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 중부지방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Temporal Variations of Summer Temperature in Central Area of Korea during the 20th Century (20세기 한반도 중부지방의 여름철 기온 변화)

  • 최광용;최종남;김종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19-52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세기 동안 한반도 중부 지방의 여름철 7월과 8월의 일최고기온과 일최저기온의 지역적 패턴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연구기간 동안 여름철 일최고기온의 평균 및 일정 임계치 이상의 고온 특이일의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여름철 일최저기온의 평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이 지역의 여름철 일교차의 평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최고기온의 감소 추세는 1950년대 이래로 진행되어온 조림사업으로 인한 삼림 임목 축적량의 증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도시화 지구온난화가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기온극값 발생빈도와 장기적인 패턴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지리 위치면에서 본 동해시

  • 이남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3-83
    • /
    • 1995
  • 1. 동해시는 동해 바다에 면하고 있는 항구도시. 2. 한반도의 중부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해항도시. 3. 동해 바다를 통하여 세계 각지로 자유왕래 할 수 있는 편리한 위치에 있는 항구도시. 4. 남북 경제 문화 교류때에는 육해산물, 산업물자의 수송에 편한 해항도시. 5. 일본지역에서 중국, 러시아 지역에의 해로는 한반도의 동해시 항구를 경유하여야하는 교통 입지에 있는 해항. \circled1 일본에서 중국, 러시아에의 직항해로는 가능하나 여객 운송의 경우 30시간 이상의 장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므로 동해시 해항이 중간 거점이 될 수 있다. \circled2 일본의 서남 지방에 있는 후꾸오카의 하까다항 그리고 중부지방 북안에 있는 쯔루가항으로 부터 중국 대륙과 러시아 연해주에의 해로인 경우는 반드시 동해시항에 기항하여야 한다. 6. 남한의 내륙 지방에서 동북아시아 권역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해항. 7. 인접지에 다양한 발전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 해항 도시.

  • PDF

An analysis of regional photovoltaic using GIS in the Korean Peninsula (GIS를 이용한 한반도의 지역별 태양광 자원 분석)

  • Jeon, Sanghee;Choi, Youngjean;Jee, Joonbum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58.2-58.2
    • /
    • 2011
  • 국립기상연구소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11년)의 위성자료와 수치모델의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영역에 대해서 $4km{\times}4km$ 해상도의 태양-기상자원지도를 계산하였다. 이러한 태양-기상자원지도를 기반으로 GIS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지역별 태양에너지의 분포와 지역별 태양광의 기후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행정구역을 구분하고 각 지역별 에너지분포 및 변화특성을 쉽게 분석하기 위하여 GIS 분석도구를 사용하였다. 평균 연누적 태양에너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반도에서는 경상도가 가장 풍부한 태양광에너지를 받고 있었으며 특히 대구광역시(5047MJ), 부산광역시(5019.4MJ)가 높게 나타났다. 북한지역에서는 함경남도(4719.1MJ)가 가장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연누적과 동일하게 남부지방의 경상도가 높은 태양광 에너지를 나타났다. 특히 7월 등의 여름철은 1월에 비해 절대적으로 에너지양이 많았다. 그러나 위도 38도를 중심으로 빈번한 장마전선을 동반한 구름의 이동으로 중부지방이 남부지방과 북부지방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200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월별 시계열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한반도 전역에서 태양광의 증가추세가 나타났다. 특히 부산광역시는 10년간 3.75MJ이 증가하였으며, 서울특별시는 3.645MJ/decade, 함경북도는 3.499MJ/decade의 증가경향을 보였다. 월별 시계열 그래프를 보면 2003년 8월과 2005년 4월을 기준으로 3부분에서 다른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각 구간별로 구름산출을 위하여 사용된 정지기상위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각 구간에서 사용된 위성은 GMS-5(2003년 8월 이전), GOES-9(2003년 8월~2005년 3월) 그리고 MTSAT-1R(2005년 4월이후)이다. 추후에는 태양광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태양광 에너지의 분포와 변화를 분석해보자 한다. 이러한 지역별 자원분석 자료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Periodicities of Rainfall Variation and Forcing Factors Cause Severe Droughts (가뭄을 유발하는 강수량 변동의 주기성과 유발요소)

