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함수비 특성곡선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 of Near- and Far-Fault Earthquakes for Seismic Fragility Curves of PSC Box Girder Bridges (PSC 상자형교의 지진취약도 곡선에 대한 근거리 및 원거리 지진의 영향)

  • Jin, He-Shou;Song, Jong-Keol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4 no.5
    • /
    • pp.53-64
    • /
    • 2010
  • Seismic fragility curves of structures represent the probability of exceeding the prescribed structural damage state for a given various levels of ground motion intensity, such as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This means that seismic fragility curves are essential to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seismic performance and assessments of risk. Most of existing studies have not considered the near- and far-fault earthquake effect on the seismic fragility curv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near- and far-fault earthquakes, seismic fragility curves for PSC box girder bridges subjected to near- and far-fault earthquakes a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seismic fragility curves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earthquake characteristics such as fault distanc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effect of near- and far-fault earthquakes on seismic fragility curves of PSC box girder bridge 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Selecting the Best Soil Particle-Size Distribution Model for Korean Soils

  • Hwang, Sang-Il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2 no.1
    • /
    • pp.77-86
    • /
    • 2003
  • Particle-size distributions (PSDs) are widely used for the estimation of soil hydraulic proper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best model among the nine PSD models with different underlying assumptions, by using a variety of Korean soils. The Fredlund model with four parameters, the logistic growth curve, and Weibull distribution model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ther models with the majority of soils studied. It was interesting to find that the logistic growth function with no fitting parameters showed a great fitting performance.

  • PDF

Baseflow Separation from Complex Hydrograph using Eckhart Filter (Eckhart filter를 이용한 복합수문곡선에서의 기저유출분리)

  • Kang, Boo-Sik;Moon,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92-1295
    • /
    • 2009
  • 일반적으로 유역의 기저유출 산정에는 적용의 간편성을 이유로 수평직선분리법, N-day법등을 주로 사용해 왔으며 이를 단기호우사상에 대한 모의에 적용해 왔다. 그러나 수평직선분리법이나 N-day에의한 기저유량의 산출은 연구자의 주관성이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이 다분하며 총 유출에 대한 기저 유출의 기여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는 장기유출모의에 이용하기에는 효율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분석을 수행하는 사람에 따라서 그 결과에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Digital Filtering' 방법이 수문곡선 분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Eckhardt 필터는 출력의 신호대 잡음비가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사용하는 최적선형필터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BFImax 변수 값을 이용하여 수문분석 시 대수층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BFImax 변수 값에 따라서 분리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 값에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정확한 수문분석을 위해서는 연구대상 유역 내 대수층의 특성에 가장 부합되는 BFImax 변수 값을 구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수곡선 분석방법과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BFImax 변수 값을 결정해 주는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금강유역의 수문곡선분리를 위해 먼저 금강 유역 내 관측소의 강우 및 수위 일 자료를 수집하고 수위자료는 동향, 옥천, 천천, 청성, 호탄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관측단위는 일 단위를 사용하였다. 분리된 수문곡선에 대한 검증은 지하수관측이나 중간유출에 대한 관측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량적인 검증은 쉽지 않은 상황이고 수문곡선에 대한 시각적 판단에 의지하고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기저유출분리가 가능해진다면 하천 건천화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및 지표수 영향에 대한 보다 신뢰도 있는 전망이 가능해지므로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라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Runoff Curve Number for Chungju Dam Watershed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방안)

  • Kim, Nam-Won;Lee, Jin-Won;Lee, Jeong-Woo;Lee, Jeong-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1231-124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runoff curve number(CN) using SWAT model which is capable of reflecting watershed heterogeneity such as climate condition, land use, soil type. The proposed CN estimation method is based on the asymptotic CN method and particularly, it uses surface flow data simulated by SWAT. This method has advantages to estimate spatial CN values according to subbasin division and to reflect watershed characteristics because the calibration process has been made by matching the measured and simulated streamflows. Furthermore, the method is not sensitive to rainfall-runoff data since CN estimation is on a daily basis. The SWAT based CN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to Chungju dam watershed.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estimated CN that exponentially decays with the increase of rainfall is presented.

