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 서부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우리원전 안전한가-한반도 지진발생현황 진단

  • Kim, Yeong-Si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9 s.316
    • /
    • pp.68-71
    • /
    • 1995
  • 지난 7월25일 오후7시경 서해 백령도 부근에서 규모4.0의 지진이 발생했다. 비록 50초간의 별 피해없는 약진이었지만 백령도에서는 물론 서울을 비롯한 경기 서부북 일대에서도 건물 유리창이 흔들릴 정도의 수준이었다. 이에따라 한반도 지진발생현황을 살펴보고 우리 원전의 안전성을 점검해본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in Winter (동계 한국 서부연안지역의 적설과 해양기상요소와의 관계)

  • Go, Woo-Jin;Kim, Sang-Woo;Jang, Le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1
    • /
    • pp.17-2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at Incheon, Gunsan and Mokpo when cold and dry continental air mass passed through the West Sea of Korea in winter. Mean snowfall from December to February showed the order of Gunsan (12.7 cm), Mokpo (9.0 cm) and Incheon (7.8 cm). In particular, the snowfall in the three regions showed the regional difference in December and February. It was well consistent with the extension of continental high. Extension of continental high can cause effect on snowfall at the west regions (Inchoen, Gunsan, Mokpo)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ntinental high extended from the southern China to west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December, it extended from the northern China to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January. It also extended from the north side of China through Bohai Sea and Yodong Peninsula to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February. Therefore, more snowfall recorded in Incheon is higher in February than December whereas Gunsan and Mokpo is the opposite. The heavy snowfall at the three regions was caused by loss of the heat from the ocean to air when the heat loss was higher than 100 $W/m^2$. The heavy snowfall was also observed when the arrangement of continental high atmospheric pressure and low pressure was high at the west and low at the east, which formed a front in West and when the wind blow from the North or North West at the speed of 4${\sim}$8 m/sec.

  • PDF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감조구간과 도회의 발달

  • 범선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60-64
    • /
    • 2003
  • 한반도의 서해안선은 그 길이가 4,000여km에 달하는데, 굴곡이 매우 심하다. 반도 서부의 직선거리는 600여km에 그친다. 드나듦이 큰 해안선은 간석지의 발달뿐만 아니라 서해의 조석현상의 특성에도 영향을 준다. 조석은 해파(wave)의 일종으로 12시간 이상의 주기를 가졌다. 이것의 파장은 수천km이고, 파고는 10m를 넘을 때도 있다. 조석은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하류구간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중략)

  • PDF

First Record of Odontobutid fish, Odontobutis obscura (Pisces, Gobioidei) from Korea (한국산 동사리과 어류의 1 미기록종, Odontobutis obscura (Pisces, Gobioidei))

  • Chae, Byung-So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1 no.1
    • /
    • pp.12-16
    • /
    • 1999
  • Four specimens of the odontobutid fish, Odontobutis obscura (Temminck et Schlegel) of the family Odontobutidae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je Island, Kyongsangnam-do, Korea. Odontobutis obscura was easily discriminated from congeners in that this species have no sensory canals at preoperculomandibular and supraorbital pit lines on head and the first band on lateral side of body is extending from the middle of the first dorsal fin. This species distributes in western Japan mainly and Koje island which situates southernmostly in Korean Peninsula. So a new Korean name "Nambangdongsari" is proposed.

  • PDF

Chemical Weathering Trend of Granitic Rock in Hwangtohyun, Korea (한반도 서부 황토현 일대 적색토의 화학적 풍화 경향)

  • Kim, Young-R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1
    • /
    • pp.17-26
    • /
    • 2012
  • In Hwangtohyun, meaning 'red soil pass', reddish surface mantles is widespread. Other granitic hills, exceptionally Naju and Youngam area, in Korean peninsula don't commonly have that color.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is issue by CIA(chemical index of alteration). CIA data and A-CN-K diagram provide crucial insights into the changes in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chemical physical weathering in difference of grus regolith and saprolite. CaO and $Na_2O$ show strong depletion and $K_2O$ is progressive loss. In grus regolith, weathering trends are (sub)parallel to the CN-A join of the A-CN-K diagram, but the sample's composition plot ever closer to the A-K join in saprolite. The difference of weathering trend obtained using CIA data corresponds closely with the visual interpretation of soil color and texture.

  • PDF

Review on $M_L$ Scales in Southern Korea (한반도 남부의 지역규모식 검토)

  • Shin, Jin-Soo;Chi, Heon-Cheol;Cho, Ch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8 no.4
    • /
    • pp.207-209
    • /
    • 2005
  • The local magnitude scales yiel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Richter's original definition are reviewed. In order to compare the previous ML scales, the new distance correction term of ML scale is derived as - log A 0 = 1.017 log ( r/17) + 0.00028 ( r-17)2 + 2 .0 using broadband velocity seismograms from 126 local events occured from 2000 to 2004. The attenuation rate of this formula fall between those of western and eastern North America. This result is in nearly accord with the ML scales proposed by Kim and Park(2002).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ML scales is owing to insufficient seismic data not to distribute whole area of Southern Korea.