  • Hwang, S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5-95
    • /
    • 2016
  • 한반도 중부지방은 2014년과 2015년에 연이은 강수량 부족으로 많은 지역에서 가뭄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한반도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는 몬순기후대에 속하기 때문에 여름철 강수량은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확보 등 이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한반도(남한)의 중부지역 가뭄을 유발하는 강수량의 부족 현상은 대략 5-10년(평균 7-8년) 주기로 반복된다. 그리고 이러한 10여년 주기 변동성과 더불어 예외적인 경우가 발생하고 매번 그 심도도 변화한다. 이러한 주기성을 우연이라 보기는 어려울 것이나 예외적인 경우나 심도를 가늠할 수 없다는 점(인과관계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확정론적 현상이라 단정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기적 가뭄을 야기하는 강수량 변동의 원인을 지구물리학적 측면에서 추론해 보고자 한다. 가뭄은 인위적인 조건에 의해서도 발생하고 인과관계에 따른 정의도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연 상태에서 강수량의 부족에 의한 가뭄 조건만을 고려하였다. 강수과정은 지구의 물순환 운동에 의해 야기되고 지구의 물순환 운동은 지구의 역학적 운동 및 상호작용 관계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물리 과정의 일부로 강수과정을 유발하는 지표인자로 SST와 같은 기후 인자에 대해 변동 주기의 상관성을 범지구적인 시공간 규모에서 검토하였다.

  • PDF

방재연구 - 최신 ICT기술을 융합한 댐-보 통합 운영으로 안전한국 실현

  • Jeong, Gu-Yeol
    • Disaster Prevention Review
    • /
    • v.15 no.2
    • /
    • pp.126-133
    • /
    • 2013
  • 최근 기상이변으로 가뭄과 홍수, 폭설 등 자연재난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일 강수량이 300mm가 넘는 집중폭우의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 해 한반도 지역의 아열대성 기후변화로 인해 잦은 국지성 폭우와 태풍 등 물재해로 인명과 재산피해가 점증하고 있다. 2012년 7월에 발생한 제7호 태풍 '카눈'을 시작으로 잇따른 초대형 태풍 '덴빈', '볼라벤', '산바'는 태풍이 북상하여 중부지방 중심 전국적으로 많은 비를 내렸으며 경기 및 강원 북부 일부 지방은 관측 강우량을 경신하였다. 홍수기 시 수자원 운영에 미치는 댐, 보 수문자료의 활용을 통해 홍수분석 등에 활용됨으로써 홍수분석 의사결정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물 관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K-water에서는 최신 ICT 기술을 융합한 "실시간 수자원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하여 24시간 365일 상시 모니터링함으로써, 2012년에 과거 유래 없는 4개의 대형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하였을 때에도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in Winter (동계 한국 서부연안지역의 적설과 해양기상요소와의 관계)

  • Go, Woo-Jin;Kim, Sang-Woo;Jang, Le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1
    • /
    • pp.17-2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at Incheon, Gunsan and Mokpo when cold and dry continental air mass passed through the West Sea of Korea in winter. Mean snowfall from December to February showed the order of Gunsan (12.7 cm), Mokpo (9.0 cm) and Incheon (7.8 cm). In particular, the snowfall in the three regions showed the regional difference in December and February. It was well consistent with the extension of continental high. Extension of continental high can cause effect on snowfall at the west regions (Inchoen, Gunsan, Mokpo)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ntinental high extended from the southern China to west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December, it extended from the northern China to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January. It also extended from the north side of China through Bohai Sea and Yodong Peninsula to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February. Therefore, more snowfall recorded in Incheon is higher in February than December whereas Gunsan and Mokpo is the opposite. The heavy snowfall at the three regions was caused by loss of the heat from the ocean to air when the heat loss was higher than 100 $W/m^2$. The heavy snowfall was also observed when the arrangement of continental high atmospheric pressure and low pressure was high at the west and low at the east, which formed a front in West and when the wind blow from the North or North West at the speed of 4${\sim}$8 m/sec.

  • PDF

대전.충남지역 지반특성

  • 김팔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158-164
    • /
    • 2004
  • 충청남도는 한반도의 중부지방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8,597.9$\textrm{km}^2$이다. 북쪽으로 경기도, 동쪽으로 대전광역시ㆍ충청북도, 남쪽으로 전라북도와 접하고, 서쪽은 황해에 면하고 있으며, 태안반도가 있다. 서해안은 해안선이 매우 불규칙하게 발달하여 아산만, 가로림만, 서산만, 천수만 같은 만들이 발달되어 있다. 차령산맥을 중심으로 동고서저형이며, 평균고도가 100m내외로 전국에서 가장 저평한 지역이다. 대전광역시는 면적 539.84$\textrm{km}^2$로 동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ㆍ옥천군, 북쪽으로 충청북도 청원군, 충청남도 연기군, 남쪽으로 충청남도 금산군, 서쪽으로 충청남도 논산군ㆍ공주시에 접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