Evaluation of Reservoir Storage Effect Using Non-linear Reservoir Model (비선형 저수지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의 저류효과 평가)

  • Yoo, Chul-Sang;Jun, Cha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5
    • /
    • pp.407-416
    • /
    • 2011
  • This study expressed the reservoir's storage-discharge relation as a non-linear reservoir model and theoretically quantified the reservoir storage effect. Among those non-linear functions like exponential function, logarithmic function and power function considered, the exponential function of the storage-discharge re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valid. The non-linear reservoir model proposed was applied to the Chungju Dam and the Soyang River Dam, whose storage effects during flood were estimated to be about 23 hours and 43 hours,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hoongju Dam, even though its size and total storage volum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oyang River Dam, does not achieve enough storage effect as its basin size and the inflow amount are much larger.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in Meandering Channel (사행수로에서 흐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eo, Il-Won;Sung, Ki-Hoon;Baek, Kyong-Oh;Jeong, Seong-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7
    • /
    • pp.527-540
    • /
    • 2004
  • In order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flow and the secondary currents in the meandering channel,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meandering channel made up of alterative bends haying 120。 arc angl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wo types of cross-sections,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a curved cross-section which was made to adopt a beta probability function. Three-dimensional velocity fields were measured using a micro-ADV. As the result of experiments, in case of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primary flow occurred taking the shortest course,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es. In case of the curved cross-section, the primary flow was expected to occur along the thalweg. but it occurred almost along the shortest way. This is considered due to effects of bottom roughness and sinuosity Not only a main cell but also a secondary cell of secondary currents were clearly shown by mean of the stream function. The secondary current intensity has the maximum value near the apex of the second bend for cases of both rectangular and curved cross-sections. However, the value of the secondary current intensity for the curved section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for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Also, in case of the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higher the ratio of width to depth is, the larger the secondary current intensity is.

Modeling of the Tensile Strength of Unsaturated Granular Soil Using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흙-수분 특성 곡선을 이용한 불포화모래의 인장강도 모델링)

  • Kim Tae-Hyung;Kim Chan-Kee;Kim T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0 no.7
    • /
    • pp.171-181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ensile strength models in granular soil at the full range of unsaturated state. Direct tens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a newly developed direct tension technique. The measured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models developed by Rumpf and Schubert for monosized ideal particulate solids at the unsaturated state. To do this,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obtained from a suction-saturation experiment was used to define the unsaturation state and the negative pore water pressure with different water content level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theoretical tensile strength models. The nonlinear behavior of the tensile strength for unsaturated granular soil at the pendular state is appropriately simulated with Rumpf's model. For the funicular and capillary states, the predicted trend by Schubert's model is properly match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tensile strength steadily increases and reaches a maximum value and then decreases until it reaches zero. This comparison supports the concept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unsaturated real granular soil can be approximately simulated with theoretical models.

An explicit solution of residence time distribution for analyzing one-dimensional solute transport in streams (하천에서 1차원 오염물질 거동 해석을 위한 정체시간분포의 양해적 해석해)

