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전자정부

Search Result 1,19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기획 / 무선 공공 서비스로 대국민 서비스 질 높인다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7 s.98
    • /
    • pp.62-63
    • /
    • 2001
  •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전자정부와 연계한 이동공공서비스(Mobile Public Service)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PC를 기반으로 하는 유선 전자정부의 시.공간적 접근성 및 활용성 한계를 극복하고, 무선인터넷 기술을 통하여 전자정부서비스에 '이동성','휴대성' 및 '접근 용이성'을 제공하여 대 국민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 PDF

정보화를 통한 민원서비스 혁신 (G4C) 사례

  • 옥중경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1.08a
    • /
    • pp.1-10
    • /
    • 2001
  • 정부기관의 내부업무화 대민 서비스를 하나의 창구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정부의 대표관문(Portal Site)으로서, 고객중심적으로 모든 전자적 민원인에게 유용한 정부서비스를 제공하는 젓을 목적으로 구축된 Portal 시스템(중략)

  • PDF

The Study on Strategy of National Information for Electronic Government of S. Korea with Public Dat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정보화 전략연구 - 시나리오플래닝을 적용하여 -)

  • Lee, Sang-Yun;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6
    • /
    • pp.1259-1273
    • /
    • 2012
  • As a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rapidly, because of changing from web environment to ubiquitous environment, a lot of countries across the world as well as S. Korea for national information with electronic Government have a variety of changes with big data. So this study is about development for national information and e-government of S. Korea with public data as big dat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And then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trategy consulting of national information with e-Government of S. Korea for utilization of public data as big dat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as a foresight method. As a result, the future policy for utilization of public data as big data for national information with electronic government of S. Korea is to further spu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linked data with semantic web for 'understanding of machine' than 'understanding of man'.

포인트 /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상호 운용성 프레임 워크

  • An, Hyeon-Su
    • Digital Contents
    • /
    • no.10 s.101
    • /
    • pp.46-49
    • /
    • 2001
  • 본 고는 영국 정보에서 효율적인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 2001년 5월 5일에 발표한 e-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 Version 2(http://www.govtalk.gov.uk/documents/e-GIF_version_2.doc)중 핵심이 되는 "제2장 정책과 기술표준(2, Policies and Technical Standards)" 부분을 완역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민간 부문 시스템들을 상호 연결하면서 공공부문에서의 끊임없는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영국 정부의 정책과 규격들이 제시되어 있다. 최근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중인 전자정보(e-Govenment)와 공공부문에서 추진중인 전자화 사업(e-porjects)구현시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자정부의 행정전자서명기반 구축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 박인재
    • Review of KIISC
    • /
    • v.13 no.3
    • /
    • pp.31-37
    • /
    • 2003
  • 전자정부 구현에 있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는 각종 행정정보에 대한 정보보호는 필수적인 선결 조건이다. 미국 등 각국에서는 전자전부의 정보보호 기반 구축을 하여 가상행정을 환경에서 당사자의 신원 확인,기밀성,무결성,부인봉쇄 등을 보장하는 정부차원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를 구축.운영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정보의 비밀성, 무결성 등을 보장하는 정부차원의 정보보호체계 구축을 위해 2000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GPKI(Goverm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구축 현황, 인증서비스 현황 및 향후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Analysis of the Government's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AI): Focusing on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 (정부의 인공지능 도입에 관한 분석: 중앙정부조직을 중심으로)

  • Han, MyungS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2
    • /
    • pp.281-293
    • /
    • 2022
  • The necessity for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into the public sector to form an intelligent government has been emerging. This study set 'Organizational Agility', 'Exploitation & Exploration Learning', and 'E-government Capa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introduction of AI in central government.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on whether AI was adop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Bu(mainly conducts policy planning)', and 'Cheong(mainly performs policy execu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each of the two models. As a result, it was derived that ministry Bu adopted AI as organizational agility increased, and ministry Chung adopted AI as e-government capability increased. Particular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effect of exploitation learning for Cheong organizations offset the influence of AI introduction according to e-government capabilities, while exploratory organizational learning facilitated the AI introdu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suggesting a strategy for adopting AI in government.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Factors and e-Government Performance - Centered on the Services of A Governmental Agency - (조직특성과 전자정부 성과간의 관련성에 대한 실증연구 - A 정부기관 서비스를 중심으로 -)

  • Kim, Jae-Young;Kim, Yoo-Jung;Yoon,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7
    • /
    • pp.257-267
    • /
    • 2008
  •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organiza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e-Government.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much research related to organizational and e-government performance. Also we surveyed from A governmental agency and performed the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all organizational factors (chief officer's commitment, information-oriented culture, and interpersonal/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have an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e-Government: increase in customer service, improved work efficiency, cost reduction). Also, the results show that all organizational factors have much stronger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service than other organizational factors.

  • PDF

정부 사무관리 규정중 개정령 해설

  • Park, Seok-Gyu
    • 정보화사회
    • /
    • s.104
    • /
    • pp.43-45
    • /
    • 1996
  • 최근 정부기관이 처리하는 전자문서(전산망을 통해 전자적으로 처리된 문서)에 대한 법적 효력을 포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 근거는 정부기관의 공문서나 내부결재 문서 뿐만 아니라 정부기관이 처리하는 민원문서를 전자적으로 전산망을 통하여 접수,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똑같이 법적 효력을 부여함을 명시하고 있다.

  • PDF

u-Gov Oriented New Services Improvement based on E-Gov Net (전자정부통신망 기반의 u-Gov 지향 신규 서비스 개발)

  • Kim, Yo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673-678
    • /
    • 2007
  • uIT는 다양한 분야에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등장 시키며 일상을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생활 서비스를 창출하면서 우리 사회구조 및 삶을 보다 진보된 방향으로 유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예견된다. 서비스측면에서 고려할 때, e-Gov는 서비스의 시공간 제약, 공급위주의 서비스 및 서비스의 전자화가 특징이라면 u-Gov에서는 언제어디서나 중단 없는 서비스를 고객 개인별 맞춤형으로 제공하며 서비스가 지능화된 특정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의 공통서비스 추진전략을 고찰하고, 전자정부망의 네트워 고도화 및 전자정부망을 이용한 서비스의 유형을 발굴하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