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중일 FTA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 체결 FTA 활용성과와 학습지향성이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formance and Learning Orientation for the Existing FTA of SMEs in Gwangju and Jeonnam on the Using Intention of a Trilateral FTA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송윤아;강지원;이재은
    • 무역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1-62
    • /
    • 2016
  • 본 연구는 메가 FTA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의 통상환경 하에서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 체결 FTA 활용성과와 FTA 학습지향성이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 체결 FTA 활용성과는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TA 학습지향성은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체결예정인 한·중·일 FTA의 활용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실증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한·중·일 FTA 관련 정책 수립 시 의미 있고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중 FTA체결에 따른 정부의 MRA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TBT 및 적합성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Mutual Recognition Agreement for Korea-China FTA: Focused on TBT and Conformity Assessment)

  • 전병호;강병구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177-201
    • /
    • 2015
  • 한국은 경제성장에 있어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은 나라로, 특히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비관세 장벽 중 무역상 기술 장벽(TBT)의 중요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한국과 중국 양국간 교역에서 기술장벽이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무역상 기술장벽의 제거는 FTA 체결에 있어서 한국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쟁점 사항 중 하나이다. 상호인정협정(MRA)이 그러한 기술 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기존의 연구들은 MRA가 수입 장벽을 완화시켜 주고 국제 시장에서 많은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가서명된 한중 FTA 체결에 있어서 MRA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는데, 교역량과 양국간 규제의 차이를 고려한 적합한 MRA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MRA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MRA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한 분석에 그치고 있는데 반해, 본 연구는 한국과의 교역량이 큰 중국이라는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MRA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방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영향을 중심으로-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as Variables of Interests-)

  • 한주현;김부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07-216
    • /
    • 2019
  • 관광 동기나 관광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주로 분석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정치적 요인을 관심변수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중국의 정권, 양국 간 회의나 회담 횟수, 양국 정상 간 전화통화 횟수, 한중 FTA(경제적 요인이기도 함)의 발효 등 정치적 요인이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와 관련된 정치적 우호성(FTA 발효)은 정치적 분야에서만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요소들보다 더 가시적으로 방한 중국인 관광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치적 요인과 더불어 한중 FTA와 같은 경제적 요인, 그리고 한국화장품으로 대변되는 한류와 같은 문화적 요인도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물포커스 - FTA 대비 고품질로 승부한다

  • 김동진
    • 월간양계
    • /
    • 제44권2호
    • /
    • pp.90-91
    • /
    • 2012
  • 한미 FTA 체결에 이어 한중 FTA 협상 공식 선언 등 국내외 변화가 축산업계에 큰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축사시설 업체들도 싼 기자재들의 국내잠식에 대비해 자체적인 경쟁력 확보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본고는 40여 년간 농촌과 축산발전을 위해 함께 걸어온 제일함석 원경식 대표(54)를 만나 최근의 기자재업계의 흐름과 향후 양계업 발전 방안 등을 들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