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글 초성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연산자 LIKE의 새로운 한글 탐색 패턴 (A New Korean Search Pattern of the Operator LIKE)

  • 박성철;노은향;박영철;박종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3호
    • /
    • pp.244-260
    • /
    • 2007
  • 데이타베이스 언어인 SQL의 연산자 LIKE는 문자열을 탐색하기 위한 연산자로서 문자열 양식을 설정함으로써 그에 부합하는 칼럼값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표음문자인 한글의 각 음절은 초성과 중성으로 구성되거나 초성, 중성, 그리고 종성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연산자 LIKE의 한글 음절의 탐색 양식으로서 한글 음절로 표현되는 기존 양식에 추가하여 한글의 초성과 중성에 기반한 새로운 양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한글 탐색 양식은 특정 초성을 가지는 한글 음절들, 특정 중성을 가지는 한글 음절들, 또는 특정 초성과 중성을 가지는 한글 음절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한다. 제안하는 한글 탐색 양식을 SQL의 기존 연산자들로 표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많은 불편을 수반하며 DBMS의 문자 집합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의 호환성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제안하는 한글 탐색 양식을 고려한 연산자 LIKE의 수행 알고리즘을 한글과 한자에 대한 정보 교환용 부호계의 국가 표준인 KS X 1001로 표현된 문자들을 기반으로 제시한다.

확장된 버로우즈-휠러 변환을 이용한 개선된 한글 초성 탐색 (Improved First-Phoneme Searches Using an Extended Burrows-Wheeler Transform)

  • 김성환;조환규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82-687
    • /
    • 2014
  • 한글 초성 질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나 모바일 기기와 같이 입력 환경에 제약이 있어 오류가 빈번한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제공되는 중요한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 문자열을 자소 단위로 분해하여 재배열하여 환형 문자열로 변환한 후, 확장된 버로우즈-휠러 변환을 이용하여 색인함으로써 초성 질의 탐색을 위한 시공간 효율적인 자료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기존 기법에 비하여 더 적은 공간만을 사용하면서도 보다 다양한 형태의 질의를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질의어의 길이가 짧고, 초성의 비율이 높을수록 탐색 속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한글 초성을 이용한 원문보호 탐색기법 (A Text-Secure Searching Method Using the First Phonemes in Korean Documents)

  • 김성환;박선영;조환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86-389
    • /
    • 2011
  • 인터넷의 발달과 활발한 지적 활동으로 인하여 정보 교류의 속도와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다량의 유사한 정보들 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탐색 기법을 적용하기에 앞서 탐색 대상이 되는 문서의 원문을 확보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또한 사용자의 질의문을 관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회·법률적인 문제가 방해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원문과 질의문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기존의 정보 탐색 기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 공학적 해결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탐색 대상인 한글 문서의 각 문자를 구성하는 초성만을 추출하여 나열한 문서를 정의하고 이 초성 문서가 원문과 질의문의 노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문장 단위 이상의 검색에 있어서 기존의 탐색 방법들이 초성 문서상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6-유형 별로 적응적 계층 구조를 갖는 인쇄 한글 인식 (Printed Hangul Recognition with Adaptive Hierarchical Structures Depending on 6-Types)

  • 함대성;이득용;최경웅;오일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0-18
    • /
    • 2010
  • 한글 인식은 부류 수가 많다는 특성을 가지며 이 특성으로 인해 6-유형으로 사전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전 분류 후 각 유형들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리하여 인식할 수 있다. 초성, 중성, 종성 각각은 부류의 수는 적지만 'ㅔ', 'ㅖ', 과 같이 서로간의 유사도가 높아 오 인식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6-유형 각각에 대해 다단계 트리 구조를 가진 계층적 인식 방법을 제안 하였다. 또한 초성, 중성, 종성의 서로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초성과 종성의 인식 결과를 중성 분류기의 특징으로 사용하였다. PHD08 데이터베이스의 테스트 집합에 대해 98.96%의 정확률을 보였다.

유치원 아동의 한글 읽기와 자모 지식과의 관계 (Relations of Consonant and Vowel knowledge with Korean Hangul reading among kindergartners)

  • 조증열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46
    • /
    • 2006
  • 본 연구는 단기종단연구로 4세와 5세 아동의 읽기, 받아쓰기와 자모 지식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아동들을 시기 1에서 측정한 7개월 후에 다시 측정하였다. 회귀분석에서, 시기 1(T1)에 측정한 단어 읽기가 시기 2(T2)의 자음 이름과 자음 소리 지식을 예측하였다. 반면에 초성탈락, 숫자명명, 단어읽기가 모음 소리지식을 예측하였다. T2의 한글읽기를 예측하는 변인은 T1 한글읽기와 자음이름이었다. 반면에, 모음소리 지식과 초성탈락은 한글단어의 받아쓰기를 잘 예측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한글 자음과 모음 지식의 발달양식이 다르며, 이들이 한글읽기와 쓰기에 미치는 역할이 다른 것을 시사한다.

