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천변 식생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Phytosiciological Study of the Shrubby and Herbaceous Vegetation of the Riverside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낙동간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 송종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04-117
    • /
    • 2001
  • 경상북도 낙동상 상류부에 위치한 하천변 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아래처럼 10군강에 속하는 3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의 1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특히, 과거에 인위적 영향을 반영하여 쑥군강에 속하는 군집 군락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A. 관목식물군락-A-1나도버들군장, 버드나무군단: 버드나무-왕버들군집, 버드나무군집, 시무나무군집, 갯버들군집, 눈갯버들군집, 선버들군집, A-2 찔레꽃 군강: 국수나무군락, 구기자나무군락: A-3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누리장나무군락; B, 초본식물군락 B-1 가래군강: 노랑어리연꽃군집, 마름군락, B-2 좀개구리밥군강: 좀 개구리밥-개구리밥군랍, B-3 가막사리군강: 고마리군집, 미꾸라지낚시-여뀌군집, 개기장-여뀌군집, B-4 갈대군강; 창포군집, 갈풀-미나리군집, 달뿌리풀군집, 물억새군집, 갈대군락, B-5 쑥군강:물쑥군집, 쑥군락, 물봉선군락, 왕고들빼기-환삼덩굴군집, 칡-환삼덩굴군집, 수크려군랑, B-6 명아주군강: 물피군락, 바랭이군란, 큰개여뀌군락, B-7 억새군강: 억새군락, B-8 질경이군강: 비노리-질경이군락, 이들 식생단위는 거의가 일본의 것과 공통하고 있어 한국에 고유한 하천변 식생은 매우 드물다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한편 하천에는 고유한 군강의 군집, 군락은 하류에서 상류로 감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 하였으마, 귀화식물의 수는 그 반대였다. 또,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하천변 식생의 복원생태 및 자연보호 등에 관해 상세히 논하였다.

  • PDF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a Representative Grain Diameter for Han Stream in Jeju Island (제주도 한천의 대표입경를 이용한 조도계수 산정)

  • Lee, Jun-Ho;Yang, Sung-Kee;Kim, Dong-Su;Kang, Bo-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90-690
    • /
    • 2012
  •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하천정비기본계획과 유역치수계획의 수립은 정확한 홍수량을 산정을 통해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첨두홍수량에 대한 계산이 좀 더 정밀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흐름해석에서 중요한 요소인 조도계수는 원래 하상재료의 조도(roughness)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하상재료 및 하상표면의 특성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값이지만, 실제 흐름계산에서는 식생, 하천 구조물, 사행도, 단면형태 단면 변화양상 등 하도의 상황뿐만 아니라 유량이나 수위에 의해서도 변화기 때문에(Frech, 1985) 이론적으로 조도계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내륙부와는 매우 특이한 유출 형태를 보이고 있는 제주도의 하천은 평시는 대부분이 건천이지만 집중호우나 태풍 내습시에는 하천변의 침수와 범람 등의 재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제주도 하천의 조도계수는 자연형 하천에 적용되는 계수만을 전 구간에 일률적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제주도의 하천은 대부분 15km내외의 짧은 구간에 산지와 농 목축업 및 도심하천이 혼재하고 있고 또한, 하상재료는 자갈 및 호박돌, 전석 등이 산재해 있어 구간별 조도분포도 매우 복잡하며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하천현장에 대한 실측 조도계수의 조사나 측정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천의 하상재료의 입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연구대상인 한천의 구간은 11.5km이며, 조도계수 산정구간을 10구간으로 세분화하고 각 구간마다 좌안, 중앙, 우안마다 100개씩 하상재료를 채취하였으며, 총 3000개의 채취한 하상재료를 이용하여 대표입경을 선정하고 입도분석 실시하였다. 지당 총 100개 이상의 자갈 입자를 선택하고 중경(intermediate axis)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를 기존의 조도계수 경험식에 대입하여 조도계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존의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제시된 조도계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측 조도계수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홍수량 산정과 하천실무에 적용 및 활용성이 기대된다.

  • PDF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an Upper Stream of Nak-tong River (낙동강 상류 한천 일대의 하천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 Song, Jong-Suk;Seung-Dal 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19 no.5
    • /
    • pp.431-451
    • /
    • 1996
  • The present stud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36°27’-36°51’N, 128°15’-128°37’E), a tributary in the upper stream area of Nak-tong River, South Korea by methods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wenty thre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belonging to ten classes. Reflecting various human impacts in the past, th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of the Artemisietea principis were most plentiful there.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A. forest vegetation A-1 Fagetea crenatae:Zelkova serrata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B. Shrub vegetation B-1 Salicetea sachalinensis:Salicetum gracilistylae, Salicetum graciliglandis assoc. nov., B-2 Rosetea sachalinensis:Salicetum gracilistylae, Salicetum graciliglandis assoc. nov., B-2 Rosetea multiflorae:Stephanandra incisa community, Lycium chinense community; C. Grassland vegetation C-1 Lemnetea minoris:Spirodela polyrhiza-Lemna paucicostata community, C-2 Bidentetea tripartiti:Polygonetum thunbergii, Polygonetum sieboldii-hydropiperis, Panico Polygonetum hydropiperis, Pharagmitetea :Oenantho- Phalaridetum arundinaceae, Phragmitetum japonicae, Miscanthetum sacchariflori,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C-4 Artemisietea principis:Artemisia princeps community, Impatiens textori community, Lactuco indicae-Humuletum japonicae, Pueraria lobata-Humulus japonicus community, Pennisetum alopecuroides community, C-5 chenopodietea:Echinochloa crus-galli var. orizicola community, Digitaria adsecendens community, Polygonum nodosum community, C-6 Miscanthetea sinensi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C-7 Plantaginetea:Eragrotis multicaulis-Plantago asiatica community. It is inferred that the endemic vegetation units in the riverside vegetation of Korea are very rare, because most of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are common with those of Japan. Among the above vegetation units, the Salicetum graciliglandis was established as a new association. On the other hand, th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of classes characterizing the riverside vegetation increased with a decrease of human impacts from the downstream to the upstream in Hanchon, while the number of the naturalized plants was the reverse. Also based on the present phytosociological work, the relation between the vegetation units and thei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restoration ecology and nature conservation of the riverside vegetation were discussed here in deta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