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기업

Search Result 23,590,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글로벌 유니콘 클럽' 기업의 특성 및 기업가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8-2019 '유니콘 클럽' 기업을 중심으로

  • Lee, Yeong-Dal;O, So-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31-153
    • /
    • 2020
  • '기업 생태계'에서 '유니콘'이란 표현법은 2013년 'Aileen Lee'에 의해 명명된 이래, 특히 한국에서 '스타트업 생태계'의 국제적 수준 비교의 차원에서 활발하게 다루어졌다. 정부 차원에서는 이를 정책적 목표로 설정하여, '2022년까지 유니콘 기업 20개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유니콘 클럽 기업'에 대한 현상이 정책적 목표 차원에서 다루어지며, 대중적으로 더욱 확산된데 반해, 이에 대한 실체적 및 본질적 이해 목적의 학술적 연구는 충분치 못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2018년 기준 '유니콘 클럽' 기업 326개 및 2019년 479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을 심층적이고 다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동안 주로 국가 별 '유니콘 기업' 수 및 산업 분류 기준 일반현황 중심의 대중적 소개가 주된 내용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투자자를 포함한 기초 현황을 상세 분석하였고, 사례분석을 포함한 질적 탐색을 수행하였다. 또한 군집분석, 판별분석, 다층 회귀분석 등 양적 탐색을 함께 수행하였다. 개별기업의 '기업가 요인-산업(시장)환경 요인-자원 요인-전략 요인', 즉 'ERIS 모델'에 기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앞서 분석한 특성 요인 및 투자자 특성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들을 토대로 '기업 생태계' 관점에서 유니콘 현상'을 바르게 이해하고,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이를 생산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gency Problem, Corporate Diversification and Corporate Value (대리권문제와 기업다각화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Ku, Maeng-Hoe;Kim, Byoung-G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2
    • /
    • pp.1-2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66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다각화의 동기를 밝히고, 대리권문제와 기업다각화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업다각화수준의 결정에 있어 대리권문제의 영향을 분석한 실증결과에 의하면, 첫째, 내부 지분율이 낮을수록 다각화가 많이 이루어지고, 내부지분율이 높을수록 다각화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기업의 다각화 동기를 대리권문제 관점에서 찾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부대주주지분율과 다각화수준간에는 유의적인 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여, 외부대주주들이 경영자를 감시 통제함으로써 대리권문제를 축소시키고, 기업의 다각화를 억제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각화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첫째, 다각화가 기업가치의 감소를 유발시켜 다각화수준이 높을수록 기업가치가 낮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우리나라 기업에 없어 다각화는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관련다각화 기업과 비관련다각화 기업의 가치를 비교해본 결과 비관련다각화 기업의 가치가 관련다각화 기업의 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업집단(企業集團)의 현황(現況)과 특징(特徵) : 비중(比重)·시장지위(市場地位)·다변화(多邊化)·소유구조(所有構造)

  • Lee, Jae-H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3_4
    • /
    • pp.183-238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집단이 갖는 현황과 특징을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았으며, 기업집단을 둘러싼 논쟁 중 중요한 쟁점인 기업집단의 생산구조 및 다변화가 기업집단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30대기업집단이 광공업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동안 변화가 있었지만 최근 들어 조금 높아지고 있으며, 상위기업집단과 하위기업집단간의 격차도 확대되고 있어 경제력집중 문제가 소수의 상위기업집단의 문제로 압축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30대기업집단 가운데서도 상위집단은 산업규모가 크고 성장속도가 빠른 산업에 중점적으로 진출해 있는 반면, 중 하위집단은 산업규모는 크지만, 성장이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는 부문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0대기업집단은 다양한 산업 시장에 진출해 있어 다변화가 크게 진전되어 있으며, 개별 상품시장에서도 높은 시장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규모가 큰 시장일수록 기업집단의 참여가 많으며,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는 참여 기업집단이 독점적 위치를, 규모가 큰 시장에서는 시장을 분점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실증분석에 의하면 기업 및 기업집단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장비율, 노동의 질 등 생산측면의 요인이며, 시장력 및 시장구조, 다변화 등이 기업집단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기업집단의 규모와 기업집단의 성과간에는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고 있지 않지만, 개별기업 수준에서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대형화는 촉진시키되 기업집단 계열기업간의 연결관계를 단절하고자 하는 현재의 경제력집중 대책방향이 적절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기업공개는 기업집단의 소유분산에 기여하는 동시에, 기업의 규모확대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기업공개의 촉진이 경제력집중 대책의 유용한 수단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Innovation and Openness on Firms Productivity : Using Company Innovation Index (기업의 혁신성과 개방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혁신지수를 이용한 분석)

  • Chang, Sun-Mi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5 no.3
    • /
    • pp.225-243
    • /
    • 2013
  •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s of innovation and openness on productivity in Korean firms using company innovation index which issued by STEPI in 2012. The data contains 296 companies which are registered in Korean stock market. I observed that the effect of past R&D investments on innovation is significant than current R&D investment.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company innovation index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firm's revenue. The firm size and the openness als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firm's revenue.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efficiency of ventur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R&D in manufacturing industry (정부R&D지원 여부에 따른 제조벤처기업의 경영효율성 비교 분석)