  • PDF

해상태양광 부유체 안정성 평가를 위한 해양기상 적용에 관한 연구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31-332
    • /
    • 2018
  • 해상태양광 부유체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우리나라 해역의 풍랑특보 분포 특성 및 태풍의 변화 경향, 기상재해의 특성 등을 분석, 요약하였다. 풍랑특보 일수는 한반도 동쪽에 해당하는 동해 남부 및 남해 동부, 동해 중부 해역에서 많았고 한반도 서쪽에 해당하는 서해 중부 및 서해 남부, 남해 서부 해역에서 적은 분포를 보였다. 이는 이동하면서 발달하는 온대저기압과 계절풍의 영향과 관련되어 있다. 계절로 구분해 보면, 겨울과 봄에 풍랑특보 일수 분포가 많고 상대적으로 가을과 여름에 적다. 근래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태풍의 발생 수는 미미하지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세기는 강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1년 평균 3.2개이고, 남해를 통과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서해를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동해를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대규모적인 기상재해를 유발시키는 태풍은 주로 남해안을 통과하는 태풍이고 시기는 8월 하순에서 9월 중순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서울.경기 지역의 지질 및 지반특성

  • 김명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176-187
    • /
    • 2004
  • 서울ㆍ경기지역은 한반도의 서부중앙지역으로 동경 126$^{\circ}$와 127$^{\circ}$, 북위 36$^{\circ}$와 38$^{\circ}$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서울 605$\textrm{km}^2$, 경기도 10,184$\textrm{km}^2$를 차지한다. 북쪽으로는 휴전선, 서쪽으로는 서해, 동쪽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는 충청도와 접하고 있으며 한강에 의해 남북지역으로 나뉘어져 한 수 이북은 산간지역이 한 수 이남지역에는 평야지대가 발달하고 있다. 지형은 대체로 추가령 구조곡을 경계로 북부산지와 남부산지로 나누어지는데, 북부는 중국 요동방향의 마식령산맥, 남부는 중국방향의 광주산맥과 차령산맥이 각각 그 골간을 이루고 있으며, 서쪽해안에 가까워질수록 고도가 낮아져 평야나 구릉성 산지로 바뀐다.(중략)

  • PDF

중ㆍ한 열차페리시스템 추진현황

  • 우위국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9-142
    • /
    • 2002
  • 중국횡단철도(TCR)와 한반도의 연결ㆍ중국횡단철도는 중국 쟝쑤성 렌윈강에서 신장 위그루 자체구의 아라샨커우까지 4,131km의 철로이며 중국의 동부, 중부, 서부의 10개성을 동서방향으로 횡단하는 중국 제1의 동서횡단철로임 ㆍTCR을 이용하면 중국에서 유럽까지의 거리가 시베리아횡단철도(TSR)보다 약 1,500km 짧으며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와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 서아시아까지의 거리는 TSR보다 3,000km이상 짧음(중략)

  • PDF

Horizontal Strain of the Crust in Korea for the Past 80 Years from Geodetic Observations (측지측량 결과로부터 조사된 과거 80년간 한국에서 지각의 수평변형)

  • 최재화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a
    • /
    • pp.49-6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구삼각강(1910-1915)과 정밀1차측지망(1975-1994)을 사용하여 지각변동량을 계산하고, 지체구조의 일반적인 변형패턴을 기하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2차원의 무한소 변형모델을 설정하였으며, 수평변형량은 구좌표와 정밀1차측지망의 정밀동시강조정을 자유강조정법에 의하여 최초로 실시하여 일괄성있는 신좌표를 사용하여 계산된 측지선의 변화량으로 추정하였다. 변형설계결과로부터 1910년부터 1994년까지 누적된 변형량은 평균(1.07$\pm$0.5)$\times$10-5이고, 이로부터 년변형속도는 (0.13$\pm$0.063)$\mu$/yr 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변형의 경향을 보면 변형량이 10$\mu$ 보다 큰 값이 한반도의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서부쪽에는 10$\mu$이하의 값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반도의 동해안에서 지진의 발생빈도가 높은 것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로부터 계산된 결과는 장래의 연구를 위해 중요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변형축의 방향은 전국적으로 $77.6^{\circ}$$\pm$$13.5^{\circ}$방향임을 보여주고 있어 한반도의 지각은 ENE~WSW방향으로 압축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지질학자나 지진학자들의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와 P-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고, 최대전단변형 이론과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