  • PDF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인공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한글 필기체 On-line 인식 (A Study on the Intelligent Man-Machine Interface System: On-Line Recognition of Hand-writing Hangul using Artificial Neural Net Models)

  • 최정훈;권희용;황희융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89년도 한글날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26-131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Error Back Propagation 학습을 이용해 한글 문자를 On-Line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Pointing device의 궤적을 추적해 입력 패턴의 특징(feature)을 추출해 신경 회로망 입력으로 준다. 이때 사용하는 특징은 기본 획 (stroke)의 종류 및 획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이다. 학습과정에서는 자소의 정의를 읽어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해 각 획수마다 정의된 신경회로망의 weight를 조정한다. 인식 과정에서는 초성, 중성, 종성의 순으로 에러가 최소인 획수의 신경회로망 출력을 택하여 2 바이트 조합형 코드로 완성한다. 이로써 Intelligent Man-Machine Interface 시스템중 위치 및 크기에 무관한 전필 입력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Q2. 5벌식 한글자만 배열 제안 (Proposal for a New Korean Keyboard Layout)

  • 이일병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1년도 제3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33-138
    • /
    • 1991
  • 새로운 한글 자판 배열이 제안되었다. 자판에서 키 선택을 위한 기본적인 원칙들과 유추되는 제안들이 간략하게 설명되었으며, 나아가 이들에 토대한 키 배열이 선택되었다. 가장 중요한 원칙은 한글에 대한 인지모형을 따라서 자음중에서 초성자와 종성자의 구분이 같은 키에서 Shift의 동작의 유무로 이루어지는 점이며, 따라서 2벌식과 3벌식의 중간 형태로 생각될 수 있으므로, 본 자판 배열은 2.5벌식으로 명명하였다. 구체적인 키들의 배열은 최근에 조사된 신빙성있는 현대 한글에 대한 자소 빈도수와 손가락에 대한 부하를 고려해서 결정되었다.

  • PDF

LN2440SBC 시스템을 위한 한글 포팅 및 출력 방식 비교 (Hangul Porting and Display Method Comparison for an LN2440SBC System)

  • 김병국;박근덕;오삼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35-638
    • /
    • 2009
  • 컴퓨터 디스플레이를 위한 한글 표현 방법에는 한글 음절의 초성, 중성, 종성 각각에 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조합하여 1 음절을 2 바이트로 처리하는 표준 조합형 코드와 각 음절마다 2 바이트 코드를 부여하는 표준 완성형 코드, 그리고 모든 국가의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만국 공통의 문자부호 체계인 유니코드 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은 PC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고 저장공간 또한 제한되어 있으나 그 용도에 따라 PC에 필적하는 성능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화면에 한글을 출력할 경우, 임베디드 시스템의 자원 환경에 맞는 적합한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본 논문은 시랩시스(CLabSys)사의 3.5" TFT LCD 키트인 LP35가 부착된 LN2440SBC 임베디드 보드(S3C2440A CPU, 400MHz)의 TFT LCD 드라이버 제작을 위한 초기화 방법과 픽셀 디스플레이 함수를 소개한다. 또한 픽셀 디스플레이 함수와 비트맵 폰트를 사용하여 표준 조합형, 표준 완성형, 유니코드 방식의 3가지 방식에 대한 한글 출력 처리 속도와 필요 메모리 용량을 비교한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표준 조합형은 적은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지만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완성형은 조합형에 비해 출력 처리 속도는 빠르나 모든 음절의 저장을 위해 비트맵 폰트의 용량이 크며, 유니코드는 비트맵 폰트의 용량은 가장 크지만, 국가 간 언어의 호환성을 보장하고 출력 속도 또한 세 가지 방식 중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 인식을 이용한 한글 문서 검색 (Hangul Document Retrieval Using Character Recognition)

  • 안재철;오일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544-546
    • /
    • 2001
  • 이 논문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로 인식된 한글 문서에서의 오인식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한글 단어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OCR로 인식된 많은 야의 한글 문서를 기반으로 자모별 인식 빈도수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성, 중성, 중성별 인식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을 구성하였다. 또한 인식 정보를 적절히 이용하기 Bayes 정리를 이용하였다. 질의어에 대한 오인식 단어의 검색 방법을 제시하고 혼동 행렬과 이 검색 방법을 바탕으로 OCR 기반 단어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우리말 ㅎ 음운도치와 불연속형태 (h-Metathesis and Discontinuous Morphs in Modern Korean)

  • 유만근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510-513
    • /
    • 1996
  • 현대 한국어에 ㅎ음운도치 현상에 잇는데 주로 두가지 문법범주에 나타난다. 첫째는 ${\ulcorner}암탉/수탉{\Ircorner}$ 처럼 ${\ulcorner}암{\Ircorner}$ (female), ${\ulcorner}수{\Ircorner}$ (male)에 이어지는 명사초성 파열음에서 생기고, 그 다음은 ${\ulcorner}놓고/많지{\Ircorner}$ 처럼 용언 어간말음 ㅎ소리와 그것에 이어지는 어미초성 파열음, 파찰음 사이에서 생긴다. 첫째 경우에는 정서법이 음운도치를 그대로 반영하지만 두째 경우에는 어간.어미를 갈라적는다는 기준에 따라 대개 발음순서와 철자순서가 다르게 되어있다. 이 글의 초점은 현행 한글맞춤법상 이렇게 발음순서와 철자순서가 어긋남을 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고찰하고, 그 철자방식을 비판하면서 한글맞춤법 개선을 위해 ㅎ받침 효용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하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