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중년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중년의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집단간불안의 매개효과 (Middle-aged Korean's Ageism Affecting Factors Mediated by Intergroup Anxiety)

  • 신학진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359-376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중년의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노화지식수준과 노인접촉의 질을 확인하고, 영향요인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간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검증을 위해 전주시에서 20개 동을 무작위로 선정했고, 선정된 행정구역별로 35세에서 50세 사이의 중년남녀 20명씩 전체 400명을 표본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응답 중에서 결측치, 이상치, 정규분포, 다중공선성의 조건을 만족한 393사례가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확인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의 노화지식수준은 노인에 대한 집단간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노인차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노화지식수준은 집단간불안을 매개로 노인차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년의 노인접촉의 질은 노인에 대한 집단간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노인차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중년의 노인접촉의 질은 집단간불안을 매개로 노인 차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중년의 노인과의 집단간불안은 노인차별에 높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는 노인차별을 중재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으로 노화에 대한 교육과 노인과의 긍정적 접촉 기회의 제공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 접촉을 통한 중년의 노년집단에 대한 불안의 해소가 노인차별을 경감하는 방향임을 제시하고 있다.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Climacteric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Women)

  • 이정화;김경혜;김경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439-444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 인지기능, 삶의 질의 정도를 규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파악하여,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2014년 3월 2일부터 3월 10일까지, A시와 Y시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중년여성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은 14.64/46점, 인지기능은 65.66/240점, 삶의 질 정도는 100.64/188점으로 나타났다. 갱년기 증상과 인지기능은 순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갱년기 증상과 삶의 질과는 역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경로분석을 한 결과 갱년기 증상이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중재와 동시에 중년여성을 위한 인지기능 증진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년여성의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 김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86-395
    • /
    • 2014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성기능, 성 의사소통 및 성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성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12년 10월부터 2013년 1월에 걸쳐 국내 4개 도시에 거주하는 40세~60세의 중년여성 12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성기능, 성 의사소통 및 교육 수준이 중년 여성의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성기능 정도와 성 의사소통 정도가 높은 경우와 높은 교육 수준을 가진 경우에 성만족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73%가 성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년 여성이 발달적, 상황적 변화에 더불어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성건강을 위협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년 여성의 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의 인식이 부족함과 더불어 사회적 차원의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의료인은 여성 성기능 장애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과 적극적인 해결방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 관련 문제 해결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Marital Middle-aged Women)

  • 이희연;전혜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75-284
    • /
    • 2011
  •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1개의 원격대학에서 2009년 3월에서 6월까지 중년기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총 182부이며 SPSS 1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및 ANOVA 분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기대(p<.001), 사회적 지지(p<.05)가 중년기여성의 우울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기대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았다. 한면, 마음챙김 변인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실천적인 개입방법에 대한 제언과 가족내 중년기 여성들의 정신건강 증진이 가족전체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제언하였다.

중년여성의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traumatic, Self-Esteem, and Hope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Female)

  • 강혜승;이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18-525
    • /
    • 2017
  •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118명 중년여성 이였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과 타인에 관하여 희망적일수록, 자가건강상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외상 후 성장을 극복했을수록 삶의 질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순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이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변수들을 고려하여 노년기의 전 단계인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길어진 삶 속에서의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중년기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U시에 거주하는 중년기여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aged Women - Focused on Middle-aged Women living in U city -)

  • 김동현;이재모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01-306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기간은 2018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U지역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 중 300명을 대상으로 유의 표집하였다. 설문지는 직접 방문하여 배포하고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사용가능한 250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최종 250부를 SPSS 18.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54.4%(135명)가 50세 이하의 연령층으로 학력은 2년제 대학교 졸업이상 51.6%(129명), 종교는 62.8%(157명)로 대부분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중년기 여성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과의 상관관계에서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중년기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최종모형(F=27.00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중년기 여성의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하는데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 건강관련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소득의 조절효과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among Menopausal Middle-aged Women in Korea: Mediating Effect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 박수경;이선우;박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10-122
    • /
    • 2017
  • 본 연구는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과의 관계와 이 두변수간의 관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소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년여성들의 정신건강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년) 자료 중 만 40세에서 60세까지 중년여성 1,182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은 자살행동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은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득은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과는 평균소득 이하의 저소득집단에서 나타났다.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갱년기 중년여성의 자살예방 정책마련 필요,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개입의 필요 및 저소득층의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 영향 요인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d Study on th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Early and Late Middle-aged Men)

  • 김향수;김송순;박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33-145
    • /
    • 2018
  • 본 논문은 생물학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상이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7년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인 일차연구 자료와 추가 수집한 자료 총 170부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우울, 가족유대감, 규칙적 운동, 노후 생활에 대한 불안, 월 수입 순으로 설명력 77.8%이며 후기 중년 남성은 사회적 지지, 주관적 건강상태, 직업 안정성, 직업 스트레스, 흡연, 근속연수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력은 64.7%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후기 시기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적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적 환경 조성, 사회적 지지 체계의 강화 및 확충과 정책 수립 등 다학제적, 융합적 접근을 통해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중년 성인에서 우울 중증도 관련요인의 성별 차이 :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dults: An Analysis of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영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549-559
    • /
    • 2018
  • 본 논문은 중년 성인의 우울 유병 현황과 성별에 따른 우울 증증도 관련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중년 성인(40~64세) 2,24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우울 증상은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으로 측정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우울을 3단계로 구분하여 우울 중증도의 관련요인을 다변량 순위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도 이상 우울($PHQ-9{\geq}10$)은 5.2% (남성 3.3%, 여성 7.0%)로 확인되었다. 중년 남성에서 우울 중증도의 관련요인은 낮은 연령, 동 지역 거주, 무직, 저체중, 고위험 음주이었고, 중년 여성은 배우자 없음, 낮은 수입, 신체적 활동제한, 적은 수면시간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우울 위험의 성별 차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중년 성인의 성별 특성에 기반한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우울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중년 골프 참여자의 자기관리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Management,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for Middle Aged Golf Participant)

  • 최석환;설수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60-468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대전, 대구, 강원, 광주지역에 소재한 실외 골프연습장 이용객 237명을 대상으로 중년 골프 참여자의 자기관리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을 설정한 뒤 구조방적식모형(SEM)을 통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 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골프 참여자들의 자기관리는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 골프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 골프 참여자의 자기관리는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 골프 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 효능감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 골프 참여자들의 자기관리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다각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