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수학

Search Result 10,12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

  • Choi, Eunah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3
    • /
    • pp.491-511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relation to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more importantly than the history of mathematics. They thought that the contents of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should be increased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about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Finally, this paper asserted that teacher education is the key to the teacher perception on and using of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대학수학 교육 연구의 원칙과 기준들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33-44
    • /
    • 2005
  • 한국의 대학수학 교육에 대한 여러 종류의 관심이 다양한 현실적 필요성에서 대학의 수학 교수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 대학수학 교육의 어떤 연구 주제를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연구하여야 연구로서 가치, 타당성 그리고 연구 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등 연구의 방향, 목표, 그리고 결과의 활용에 대한 적절한 합리적 준거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실제 수학 수업을 수행하는 교수, 교사 또는 교육행정가에게 유용한 정보, 지식 그리고 수업 수행 방법(기술) 등을 제공하여 그들의 의사결정 문제를 결정하도록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성을 가져야 한다. 학교수학 교육은 국가적 교육과정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하여 대학수학 교육은 각 대학마다 다른 교육 환경과 목표를 반영한 대학교육과정에 대학수학 관련 교과(강좌) 또는 수학전공 교과들이 포함되어있다. 다양한 대학교육 환경과 시스템에 놓여있는 대학수학 교육의 상황 또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수행 원칙과 질적 기준들 무엇인가?를 논하였다.

  • PDF

중등 수학 및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컴퓨터 교육의 연결성 및 통합성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303-324
    • /
    • 2000
  • 수학 교육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교육적 사용의 범위는 커지고 교육 모형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중등 수학교육에서의 변화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및 한국의 수학 교육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NCTM의 컴퓨터 및 정보기술 활용에 관한 규준들의 교육적 의미, 방법, 효용 등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컴퓨터과학 교과과정에 포함된 수학 분야에 대한 컴퓨터과학자 Hamming의 견해를 소개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의 중등 교육에도 컴퓨터과학 교과가 시행될 것을 예정하면서 수학 교사들이 미리 컴퓨터과학을 교과과정을 이해함으로 통합 교과적 요소, 특성 그리고 역할 관계를 알아보았다.

  • PDF

수학영재교육에서의 시사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7
    • /
    • pp.127-138
    • /
    • 2003
  • 아주대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학영재교육에서의 사사에 대한 기본적 아이디어와 과기부 과제 창의적 사사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여 본다. 대학교에서 수학영재교육을 실시하는 큰 이유는 수학적 창조자인 수학자에게서 수학논문을 쓰는 법과 수학자로서 필요한 인성을 익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PDF

중학교 함수영역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에 대한 연구

  • 송순희;오정현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6 no.1
    • /
    • pp.11-22
    • /
    • 1997
  • 교육의 목적은 창조적인 인간상(creativity), 유용성 있는 인간상(utilitarian), 심미감 있는 인간상(esthetic)의 구현으로서, 이에 따르는 수학교육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수학 지식의 습득, 기능의 습득과 같은 직접적인 것으로 그것들의 응용 및 적용이며, 다른 하나는 간접적인 것으로 수학적 사고의 신장과 수학적 태도의 함양이다.(중략)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alculator in Mathematics Educations Between Korea and Singapore (수학 수업 중 계산기 사용에 대한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육 비교)

  • Choi, Ji Su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3
    • /
    • pp.227-245
    • /
    • 2018
  • Debates of calculators in mathematics lessons sometimes have happened in both countries that students rarely use calculators in math lessons including Republic of Korea and countries that students usually use calculators in math lessons. Korea has tried to activate usage of calculators in math lessons as the revision of national math curriculums and the development the strategies to support schools and math teachers. On the other hand, Singapore has the different educational strategies to use calculators in math lessons, but students have higher math achievements in TIMSS and interests in math lessons than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Singapore on the usage of calculators in math lesson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compared math curriculums of two countries on the usage of calculators and analysed TIMSS 2015 related with the survey items about calculators in math lessons. This study results in some suggestions that we should do in oder to use calculators in math lessons effectively.

초등 영재교육에 적용 가능한 이산수학 프로그램 개발 연구

  • Choe, Geun-Bae;An, Seo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167-189
    • /
    • 2005
  • 본고에서는 영재교육에서 실제 학습자료의 부족과 이산수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최근의 동향을 감안하여, 초등학교 영재교육에 적용 가능한 이산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우선 프로그램의 개발에 선행하여 관련 이론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산수학 관련 내용을 분석하석 교육과정의 내용을 심화 ${\cdot}$ 발전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이산수학과 관련된 기존의 수학학습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순수 수학적 이론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풀어보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산수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제해결에서 알고리즘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프로그램 자체가 하나의 수학적 원리를 탐구해 가는 과정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산수학이 수학적 문제해결 학습과 연관됨에 착안하여 프로그램은 Polya의 문제해결학습을 바탕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 PDF

Storymaking with Mathematics and its examples (수학으로 이야기 만들기와 사례)

  • Lee, Gyou 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3
    • /
    • pp.301-311
    • /
    • 2015
  • If the storytelling Mathematics is teaching Mathematics by making and telling stories on Mathematics, the storymaking with Mathematics is that teachers(or mathematicians) who wish to develop their opinions concerning about their interesting fields apply them into a real life. They can use mathematical consequences for their arguments. I'll call it 'storymaking'. It could let the general public know that studying Mathematics is useful. So this application is helpful to the popularization of Mathematics.

수학 교구를 활용한 클럽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도형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oe, Chang-U;Son, Suk-Hy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63-176
    • /
    • 2001
  • 대부분의 수학 수업이 알고리즘을 숙달시키고, 기계적으로 익힌 절차에 의해 정답을 맞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문에, 학생들은 수학은 딱딱하고 어렵고 재미없는 과목이라는 인식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수학 수업에서 수학 교구의 조작 활동을 한다면 수학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상과 형식적인 수학으로의 발달을 돕고 학생들이 활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 7차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에서는 조작 활동을 통한 자기 학습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주위의 실제 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물을 관찰하여 그 성질을 추상해 낼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구를 이용하는 조작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규 수학 수업이 아닌 일선학교의 클럽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수학 교구를 충분히 조작하고 활용할 시간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수학 교구의 조작 활동을 통한 클럽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능력 수준에 따른 도형 학습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 지를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A Direction of a Compl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History Described in the Texts - Focusing on Mathematical Transculture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가 다루는 수학사의 보완 방안 -수학문화의 전이를 중심으로-)

  • Park, Jea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8 no.4
    • /
    • pp.493-511
    • /
    • 2014
  • In this paper, we study the major mathematical history appeared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chool mathematical history described in the texts reflects the axial age, and deals with mathematical transculture from the ancient Greek into Europe without the Islamic mathematics. We discuss about them through out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give some directions for the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