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옥밀집지역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도시형한옥 밀집지역의 보존및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서성동을 중심으로- (Conservation of Hanok Houses and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f Sosongdong in Taegu City-)

  • 황보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44-3949
    • /
    • 2014
  •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동 일대의 도시형한옥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했으며, 특히 이 지역이 한옥주택들이 밀집된 지역으로서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상실하고 해체되어 가는 그 과정을 살펴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도시환경을 열악하게 전환시키는 물리적인 행위 그리고 이에 연계된 행태적 변화는 기존 전통공간 구조의 파괴를 가져오고 결국 공존할 수 없는 상황이 연출되게 된다. 이 논문은 도시재생을 위한 전략으로서 한옥보존의 가치를 재고하고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조성되지 않은 대구시 서성동의 사례를 중요한 학술자료로 구축하고자 했다. 역사적 환경에서 도시한옥이 지니고 있는 현대적 매력은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도시재생을 위한 유효한 전략으로 판단된다.

2000년 이후 서울의 신축한옥에서 보이는 건축적 특징 - 칸 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Built Hanok in Seoul Since 2000 - Focused on the Kan Composition -)

  • 김성하;전봉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109-117
    • /
    • 2019
  • Since 'Hanok Expanse Support' has been started in Seoul, its target was expanded from renovation to new construction and from 'Hanok District' to all area in Seoul. The newly built hanok with Hanok Expanse Support had to follow the standards about the form of the hanok and adapt to modern lifestyle. However, the newly built hanok were planned with 'kan' since it retained 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So their composition of kan were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standards of each district and modern lifestyl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newly built hanok in Seoul since 2000 focusing on the kan composition.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site conditions and the district unit plan, newly built hanok in Hanok District have more limited changes than Other District. However, kan is composed variously in horizontal and vertical ways to make the most space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and most of the newly built hanok have opened courtyard rather than closed courtyard layout. With kan composition in various directions and kan added under the eaves, kan is highlighted in form.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 of kan as an interior spatial element has changed and weakened because the lifestyle has chang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hanok and the 20th century urban hanok. Also the regular kan composition of Mom-chae and Nalgae-chae has changed. And kan is divided regardless to the wooden structure. Also, with the added kan under the eaves the main kan is dismantled inside. This paper indicates that although there is an undeniable premise that the case is restricted to hanok received Hanok Expanse Support on the condition of following the standards of the form of hanok, it is a part of the transitional changes that hanok is experiencing.

한옥주거단지 사업모델구상 및 타당성 분석 (The Business Model & Feasibility Analysis of the Han-Ok Residential Housing Block)

  • 최상희;송기욱;박신원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4호
    • /
    • pp.453-461
    • /
    • 2011
  • 주택에 대한 수요가 다변화되면서 최근 한옥주택 및 한옥주거단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 한옥이 밀집한 지역을 중심으로한 정비사업 뿐만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등에서도 한옥주택과 주거단지 개발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격적인 사업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LH가 공급하는 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와 특성화용지등을 대상으로 하여 한옥의 잠재적 수요계층을 바탕으로 사업모델을 도출하고 사업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여 향후 사업화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에 검토되었던 고급형 타운하우스 형태의 한옥주거단지는 입지선정, 수요불일치 등으로 인하여 사업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등을 바탕으로 계획규모변경, 용도혼합, 필지세분화등의 방법을 통해 사업유형을 6가지로 설정하였다. 사업모델 중에서 가장 사업성이 높은 유형은 블록형 집합주택으로, 이는 규모의 경제법칙(Ecnomy of Scale)에 따른 건축연면적의 증가가 분양수입의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규모 한옥과 근생시설이 결합한 공동주택 모델의 타당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블록형 집합주택과 같은 동일한 사업조건을 적용한다면, 한스타일 공동주택의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밖에 블록형 단독주택지내 고급주택 모델은 민간부문이 일반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유형으로서, 1호당 건설비용이 9.1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옥주거단지 사업성 제고를 위해서는 입지선정, 수요계층의 다양화, 주택규모의 적정화, 용도혼합등을 통한 집합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독주택용지에 한옥주택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필지계획의 조정과 분할이 필요하며, 한옥형 용지등의 공급을 통해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도 제안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획일적인 택지개발방식에서 벗어나 기초인프라(간선도로 및 상하수도)외에 조성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토지인 원형지(原形地) 공급을 통한 개발방식도 검토할 수 있으며, 한옥의 지붕 및 가구구조상 1~2층 이상의 건축이 불가능하므로 경사지 형태를 갖는 원형지 공급방식의 단지조성이 토지비절감, 경관효과 등을 감안할 때 적합한 모델로 제안될 수 있다.

문학지리학적 관점에서 본 북촌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물리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Physical Identities of Bukchon Hanok Area Viewed from Literary Geography)

  • 박철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5-124
    • /
    • 2008
  • This study explores the beneficial methodology to increase cultural values of urban style Hanok,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Based on the literary geographical approach, this study defines the physical identities of special Bukchon Hanok area in Seoul. The explored physical identities are to provide basic fundamentals for supplying and maintaining new Hanok buildings, including how to preserve and restore the traditional Hanok areas. They are also to develop various Hanok related cultural products and to encourage Hanok popular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add more the humane values and significances to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es. With these perspectives and through above mentioned methodology, the study draws the physical identities of Bukchon Hanok area and meanings as belows: The first one is the collective identity. Bukchon Hanok area is mainly composed of organic spaces with its collective scenary. Narrow alleys and curved lanes created by collective gaps between Hanok buildings, provide residents and visitors with abundant choices of moving path. The second one is the formal identity. Bukchon Hanok maintain their unique layout patterns. The basic units of Chae are combined in specific ways such as 'ㄱ', 'ㄷ', 'ㅁ' types and result typical formal expression of the area. The third one is grounding identity which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 and every-day living space. Each Chaes of house always surround Madang, Korean traditional court yard with rare vegetation. And the connection to the ground is transferred to the memories of its dwellers. Lastly, the current Hanok still preserve similar characteristics of past time Hanok such as materials, structure and styles by using unique building technics and exposing traditional ornamenting styles.

서울북촌 가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 삼청동 35번지, 가회동 31, 11번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in Bukchon-streetscape - Focusing on the Samchung-dong 35, Gahoe-dong 31, Gahoe-dong 11 -)

  • 김동찬;김신원;김미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0-118
    • /
    • 2012
  • 본 연구는 북촌의 가로 중에서도 특히 한옥밀집지역인 가회동을 중심으로 가로경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북촌 가로경관의 대한 시각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북촌의 가장 대표적인 경관 삼청동 35번지, 가회동 31번지, 11번지를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시각량과 선호도의 관계를 기술분석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북촌가로경관의 이미지 특성의 공통요인을 추출하였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이미지평가와 선호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는 첫째, 시각량과 선호도 관계에서 가회동 31번지의 가로경관이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북촌가로경관의 천장면과 식재의 시각량이 높을수록 높은 선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북촌의 가로경관은 '심미성', '쾌적성', '정연성'의 특성으로 설명되었으며, 가장 선호가 높게 나온 가회동 31번지와 낮게 나온 삼청동 35번지는 '심미성' 항목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심리변수 요인에 대한 요인점수와 선호도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미성'을 설명하는 인자가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체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지역적인 특성을 잘 살린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북촌의 가로 정비 방안이 체계적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