검토 및 최적 설계인자 도출, 장기운전에서의 효율성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 PDF

Effect of Factors of Nitrification Process in Wastewater Treatment (폐수처리에 있어 질산화 공정 인자의 영향)

  • Jeong, Gwi-Taek;Park, Seok-Hwan;Park, Jae-Hee;Lim, Eun-Tae;Bang, Sung-Hun;Park, Don-Hee
    • KSBB Journal
    • /
    • v.24 no.3
    • /
    • pp.296-302
    • /
    • 2009
  •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such as initial ammonium nitrogen concentration, aeration rate. biomass amount and C/N ratio on nitrification process using synthetic wastewater and activated sludge obtained from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s a result, in high ammonium nitrogen concentration above 100 mg/L, the pH of wastewater was dropped to pH 6.8. The increases of initial ammonium nitrogen concentration, aeration rate and initial biomass amount were linearly enhanced the removal rate of ammonium nitrogen. In the condition of C/N ratio of 0 to 3, high ammonium nitrogen removal rate was obtained.

분리염료폐수처리를 위한 RO/NF 막의 분리특성

  • 안승호;노수홍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10a
    • /
    • pp.36-38
    • /
    • 1993
  • 염료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미반응 물질, 중간합성체, 반응기 세척액 등의 난분해성 물질과 함께 고농도의 염(salt)를 함유하고 있어 기존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서는 폐수를 3-5배 희석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폐수처리장의 규모가 커지고 처리 약품과 에너지의 소모가 증가하므로 처리가 비효율적으로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염료폐수처리 및 회수에 역삼투막을 적용하여 폐수의 농축과정에 따른 투과율, 배제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염료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염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 Nanofiltration(NF)막을 이용하여 염료성분과 염을 분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섬유폐수의 처리 및 재활용

  • 신재균;신성철;장재영;김정학;황기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0a
    • /
    • pp.69-71
    • /
    • 1994
  • 섬유폐수는 합성유기물인 염료와 발호공정에서의 호제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기존의 생물학적 처리법에 의한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 게다가 섬유산업은 여타산업에 비해 다량의 물을 소비하는 산업이다. 그동안의 산업의 고도 발전에 따라 앞으로는 물부족현상이 심해질 전망이며, 환경보전 및 보호에 대한 의식이 고취됨에 따라 이러한 섬유폐수의 처리도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그 효율을 극대화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막분리 공정으로서 한외여과, 역삼투 공정을 이용하여 염색$\cdot$제직폐수를 고도처리하여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염색$\cdot$제직폐수의 고도처리를 통한 재활용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Microbe Adhesion and Organic Removal from Synthetic Wastewater Treatment using Polypropylene Media Modified by Ion-Assisted Reactions (이온 보조 반응에 의하여 활성화된 폴리프로필렌 담체를 이용만 합성폐수 처리시 미생물 부착 및 유기물의 제거)

  • Seon, Yong-Ho;Han, Sung;Koh, Seok-Keun
    • KSBB Journal
    • /
    • v.17 no.3
    • /
    • pp.235-240
    • /
    • 2002
  • The surface of polypropylene was modified by 1 keV $Ar^+$ ion beam in an $O_2$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wettability. Contact angle of deionized water on modified polypropylene was reduced from $78^{\circ}$to $22^{\circ}$. The enhanced wettability is originated from newly formed functional groups such as ether, carbonyl, and carbonyl groups. During immersion in deionized water, the enhanced wettability has remained nearly same. After washing in water, the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on the polymer surface have been very stable. The modified polypropylene was adopted as bio-film media to remove organics in synthetic wastewater. Microbe adhesion on the polypropylene surface was improved due to the newly formed hydrophilic groups.

A basic study on the recovery of Ni, Cu, Fe, Zn ions from wastewater with the spent catalyst (폐산화철촉매에 의한 폐수중 Ni, Cu, Fe, Zn이온 회수에 관한 기초연구)

  • Lee Hyo Sook;Oh Yeung Soon;Lee Woo Chul
    • Resources Recycling
    • /
    • v.13 no.2
    • /
    • pp.3-8
    • /
    • 2004
  • A basic study on the recovery of heavy metals such as Zn, Ni, Cu and Fe ions from wastewater was carried out with the spent iron oxide catalyst, which was used in the Styrene Monomer(SM) production company. The heavy metals could be recovered more than 98% with the spent iron oxide catalyst. The alkaline components of the spent catalyst could be precipitated the metal ions of the wastewater as metal hydroxides at the higher pH 10.6 in Ni, pH 8.0 in Cu, pH 6.5 in Fe, pH 8.5 in Zn. But the metal ions are adsorbed physically on the surface of the spent catalyst in the range of the pH of the metal hydroxides and pH 3.0, which is the isoelectric point of the iron oxide catalyst.

염색폐수처리를 위한 막분리공정의 문제점

  • 노수홍;안승호;최광호;민병렬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2.10a
    • /
    • pp.76-76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섬유산업에서 문제시되는 염색폐수처리에 막분리공정의 적용가능성과 문제점을 실험실규모와 pilot 규모의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염색폐수는 섬유의 가공공정에 따라 염료, 분산제, 정염제, 반응제 등 다양한 유기물질과 무기염을 함유하며 온도가 10-90$\circ$C로 높은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Nanofiltration: NF40, XU45; 두종류의 복합막; BW30, SW30HR; 2종류의 Cellulose Acetate 비대칭막의 평막 Sample을 사용하여 합성염색폐수의 배제율과 압력변화에 따른 투과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제 혼합염색폐수의 처리는 2개의 2.5"$\times$ 40" Nanofiltration 모듈을 장착한 Pilot 장치를 염색단지 종합처리장에 설치하여 3개월에 걸쳐 시행하였다. 현재까지 얻어진 실험결과에 의하면 전처리공정의 효율롸를 통해 부유물질에 의한 Fouling을 최소화하고 폐수의 성분분석과 사용된 막의 표면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염색폐수처리에 막분리공정이 기존처리방법과 비교하여 경제성을 가지려면 효율적인 막세척방법을 개발하여 투과율의 감소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