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및 동양 건축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초고층 건축물의 기둥축소량 해석 및 현장계측 - 해운대 아이파크 (Column Shortening Analysis and Field Measurement of Haeundae I'Park)

  • 정광량;이대용;송호범;박광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2부
    • /
    • pp.67-70
    • /
    • 2011
  • The effect of column shortening is a major consideration in design and construction of tall buildings, especially in concrete and composite structural systems. To avoid unexpected demage in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elements, differential shortening between vertical members resulting from differing stress levels, loading histories, volume-to-surface ratios and other factors in a high-rise building must be properly considered in the design process. This paper represents analyzed and measured shortening results of RC cores and columns at the 72 story Haeundae I'Park. It shows that WACS program based on ACI and PCA material model is effective for the prediction of column shortening.

  • PDF

공동주택 지하 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보수를 위한 표준 매뉴얼 - Part 1. 유지관리 계획 및 점검 - (Standard Manual for Preventing and Maintaining Leakage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Apartment Houses - Part 1. Maintenance Plan and Inspection -)

  • 김수연;이정훈;이승진;장덕배;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7-238
    • /
    • 2019
  •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living performance closely related with lifestyle to Realize the Housing Welfare, the standard manual for the prevention and maintenance of water leaks in the underground structures of apartment buildings consists of Part 1 and Part 2. This study further covered the maintenance plan and inspection carried out in Part 1.

  • PDF

조경수의 해충-능소화를 가해하는 해충

  • 최광식
    • 조경수
    • /
    • 통권105호
    • /
    • pp.15-17
    • /
    • 2008
  • 7월이면 도심의 벽 울타리를 따라 화려하게 꽃으로 장식하며 우리의 마음을 한결 가볍게 해주는 능소화는 중국 원산으로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로 주로 중부 이남 지역에서 사찰의 관상용으로 식재하였으나 요즘은 전국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고,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식물이다. 특히 도심의 고건축물이나 휴식공간에 식재하면 나팔 모양의 꽃과 색상이 화려하면서 점잖고 기품이 있어 동양적인 아름다움을 함께 누릴 수 있는 나무이다. 또한 공해에도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도심의 정원수나, 조경수로 보급 가능하다. 해풍과 염기에 강하며 해안지역에서도 잘자라며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좋다. 이런 능소화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뒷노랑얼국나방과 미국흰불나방 등이 피해를 주고 있어 이들에 대한 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강봉댐퍼의 개수 및 Z 플레이트 사용에 따른 의존성 및 성능 평가 (Dependency and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eel Rod Dampers and the use of Z plates)

  • 이현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51-58
    • /
    • 2023
  • In this study, the displacement dependence, strength,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steel rod damper were evaluated. The test variables are the number of steel rod dampers and the lateral deformation prevention details. From test results, it was evaluated that the displacement dependence conditions in the structural design code were satisfied. The maximum strength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increased linearly as the number of steel rod increased. In addition, the maximum strength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were evaluated by more than 20 times increased by using of the lateral deformation prevention details.

절곡형 전단보강근을 사용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이력 거동 (Hysteretic Behavior of Slab-Column Joint Using Bended Type Shear Reinforcement)

  • 이현호;이도범;이리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11-2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 무량판 구조의 뚫림 전단을 방지하기 위한 연속 절곡된 전단 보강근을 개발하였다. 이를 적용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있어 개발 전단 보강근의 뚫림 전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는 전단보강근이 없는 경우, 개발 전단보강근을 사용한 경우, 헤드 스터드를 사용한 경우이다.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정축력하에서의 이력 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전체 변위 및 접합부 강도 등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발된 전단보강근이 층간변위비 거동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봉 댐퍼와 록킹 거동 (Steel Rod Damper and Rocking Behavior)

  • 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벽체의 록킹 거동을 고려한 내진보강 기법을 개발하였다. 록킹 거동은 벽체 수직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것으로, 개발 시스템은 변위 큰 부분에 댐퍼 등을 설치하여 에너지를 소산 시키는 방법이다. 댐퍼는 강봉 댐퍼를 사용하였으며, 강봉 지름 및 길이(형상비)를 변수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댐퍼길이 260mm 경우 우수한 내진 성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댐퍼 높이가 같은 강봉 및 강판 댐퍼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Steel Rod and Steel Plate Dampers with the Same Damper Height)

  • 이현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9-57
    • /
    • 2022
  •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steel plate and steel rod dampers with rocking behavior, the moment and the drift ratio were compared and evaluated. As a test result evaluation, it was showed that the behavior of R15-200 and R15-140 was very good than other dampers. And the steel rod damper showed in-plane behavior to the loading direction, and was evaluated to prevent out-of-plane behavior that causes performance degradation.

조선시대 다포계 건축물의 결구형태별 구조성능 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of Beam-to-Column Joint Types in Dapo-style Buildings of the Joseon Dynasty)

  • 윤정훈;최윤철;이은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8-14
    • /
    • 2019
  • 한국 전통 목조 건축물의 경우 구조적 성능은 재료 특성, 접합부의 형태, 치목의 정밀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기존 사례 연구에서도 보와 기둥 접합부 형태는 변형 및 간격의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이는 단층 건물뿐만 아니라 대규모 다층 건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 형태에 대해 분석하고 모형을 제작하고 구조적 성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주먹장맞춤의 실험체에서 최대 하중을 나타냈다. 각각의 형태의 접합부에 의한 구조적 성능을 종합하면, 도래걷이 주먹장맞춤이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도래걷이 장부맞춤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물의 구조적 성능은 관통하는 보의 치목 형태와 기둥 내부의 접합부 형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층 건물의 신축 또는 복원을 위해 고려되어야하며 이후 계속 연구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강봉댐퍼의 단면형상과 형상비에 따른 변위의존성 및 성능 평가 (Displacement Dependency and Capac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Aspect Ratio of Steel Rod Dampers)

  • 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89-9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강봉댐퍼의 변위의존성 평가, 강도 및 에너지소산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 변수는 단면형상 및 형상비이며, 총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변위 의존성 조건을 모든 실험체가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단면형상에 따른 강도 영향은 미비하였다. 결과적으로, 형상비 13.7의 강도 및 에너지소산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융합디자인 가구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Design Furniture)

  • 김미숙;강화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7-143
    • /
    • 2018
  • 융합을 기반으로 4차 산업 혁명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가구산업에도 IT기술과 융합한 스마트가구가 출시되면서 우리 생활에 편리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을 기반으로 가구디자인 특성을 시대 변천에 따라 분석 하였다. 20세기 전 후의 융합 가구는 동양의 건축양식이나 캔틸레버와 같은 건축구조 및 재료를 융합한 디자인적 특성을 보인 반면, 21세기의 융합 가구는 IT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홈서비스 및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는 융합가구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소비 추세로 인해 소형 공간에 적용 가능하도록 복합적인 기능의 가구, 기능의 융합이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융합가구 디자인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이제까지 낙후산업이라 인식되었던 가구산업이 첨단 산업으로 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볼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논문이 가구산업의 발전에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