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합성세제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7초

폐하수중 합성세제분해균을 이용한 다처리기능균주(多處理技能菌株)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Microorganisms for the Effective Wastewater Treatment by Synthetic Detergent Decomposing Microorganisms in Wastewater)

  • 허종수;조주식;이홍재;한문규;임영성;하영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0-238
    • /
    • 1993
  • 폐하수중 합성세제와 중금속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처리기능균주를 개발코자 합성세제 분해능이 우수한 P. fluorescens S1과 Pb축적균인 P. aeruginosa P1을 conjugation 시켜, 합성세제(ABS) 분해능과 Pb 축적능을 동시에 지니는 다처리기능균주 KE101, KE102 및 KE103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다처리기능균주는 Pb축적균인 P. aeruginosa P1 Plasmid가 합성세제 분해균인 P. fluorescens S1 세포내로 전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개발균주의 기질단독처리능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합성세제(ABS)만 단독처리했을 경우 개발균주의 합성세제(ABS) 분해능력은 합성세제 분해 원균주에 비하여 약간 감소하였으나 Pb축적 원균주의 합성세제(ABS) 분해능력에 비하여는 훨씬 증가되었다. Pb만 단독처리했을 경우 개발균주의 Pb처리능력은 Pb축적 원균주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합성세제 분해원균주의 Pb처리능력에 비하여 월등히 증가되었다. 개발균주의 기질혼합 처리능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합성세제(ABS)와 Pb를 혼합처리했을 경우 개발균주 KE101의 합성세제(ABS) 분해능력은 합성세제(ABS)만 단독처리했을 경우에 비하여 악 30%정도 감소되었으며, Pb처리능력은 Pb만 단독처리했을 경우와 비슷하였다. 그리고 개발균주 KE102의 합성세제(ABS)와 Pb를 혼합처리했을 경우의 합성세제(ABS) 분해능력은 합성세제(ABS)만 단독처리했을 경우에 비하여 약 20% 감소되었으나, Pb처리능력은 Pb만 단독처리했을 경우에 비하여 약 25%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발균주 KE101 및 KE102 strain은 원균주의 각 기질처리능력에 비하여는 약간 떨어겼으나 합성세제(ABS)와 중금속의 일종인 Pb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 PDF

물벼룩과 형광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합성세제의 급성독성평가 (Acute Toxicity on Daphnia magna and Photobacterium phosphoreum for synthetic Detergents)

  • 김태영;채수권;김건흥
    • 물과 미래
    • /
    • 제27권1호
    • /
    • pp.69-77
    • /
    • 1994
  •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세제의 사용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하수처리공정에서 완전히 처리되지 못한 합성세제가 하천이나 강으로 흘러들어 지표수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세제는 수중생물에 해로운 여러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주로 화학적 분석에 의하여 그 독성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물질 상호간의 작용 등으로 화학분석만으로 적정기간동안에 독성을 평가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인 바, 본 논문에서는 물벼룩인 Daphnia magna와 형광성 박테리아인 Photobacterium phosphoreum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주방용 세제와 의류용 세제의 급성 독성을 평가하였다. 본 평가에 사용된 세제는 세탁용 세제와 주방용 세제로 구분하여 국내 사용량이 가장 많은 7종류를 선택하였으며, 조사결과 세탁용 세제의 평균 24hr, 48hr-LC50은 각각 4.25%, 2.50%이며, 주방용 세제의 평균 24hr, 48hr-LC50은 각각 2.01%, 1.36%이었다. 또한 세탁용 세제의 평균 5min, 15min-EC50은 각각 1.83%, 1.02%이며, 주방용 세제의 평균 5min, 15min-EC50은 각각 1.57%, 1.21% 이었다. 이를 통하여 국내에서 사용되는 합성세제중 주방용 세제가 세탁용 세제보다 지속적 독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세제마다 독성의 정도가 차이가 있었다.