  • Byunguk Kim;Siyoon Kwon;Il Won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8-518
    • /
    • 2023
  • 자연하천에서 오염물질의 혼합 거동은 비균일한 지형학적 요인으로 인해 매우 복잡한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 거동 모델링에서는 수체에서의 혼합을 Fick의 법칙에 따라 유속에 의한 이송과 난류에 의한 확산으로 계산하고, 국부적인 정체현상 등에 의한 non-Fickian 혼합을 야기하는 하천의 특성을 기하학적 지형 형상으로 구현하여 실제 현상에 근접한 혼합 거동을 재현한다. 하지만 계산의 효율성을 위하여 모델링의 차원을 낮추는 경우, 하천의 지형을 경계조건으로 고려할 수 없게 된다. 특히, 1차원 모델링의 경우 하천의 비균일성을 무시하고 1개의 유선으로 간주하며, 이 경우 non-Fickian 물질이동 해석을 위한 추가적인 현상학적 해석이 필요하다. 지난 50년간, non-Fickian 물질이동 해석을 위한 다양한 현상학적 모형이 제시되어 왔다. 하천을 흐름영역과 정체영역으로 구분하고 두 개의 영역 사이의 물질교환 속도를 모델링하거나, Random walk 개념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경우와 이동하지 않는 경우를 확률론적으로 모델링하거나, 물질이 정체되었을 때 다시 빠져나오는 시간을 모델링하는 경우가 그 예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음함수 형태의 현상학적 모형을 기반으로, 수치적 반복계산 없이 상류 경계에서 임의의 형태의 농도곡선(shape-free breakthrough curve)을 갖는 오염물질운(cloud)이 일정 거리를 유하하며 발생하는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해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추적법(routing procedure)을 활용한 Fickian 혼합 해석,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형태의 정체시간분포 해석, 그리고 라플라스 도메인에서의 해석해 유도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는 2020년 경상북도 김천시에 위치한 감천의 4.5 km 구간에서 수행한 추적자 실험의 현장 자료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The Assessment of Various Index Flood Models for Nonstationar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을 위한 홍수지수법의 형태에 따른 성능 평가)

  • Kim, Hanbeen;Kim, Sunghun;Joo, Kyung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0-80
    • /
    • 2017
  • 최근 수문자료에 비정상성이 관측됨에 따라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홍수지수법 (index flood method)은 지역빈도해석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각 지점의 특성을 반영하는 홍수지수 (index flood)와 지역적 특성을 대표하는 성장곡선 (growth curve)을 통해 확률수문량을 산정하며,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의 경우 홍수지수법 내의 요소들을 시간에 대한 함수로 정의함으로써 비정상성을 반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성 홍수지수법을 통해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고 각 방법에 따른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경향성을 가지는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비정상성 분포형을 모분포로 가지는 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경향성을 가지는 자료들로 지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지역에 대해 동질성 검토를 수행하여 비정상성 자료들이 포함된 지역의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Monte Carlo 모의실험을 통해 각 비정상성 홍수지수모형에 대한 확률수문량의 RRMSE와 RBIAS를 산정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n Assessment of Optimized Parameter and Grid Size for Landuse of the Grid Based Model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한 분포형 모형의 적정 매개변수 및 격자크기의 결정)

  • Park, Sang-Sik;Park, Wan-Hee;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49-253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격자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Vflo^{TM}$을 실무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매개변수값의 결정과 그 민감도를 분석하고, 중랑천 유역의 토지이용 및 지형특성을 고려한 적정 크기의 격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유역으로는 토지이용현황이 상이한 중랑천 상류(자연유역), 우이천(복합유역) 및 청계천(도시유역) 유역을 선택하였다. $2003{\sim}2006$년까지 5개 호우사상의 실측자료로부터 매개변수값의 최적화를 실시하였으며 수치모의된 결과로 부터 조도계수, 투수계수, 초기함수비 등의 매개변수에 의한 계산치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검토결과 지표면 조도계수가 가장 예민했으며, Green-Ampt식에 적용되는 투수계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문학적 지형특성 반영을 위한 적정 격자크기는 자연유역(중랑천 상류)과 복합유역(우이천)에서는 100과 200 m에서 관측 유출수문곡선과 대체로 일치하나, 격자크기가 300 m에서는 지형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유출수문곡선이 왜곡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불투수율 80% 이하인 자연 및 복합유역에서는 DEM 격자크기를 $200{\sim}300\;m$이하로 적용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