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옥형 단독주택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anok(Korean traditional houses) planes in the Gyeongju Area (경주지역 한옥형 단독주택의 평면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Jeong, Jun-Hyun;Lee, Youn-Jung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2011.04a
    • /
    • pp.205-20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sponding mechanisms between residential spaces and living by analysing the physical spaces of Hanok residential buildings with the architectural financial program of the Gyeongju city, and their residents' needs for living, and to afford architectural planning data needed to develop new aspects of residence in a traditional cultural c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n attempt was made in this study to suggest the architectural planning approach to the Hanok type houses by taking both cultural continuity and historical views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restore the bedraggled old houses in the Gyeongju areas and create a new house type.

  • PDF

The Business Model & Feasibility Analysis of the Han-Ok Residential Housing Block (한옥주거단지 사업모델구상 및 타당성 분석)

  • Choi, Sang-Hee;Song, Ki-Wook;Park, Sin-W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453-461
    • /
    • 2011
  • This study is to derive a project model based on potential demand for Korean-style houses, focusing on new town detached housing sites that LH supplies and to test validity of the derived model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supply methods of the projects. The existing high-class new town Korean-style housing developments that have been considered were found to have little business value due to problems in choice of location and discordance of demand, so 6 types of project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methods of changes in planned scale, combined use, and subdivision of plot of land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The type that has the highest business value among the project models was block-type multifamily houses,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crease in total construction area leading to increase inrevenues of allotment sales due to economies of scale. The feasibility of mass housing model in which small-scale Korean-style houses are combined with amenities was found to be high, and if the same project conditions as those of the block-type multifamily houses are applied, the business value of the Korean-style tenement houses was found to be high. Besides, the high-class housing models within block-type detached housing areas are typical projects that the private sector generally promotes, and the construction cost was found to be most expensive with 910 million won per house. In order to enhance the business value of the Korean-style housing development, collectivization such as choice of location, diversification of demand classes, optimization of house sizes, and combination of uses is needed. And in order to adopt Korean-style houses in the detached housing sites, the adjustments and division of the existing planned plots are needed, and the strategies to cope with new demand through supplying Korean-style housing types of sites can be suggested. Also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uniform residential development methods, the development method through supplying original land that is natural land not yet developed besides basic infrastructures (main roads and water and sewage) can be considered, and as the construction of more than 1~2 stories building is impossible due to the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roof and furniture. So it can be suggested that original land in the form of hilly land is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to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