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우 육성빈우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화본과 목초에서 방목체계별 한우육성빈우의 방목습성 및 생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azing Behavior and animal Production of Korean Native Cow in Different Grazing System at Grasses Dominant Pasture)

  • 이효원;신재순;신언익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3-139
    • /
    • 1983
  • 대관령지역에서 달리함에 따른 韓牛育咸牛의 放牧習性과 生産性을 규명하기 爲하여 Wye大學區, 輪換, 固定, 修正固定, 刈取給與區의 處理를 하였다. 供試面積은 5ha, 공시두수는 육성빈우 20두였으며 放牧習性을 調査하기 爲하여 아침 5:00시부터 20:00시 까지 每 2.5분(2분 30초) 마다 調査하여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ha당 증체량에 있어서 Wye大學區와 輪換區가 바른 처리구보다 많았으나 山地草地放牧方法으로서 實在로 運用하는데는 윤환구나 修正固定區가 좋았으며 특히 修正固定放牧은 윤환구의 대안으로 추천할 만한 것이었다. 2. 日當增體量은 5월에 가장 높았고 7월에 가장 낮았으며 그후는 차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晝間의 採食時間은 331.1분으로부터 576.0분으로 다양한 結果를 보였고 이것은 放牧體系에의하여 보다도 秊節, 牧草量의 多少, 그리고 기상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4. 한우는 1일 일출 후, 정오 그리고 오후 3時의 3번의 주 채식행동을 갖고 있었다.

  • PDF

한우 초발정 전후 혈중 Progesterone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1 농도의 변화 (Change of Serum Progesterone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Concentration during the First Oestrus in the Heifers of Hanwoo)

  • 고응규;성환후;백광수;나승환;최창용;신원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1-347
    • /
    • 1998
  • 본 연구는 생후 33 주령부터 초발정이 시작될 때까지 한우육성빈우의 일당증체량 (0.5kg, 0.7kg) 에 따른 혈중 progesterone 과 IGF-1 농도를 분석하여 한우의 초발정시기 및 춘기발동기전후 혈중 progesterone 과 IGF-1 농도를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시험축에서, 초발정 직전까지는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검출할 수 없었으며, 13 두의 육성빈우에서 첫발정 6일전에 미미한 혈중 progesterone 농도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짧은 황체기를 보였다. 초발정시기의 일당증체량 0.7kg 구의 평균 나이는 331.0$\pm$15.0 일로 0.5kg 구의 358.9$\pm$7.9 일보다 빨랐고 이때 체중도 0.7kg 구가 236.0$\pm$4.7kg으로 0.5kg 구의 224.8$\pm$9.7 보다 무거웠다. 초발정이후 3~15 일까지 IGF-1 농도는 황체초기 (0~1) 와 황체퇴행기 (18일~20일)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성장단계에 따라서 생후 37주령부터 57주령까지 조사한 IGF-1 농도 변화는 37주령에 93.2$\pm$63.4ng/$m\ell$ 에서 57 주령에 170.9$\pm$59.35ng/$m\ell$로 점차적으로 상승하였다. 이상의 결과 한우의 초발정 평균나이는 345일령 전후로 추정되며 이시기에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IGF-l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다.

  • PDF

한우(韓牛)와 Holstein종(種) 교잡우(交雜牛)의 발육(發育) 및 비유능력(泌乳能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ifferences in Growth and Milk Production Performance between Holstein Crossbreds and Korean Native Cattle)

  • 임흥순;한성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72-81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한우(韓牛) 암소에 Holstein종(種) 수소를 교배(交配)하여 생산(生産)된 1대(代) 잡종(雜種)의 발육능력(發育能力)과 필유능력(泌乳能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3년(年)부터 1978년(年)까지, 6개년간(個年間)에 걸쳐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축산(畜産) 시험장(試險場)에서 생산사육(生産飼育)된 한우(韓牛) 빈우(牝牛)15두(頭)와 Holstein 교잡종(交雜種) 빈우(牝牛) 11두(頭)를 대상(對象)으로 실시(實施)하였다. 체중(體重)은 생시(生時)부터 36개월령(個月令)까지, 체형(體型)은 6개월령(個月令)부터 36개월령(個月令)까지, 그리고 필유능력(泌乳能力)은 분만후(分晩後) 11일(日)부터 180일(日)까지 조사(調査)하였다. 교배조합(交配組合),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 및 산차(産次) 효과(效果)를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Harvey의 최소(最少) 자승법(自乘法)을 이용(利用)하였으며, 그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우순종(韓牛純種)은 Holstein교잡종(交雜種)에 비(比)하여 각(各) 월령별(月令別)로 체중(體重)이 가벼웠으며 생시(生時), 6개월령(個月令), 12개월령(個月令), 24개월령(個月令) 및 36개월령(個月令)에서 한우순종(韓牛純種)의 체중(體重)은 각각(各各) 22.45kg, 132.82kg, 220.68kg, 363.54kg 및 365.54kg인데 대(對)하여 Holstein교잡종(交雜種)의 체중(體重)은 각각(各各) 28.09kg, 146.64kg, 254.48kg, 392.04kg 및 454.46kg이었다. 2. 체중(體重)에 미치는 분만년도(分晩年度)의 효과(效果)는 생시(生時)를 제외(除外)하고 육성기(育成期)의 발육(發育)에 많은 영향(影響)을 미쳤으며, 분만계절(分晩季節)은 생시(生時)부터 6개월령(個月令)까지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가을과 봄에 출생(出生)한 송아지가 여름과 겨울에 출생(出生)한 송아지보다 더 무거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3. 산차(産次)의 효과(效果)는 각(各) 월령별(月令別)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며, 5 산차(産次)의 송아지가 다른 산차(産次)의 송아지보다 각(各) 월령(月令)에서 더 무거운 체중(體重)을 나타내는 경향(傾向)이었다. 4. 체위(體位)에 대(對)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효과(效果)는 24개월령(個月令)에 체고(體高), 십자부고(十字部高), 흉심(胸深), 흉위(胸圍), 요각폭(腰角幅)에서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으나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 및 산차(産次)는 대부분 체부위(體部位) 발육(發育)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5. 필유량(泌乳量)에 대(對)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효과(效果)는 각(各) 월령(月令)에 걸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은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고, 산차(産次)는 분만후(分晩後) 11~30일간(日間)에서만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6. 한우순종(韓牛純種)의 일일평균(一日平均) 필유량(泌乳量)은 3.6kg, Holstein 교잡종(交雜種)은 8.26kg 이었다.

