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토지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36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Zoning Data Maintenance Plan (국토이용정보체계 용도지역지구 데이터 정비방안)

  • Lee, Se-wo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1 no.2
    • /
    • pp.51-7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types and causes of errors in zoning data that occur in the topographic map notification procedure, and to prepare a data maintenance plan. In Korea, like the United States, law-based land use regulation is dominant.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land use regulation method in the Act, the government designates zoning for all lots in the country, and landowners check the land use regulations of their land through the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The land use plan confirmation document is important land information that affects the results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s such as land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or permission for development activities. However, there are data errors that occur during the current topographic map notification procedure and data construction process. Therefore, four local governments that can verify data by type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local government conditions. A number of errors are first, errors in data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n the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and second, errors in lack of expertise that occur while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maintain data. Third, it was analyzed as an error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al cadastral map and the zoning DB.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LIP and the reform of the legal system, which is currently underwa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3rd the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Plan」.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order to Predict Soil Moisture Using Satellite Image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토양수분 예측을 위한 토지피복 분류)

  • Yu, Myung-Su;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2-322
    • /
    • 2011
  • 지표에서의 토양수분은 작은 구성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수문 현상을 연계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토양수분은 침투나 침루를 통하여 강우와 지하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증발산을 통하여 에너지 순환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인자로 기후변화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난 수십 년간 산림개간과 도시화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초래하여 토지피복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도시화는 불투수층을 증가시켰고, 산림개간으로 산림이 농장으로 변하여 침투율을 감소시켜 유출률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토지피복의 변화는 토양수분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분류를 위해 구름의 영향이 적은 Landsat TM 영상을 사용하여 청미천 유역의 토지피복을 분류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청미천 유역은 현재 국제수문관측사업(IHP)의 일환으로 체계적인 수문관측이 진행되고 있는 지점으로, 추후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산정한 토양수분 자료를 비교할 수 있는 유역이다. Landsat TM 영상은 2009년 5월 23일에 관측된 115-34(path row) 영상으로 구름이 거의 없는 날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다중 스펙트럴 위성영상인 Landsat TM 영상은 30m 공간해상도로써 토지피복분류와 식생 등의 정보를 추출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천 유역의 위성영상에 대하여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무감독분류와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하였다. 분류한 토지피복도는 국토해양부에서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WAMIS) 을 통하여 제공되는 토지피복도와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a Parcel Presentation Technique of Cadastral Map for Enhancing Utilization of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국가공간정보인프라 활용향상을 위한 지적도 일필지 표현기법 모형 연구)

  • Jang, Yong-Gu;Kim, Jong-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4
    • /
    • pp.3-10
    • /
    • 2008
  • Cadastral map is a public book that has been composed by continuous parcel having location, number, classification, boundary and an area based on Cadastral Law. A few years ago, cadastral map had been managed by form drawn on 2 dimension plane paper with 7 regular scales. Recently as computer systems are upgrading, cadastral map was able to have a chance to develope one step. Its type has been remade from raster to vector. In result, the cadastral map of vector type becomes to apply variously. Therefore, digital cadastral map has been ready a system to be use with multi-propose by KLIS(Korean Land Information System). In this research, it concretely want presentation of status using land more than original parcel on basic coordination cadastral map and KLIS(Korean Land Information System). The cadastral map is composed as parcel unit was applied by new presentation technique to "Model Research on One Parcel Presentation Technique for Land Status of Cadastral Map". The function of cadastral map on One Parcel Presentation Technique which is not only location relation of possession right and expression of states using land in 28 classifications demonstrated on the cadastral law but also used as foundation data of GIS construct business is developed by lines and classification of parcel to center around public sites of roads, rails, drains and rivers. especially,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echnique elevation and development of One Parcel Projection Technique of cadastral map in using object of roads among public sites.

  • PDF

Comparison of Simulated Runoff According to Spatial Resolution of Landuse (토지이용도의 공간해상도에 따른 모의 유출량 비교)

  • Lee, Kil-Seong;Sung, Jin-Young;Park, Kyung-Shin;Kim, Sang-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02-100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물리학적인 모형에서 사용되고 있는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공간적인 해상도의 차이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현재 수문모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토지이용도는 국가 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WAMIS)에서 제공하고 있는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한 토지이용자료이다. 이 토지이용 자료는 공간적으로 30 m ${\times}$ 30 m의 해상도를 갖고 있어 소유역에 대해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토지이용 자료와의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MIS에서 제공하고 있는 2000년도 토지이용도와 개별적으로 제작한 정밀한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학의천 유역의 유출량을 비교해 보았다. 정밀한 토지이용도는 2000년에 작성된 수치지도와 1 m ${\times}$ 1 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Ikonos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유출량 모의는 토지이용도를 반영할 수 있는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HSPF 모형을 통하여 모의한 유출량에 있어서는 토지이용의 해상도의 따른 차이는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A Case Study on the Emission Impact of Land Use Changes using Activity-BAsed Traveler Analyzer (ABATA) System (활동기반 통행자분석시스템(ABATA)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차량 배기가스 배출영향 사례 분석)

  • Eom, Jin Ki;Lee, Kwang-Sub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3 no.1
    • /
    • pp.21-36
    • /
    • 2023
  • Activity-based modeling systems have increasingly been develop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widely used traditional four-step transportation demand forecasting models. Accordingly, this paper introduces the Activity-BAsed Traveler Analyzer (ABATA) system. This system consists of multiple components, including an hourly total population estimator, activity profile constructor, hourly activity population estimator, spatial activity population estimator, and origin/destination estimator. To demonstrate the proposed system, the emission impact of land use changes in the 5-1 block Sejong smart city is evaluated as a case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and use with the scenario of work facility dispersed plan produced more emissions than the scenario of work facility centralized plan due to the longer travel distance. The proposed ABATA system is expected to provide a valuable tool for simulating the impacts of future changes in population, activity schedules, and land use on activity populations and travel demands.