  • PDF

합성세제가 줄지렁이(Eisenia fetida) 개체군에 미치는 생태독성학적 영향 (Ecotoxicological effects of synthetic detergents on the population of Eisenia fetida)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1호
    • /
    • pp.115-122
    • /
    • 2011
  • 의류용 세탁세제와 샴푸와 같은 합성세제가 혼입된 먹이를 급이하였을 경우 줄지렁이 개체군의 산란률, 난포당 부화개체수 및 차세대 발육 유충수의 증가를 유발시켰으며, 산란된 난포의 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독성학적 측면에서 합성세제는 줄지렁이 개체군에 대해 독성 현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합성세제는 하수슬러지를 지렁이에게 지속적으로 급이하였을 때 나타나는 지렁이 개체군 소멸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난분해성 ABS 내성균의 분리, 동정 및 그 활성

  • 하현필;홍순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9.3-209
    • /
    • 1978
  • 국내시판합성세제에 합유된 난분해성 ABS(=alkyl benzene sulfonate)의 분해도가 우수한 ABS내성균을 아파트단지 하수구에서 분리하여, 분난균을 동정하고 본균에 대한 합성세제 농도와 pH 영향, 음 ion 계면활성제 구조와 농도별 분해소을 조사하고, 금속 ion이 공존할 때에 최고생육한도, 진탕과 정치배양시 ABS의 분해소을 비교하고, 합성세제를 농도별로 함유한 배지에 분리면을 배양시켜 형태 변화 등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 PDF

음이온계 합성세제의 미생물분해에 관한 연구

  • 김영배;이단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7회 학술발표회
    • /
    • pp.182.4-182
    • /
    • 1976
  • 음이온계 합성세제인 ABS(alkyl benzene sulfonate)의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자연계에서 분리하여 Pseudomonas caryophylli로 동정하였다. ABS 10 ppm을 함유한 인공폐수에서 분리 균주를 배양시 ABS는 40%이상, BOD는 89%, COD는 71% 감소되었으며 ABS분해능은 자연미생물군에 의한 혼합배양시의 2배이상이었다. 분리균주에 의한 시판합성세제의 분해율은 Hlti 46.2%, Kleenup 37.5%, No. 1 39%, OK 37.8%이었다.

  • PDF

음이온계 합성세제의 미생물분해 (Microbial Degradation of Anionic Synthetic Detergents)

  • 김영배;이수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17-121
    • /
    • 1976
  • 음이온계 합성세제인 ABS (alkyl benzene sulfonate)의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자연계에서 분리하여 Pseudomonas caryophylli로 동정하였다. ABS 10 ppm을 함유한 인공폐수에서 분리균주를 배양시 ABS는 40% 이상, BOD는 89%, COD는 71% 감소되었으며 ABS분해능은 자연미생물군에 의한 혼합배양시의 2배 이상이었다. 분리균주에 의한 시판 합성세제의 분해율은 Hiti 46.2%, Kleenup 37.5%, No.1 29%, OK 27.8%이었다.

  • PDF

세제 배합용 Amylase 및 Protease 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mylase and Protease as an Additive Material to the Synthetic Detergent)

  • 김유삼;홍윤명;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8-42
    • /
    • 1970
  •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효소 Tamylase (상품명)는 시판되는 여러 가지의 합성세제 중 "써니"와 배합해서 효소배합 합성세제로 사용할 때, 가장 좋았으며 amylase 활성에 관하여 측정해본 결과는 "써니"의 세탁에 사용되는 농도(0.2%)에서 그 활성이 90%이상 유지되고 있었으며 세제의 농도가 짙어질수록 효소활성은 감퇴되었고 최적반응조건으로는 기질의 pH $5{\sim}6.5$에서 $ 40^{\circ}C$도 30분 정도 반응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철 ion에 의해서는 효소활성에 저해를 받으며 내열성은 낮은 편이었고 효소분말과 세제분말을 혼합하였을 때, 저장성이 우수했다. Paper disc method와 cork borer method에 의해서 측정된 proteolytic activity 는 세제를 가했을 때, 그 농도가 세탁에 사용되는 농도, 즉, 0.2% 부근에서는 거의 안정하였다. 그러나 농도가 짙어지면 상당한 활성의 저해를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