  • PDF

한우 암송아지의 성성숙 전 유지 단백질 요구량 결정 (Determination of Crude Protein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of Prepubertal Hanwoo Heifers)

  • 남인식;오영균;장선식;김도형;설용주;김경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2호
    • /
    • pp.171-176
    • /
    • 2011
  • 본 연구는 성성숙 전 한우 암송아지의 일일 유지 단백질(CPm) 요구량을 구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143.1 kg (실험 1)과 257 kg (실험 2)의 각 6두씩을 3수준의 단백질을 급여하는 two 3 ${\times}$ 3 latin square design에 공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기초사료로서 timothy 건초를 2.8 kg/d/head를 급여(LCP)하면서 분쇄옥수수와 corn gluten meal을 각각 250 g과 150 g (MCP) 그리고 500 g과 300 g (HCP) 보충 급여하였다. 실험 2에서는 기초사료로서 timothy 건초를 4.8kg/d/head를 급여(LCP)하면서 분쇄옥수수와 corn gluten meal을 각각 350g과 250g (MCP) 그리고 700g과 500g (HCP) 보충 급여하였다. 실험 1에서의 CP 섭취량은 LCP, MCP, HCP구에서 각각 236.6, 340.1, 459.8g/d 이었고, 대사체중당 조단백질 균형은 각각 0.51, 1.87, 3.20g 이었다. 실험 2에서의 CP 섭취량은 LCP, MCP, HCP구에서 각각 415.2, 606.9, 793.0g/d 이었고, 대사체중당 조단백질 균형은 각각 0.67, 1.03, 2.99g 이었다. 실험 1과 2에서 얻은 CPm 요구량은 각각 4.58과 5.02/$BW^{0.75}$ 이었고 한우 사양표준(농림부, 2007)에서 채택하고 있는 5.56g CP/$BW^{0.75}$ 보다 낮았다.

초지류형별(草地類型別) 방목축(放牧畜)에 의한 목초이용(牧草利用)과 방목(放牧) 및 사회습성(社會習性) 비교(比較) (A Comparison of Herbage Use, Grazing and Social Behaviour by Livestock Grazing under Grassland Types)

  • 이인덕;명전;송우석;임동찬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219-226
    • /
    • 1986
  • 평지(平地), 경사(傾斜) 및 임간초지(林間草地)의 유형(類型)이 가축(家畜)에 의한 목초이용(牧草利用)과 방목(放牧) 및 사회습성(社會習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고자 4년차(年次) 기존(旣存) 혼파초지(混播草地)에서 한우육성빈우(韓牛育成牝牛) 30두(頭)와 재래산양(在來山羊) 5두(頭)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의한 상대섭취빈도(相對攝取頻度)는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5.2%,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5.0%, 임간초지(林間草地)가 29.8%이었고, 두당(頭當) 1일(日)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평지초지(平地草地)가 462g, 경사초지(傾斜草地)가 459g,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91g이었으며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평지초지(平地草地)가 63.7% 경사초지(傾斜草地) 63.0% 임간초지(林間草地)가 62.1%이었다. 2. 한우(韓牛)에 의한 채식시간(採食時間)은 초지류형(草地類型)에 따라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반추시간(反芻時間)은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길었고,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짧았다. 휴식시간(休息時間)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길었고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짧았다. 보행시간(步行時間)은 평지초지(平地草地)에서 길었고, 방황시간(彷徨時間)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길었다. 반추회수(反芻回數), 식괴당저작회수(食塊當咀嚼回數) 및 배분회수(排糞回數)는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적었고, 배뇨회수(排尿回數)는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많았다. 음수인수(飮水因數) 및 음수량(飮水量)은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많았고 보행거리(步行距離)는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길었다. 3. 한우(韓牛)에 의한 사회적(社會的) 거리(距離)는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70m,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56m,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41m였고, 두당점유면적(頭當占有面積)은 임간초지(林間草地)가 $14.6m^2$, 평지초기(平地草地)가 $11.9m^2$, 경사초지(傾斜草地)가 $11.0m^2$이었다. 우군형성(牛群形成)은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7두(頭),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6두(頭),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4두(頭)이었다. 방목이동순위(放牧移動順位)는 복합적(複合的)인 pear-shaped grazing formation에 가까웠으나 초지유형(草地類型)에 따른 상하(上下) 방목축간(放牧畜間)의 우열관계(優劣管係)는 분명(分明)치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