A Study on Auto-extract of Land Character of Public Land Price by GIS (GIS를 이용한 공시지가 토지특성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 박수홍;홍성언;김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6-492
    • /
    • 2003
  • 개별공시지가는 현재 자동화 산정 프로그램인 ALPA(Automatic Land Price Appraisal System)에 의해 지가를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화 시스템은 지가를 자동적으로 산출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가의 계산만이 가능하고, 토지특성의 자동 추출에 관한 기능의 부재와 비교 표준지에 대한 취사 선택기능이 없는 등 정확도나 효율성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현재 개별공시지가를 조사ㆍ산정하는데 1년에 약 400억 소요되어 엄청난 국가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실무자들의 현장 조사와 수작업에 의한 토지특성 조사ㆍ기재로 인하여 개별공시지가 검증과정에서 발견되는 오류 필지의 상당 부분이 토지특성조사 착오로 나타나고 있어 토지특성 조사의 객관성과 정확성이 결여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정확한 토지 특성조사와 효율적으로 공시지가를 자동 산정하기 위해서는 토지특성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특성 조사 중 객관성과 정확도 측면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필지의 형상특성과 항(방위)특성에 대해 GIS 소프트웨어인 ArcGIS와 Window기반의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토지특성을 자동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자동 추출된 토지특성을 현행 토지특성과 비교ㆍ분석을 통하여 정확도와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tecting Land Use Changes in an Urban Area using LANDSAT TM and JERS-1 OPS Imagery (LANDSAT TM과 JERS-1 OPS 영상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검출)

  • Lee, Jin-Duk;Yeon, Sang-Ho;Ryu, Jae-Yup;Kim, Sung-Gi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 no.1
    • /
    • pp.73-83
    • /
    • 1999
  • The land use/cover information, which is periodically obtained from satellite imagery,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hange detection in rapidly changing urban areas. Also it can be used not only as base maps for spatial database in urban information system but as decision-making data for desired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direction.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both unsupervised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on land use from Landsat TM and JERS-1 OPS data, which were collected respectively in 1991 and 1997, covering Kumi City and then detected land use changes.

  • PDF

A Study of Runoff change by landuse transition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Park, Ki-Bum;Park, Eun-Young;Park, Du-Soon;Lee,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0-304
    • /
    • 2011
  • 홍수유출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강우량과 토지이용, 유역의 경사, 유로연장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유출시스템에 영향이 큰 요소중에 하나로서 토지이용상태가 있다. 토지이용은 불변하지 않는 값이며 매년 토지이용상태가 변화하고 있다. 특히 개발의 진행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는 현대에서 홍수유출을 산정하는데 있어 최신의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실무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지이용도는 대부분 10년이상 전의 자료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과 인공위성 자료, 항공사진등의 정보를 구하는 수월해짐에 따라 최신의 지형 및 토지이용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이용상태를 파악하고 유출계수를 산정하여 유출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Errors Verification for Constructing Database of Land Use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토지적성평가시스템 DB구축을 위한 오류검증)

  • Yoo Hwan Hee;Kim Weon Seok;Park Ki Youn;Kim Seong 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2
    • /
    • pp.177-187
    • /
    • 2005
  • The Land Use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was recently introduced by the Act on Planning and Utiliz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to use, manage, and develop the national territory, which integrated the National Land Use and Management Act and the Urban Planning Act. It provides a guideline for land use according to locational characteristics, usability, and developmental conditions of land in the vicinity. The database is constructed with LMIS cadastral data, posted land price data, and the data of related agencies such as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etc. In this paper we describe accurat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fur land use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as classifying and verifying errors deriving from database construction focused on Jinju city. Those data errors have the problems such as accuracy difference among the related agencies data, gap of data acquisition time, and non-consideration of latest updated data etc.

Database Design for an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n Object-oriented Approach (객체지향접근방식을 기반으로 한 도시지리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관한 연구)

  • Ock, Han-Suk;Kim, Gap-Youl;Kim, Chang-Hwan;Kim,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 no.2
    • /
    • pp.56-66
    • /
    • 1998
  • The primary goal of the database design is to organize a large amount of data effectively in users and systems view point. Effective design of a database is very important for processing applications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discuss database design for an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at effectively maintains the cadastral and planimetric information. We first collect and analyze the requirements for the target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n perform database design for these requirements. Our database design is based on the object-oriented approach that has rich expressive power and good reus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relational approach. Especially, we employ the OMT, one of the most widely-used object-oriented models. We expect that our result would be helpful in building large databases for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practic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