  • Kim, Guen-hee;Bark, Pyeng-m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8a
    • /
    • pp.84-100
    • /
    • 2017
  • 제1차 벤처붐을 겪은 이후 후기에 안정된 기업에 투자를 선호하는 벤처투자방식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업성장단계에서 초기에서 중기에 있는 기업의 경우 자금의 부족을 경험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정부 R&D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R&D자금 지원이 과연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기업에게 지원되고 있는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본 연구는 제조업에 속하는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DEA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조업에 속한 핵심 산업인 ICT제품과 같은 첨단제조와 기계, 자동차와 같은 일반제조에 속한 벤처기업의 효율성을 살펴보고, R&D지원을 받는 벤처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을 비교분석한다. 추가로 두 집단 간의 특성(혁신성, 성장성, 수익성, 안전성)이 1년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한다. 실증 분석결과, 제조업에 속한 R&D자금을 지원받는 벤처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원을 받은 벤처기업이 지속가능한 측면에서 비지원기업 보다는 경쟁력이 낮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1년간의 여러 특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혁신성에서는 지원기업이 높은 성과를 창출하였지만, 수익성에 있어서 비지원기업 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의 R&D지원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기업에게 지원되기 위해서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경영 효율성을 고려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operation of Quality Management (강원도 중소기업 품질경영 운영과 효과)

  • Park Roh-Gook;Lee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341-34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강원도 중소기업들이 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품질경영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을 실시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1세기 일류기업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 기업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품질경영 추진방안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수행에 있어서 지방 중소기업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인력부족 및 자금부족으로 인해 기업에서 중점적으로 관심을 갖고 추진하여야 하는 품질경영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세기 지방소재 중소기업이 일류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은 기업 내 인력을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주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으며, 기업과 관련된 교수외부전문가(연구원)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경영전략을 모색하고, 지속적으로 산$\cdot$$\cdot$관의 유기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조사 대상기업이 강원도에 위치한 제조기업 중에서 컨소시엄 참여기업이기 때문에 현황과 추진활동 차이에 따른 결과의 해석을 일반화하기에는 약간 무리가 있으며, 향후의 연구에서는 컨소시엄 참여기업 만이 아닌 강원도 소재 제조기업 중에서 표본을 추출하거나,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세밀한 분석이 실시되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지식재산(IP)스타기업 육성 정책과 지식재산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9년~2011년 스타기업을 중심으로

  • Jo, Yong-Hyeong;Park,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40-43
    • /
    • 2016
  • 본 연구는 특허청의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을 통하여 발굴 선정된 지역의 지식재산스타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2011년 지식재산스타 기업으로 선정된 16개 지역의 383개 기업에 대하여 정책을 지원한 전년도와 당해 년도의 지식재산활동 및 경영성과를 분석하여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의 필요성을 기업에 확산시키고, 더불어 지식재산 지원정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허청은 2006년부터 지역 중소기업의 견실한 성장을 위하여 지식재산권 중심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여 독점적 지위 확보와 새로운 시장 개척(First-mover)의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성장 잠재력과 기술력을 가진 지역의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3년간 지식재산컨설팅 및 특허 디자인 브랜드 등에 대한 맞춤형 종합지원을 제공하여 지역의 대표기업으로 성장시키는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 지원을 통한 기업의 지식재산활동 중 지식재산 출원건수와 지식재산 전담인력수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가설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업의 지식재산 전담인력이 많은 기업들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매출액 증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중소기업에서는 체계적인 지식재산경영을 위한 전담인력 확충 등 노력이 요구되며, 정부 및 관련기관에서는 지역의 대표적인 강소기업 육성을 위하여 기업의 지식재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지식재산 전담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식재산 전담인력 확충에 필요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 이후에는 지식재산스타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와 수출역량 등 연구표본의 다양화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경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지식재산 기반의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과제가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Korean Company Image on the Chinese Consumers' Evaluation of Korean products and Behavioral Responses -In terms of Beijing region and Samsung/Nongshim product- (한국기업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평가 및 행위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북경지역과 삼성/농심제품을 중심으로-)

  • Yoon, Seong-Hwa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1
    • /
    • pp.189-217
    • /
    • 2009
  • This study is to learn if and how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in regard of Chinese consumers influences the consumers' behavioral responses with their evaluation on Korean products. To be learned also is differential influences on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generated by two different factors of corporate image, which are corporate 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btained by actu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rporate 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urn out to be positively influential on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Second, the company-consumer identification as to the Korean companies displayed by Chinese consumers induces positive influences on Korean products, which in turn induces positive influences on Chinese consumers' behavioral respon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future the Korean companies already settled in China not only need to enhance corporate ability but also have to give effort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continuous and long-term relationship with Chinese consumers.

포장과 법률 -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5
    • /
    • pp.90-94
    • /
    • 2015
  • 중소기업청은 현행 소기업 범위 제도가 기업의 성장 여부를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어 기업이 인위적으로 성장을 꺼리는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실제로는 성장한 기업이 소기업에 잔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고 더불어 필요성이 감소한 관계기업 명단 인터넷 개시 규정을 삭제하기 위해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본 고에서는 주요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기업간 전자상거래 활성화의 결정요인

  • 장활식;송윤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115-134
    • /
    • 2001
  • 경영환경의 급속한 진전상황에서 기업이 계속적인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해서는 혁신의 관점에서 기업간 전자상거래 도입과 확산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전략경영이 필요하다. 기업간 전자상거래 활성화는 기업간 관계와 관련한 요인들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기업간 전자상거래에 참여하는 기업의 환경특성 요인, 조직특성 요인, 기술특성 요인들과 이들 요인이 기업간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촉진으로 또는 저해로 작용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특성 측면과 조직특성 측면 그리고 기술특성 측면에서 어떤 요인들이 기업간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다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인 모형을 통해 이들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