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의 강수량

Search Result 1,96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real Rainfall Analysis using Grid Method (격자법을 이용한 면적강우 분석)

  • Lee Yong-il
    • KCID journal
    • /
    • v.1 no.2
    • /
    • pp.36-47
    • /
    • 1994
  •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의 4개 지역에 대해 면적우량을 분석하였다. 강수량이 제일 큰 지점에서 시작하여 이 지점 주위로 직사각형의 블럭을 확장하여 만들었다. 이 직사각형 블럭의 강수량을 구한 후 최대 지점 강수량에 대한 비를 구하였다. 이 강수량 비(Relative storm magnitudes)를 플롯트하여 기존의 커브와 비교하였으며, 각 지역에 대해 여름과 겨울의 강수량비를 각각 구하였다. 또한 등우량선도를 이용한 분석도 시도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 구

  • PDF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the radar-AWS accumulated rainfall calculation system (레이더-AWS 누적강수량 산출 시스템 구축 및 평가)

  • Ko, Hye-Young;Nam, Kyung-Yeub;Chang, Ki-Ho;Choi, Young-Je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94-94
    • /
    • 2011
  • 최근에 산악지역에서의 국지성 강우에 의한 사고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2009년에는 북한의 무단 댐방류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함에 따라서 산악이나 북한 지역과 같은 지역의 모니터링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강수량의 기후학적 분포의 특성과 같은 장기적인 강수량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레이더는 넓은 영역에 대해서 시 공간적으로 고해상도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국지 규모의 단시간 강수량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국립기상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는 기존의 층운형 Z-R 관계식(Z=$200R^{1.6}$, Marshall-Palmer, 1948)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강도 산출에서 과소추정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레이더-AWS 강우강도(Radar-AWS Rain rate; RAR) 산출 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재 운영하고 있다. RAR 산출 알고리즘은 각 레이더에 대해서 레이더 강우강도와 지상 AWS 우량계 자료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Z-R 관계식을 산출하여, 레이더 반사도를 강우강도로 변환하고, 이를 합성하여 한반도 영역에 대해서 강우강도 정보를 제공한다. 2010년에는 RAR 자료와 지상 AWS 우량계 자료를 이용하여 레이더-AWS 누적강수량을 산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현재 시험운영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AWS 누적강수량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2009년에 대해 레이더-AWS 누적강수량 자료와 지상 AWS 누적강수량 자료에 대해 RMSE, Bias 등의 통계값을 산출하였으며, 북한 지역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레이더 관측 반경 내의 북한 지역의 GTS 지점 자료를 이용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지상 관측 공백지역의 강수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이러한 지역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고, 기후학적인 강수량 정보 제공 및 향후 유역별 레이더 면적강수지도 시험판 개발을 통하여 수문 기상 분야에 적용하여 효과적인 물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rror analysis of areal mean precipitation estimation using ground gauge precipitation and interpolation method (지점 강수량과 내삽기법을 이용한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의 오차 분석)

  • Hwang, Seokhwan;Kang, Narae;Yoon, Jung 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2
    • /
    • pp.1053-1064
    • /
    • 2022
  • The Thiessen method, which is the current area average precipitation method, has serious structural limitations in accurately calculating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watershed. In addition to the observation accuracy of the precipitation meter, errors may occur in the area average precipitation calculation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recipitation meter and the direction of the heavy rain. When the watershed is small and the station density is sparse, in both simulation and observation history, the Thiessen method showed a peculiar tendency that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watershed continues to increase and decrease rapidly for 1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peak. And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Thiessen basin was different from the rainfall radar at the peak time. In the case where the watershed is small but the station density is relatively high, overall, the Thiessen method did not show a trend of sawtooth-shaped over-peak, and the time-dependent fluctuations were similar. However, there was a continuous time lag of about 10 minutes between the rainfall radar observations and the ground precipitation meter observations and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basi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round correction effect of the rainfall radar watershed average precipit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 average precipitation after correction is rather low compared to the area average precipitation before correction, indicating that the correction effect of the current rainfall radar ground correction algorithm is not high.

Analysis of Daily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Using a Higher Order Markov Chain-dependent Model (고차의 마코브 연쇄-의존 모델을 이용한 남한 강수량 자료의 분석)

  • 박정수;정영근;김래선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2
    • /
    • pp.347-362
    • /
    • 1999
  • 강수 형태 및 강수량을 동시에 고려하는 1차의 마코브 연쇄-의존 모델을 고차의 모델로 확장하였다. 남한의 53개 지역의 강수량 자료에 대해 계절별로 마코브 연쇄의 차수를 결정하였고, 고차의 마코브 연쇄-의존 모델을 적용하여 강수량의 분포특성을 살펴 보았다.

  • PDF

A study on determining threshold level of precipitation for drought management in the dam basin (댐 유역 가뭄 관리를 위한 강수량 임계수준 결정에 관한 연구)

  • Lee, Kyoung Do;Son, Kyung Hwan;Lee, Byong J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4
    • /
    • pp.293-301
    • /
    • 2020
  • This study determined appropriate threshold level (cumulative period and percentage) of precipitation for drought management in dam basin. The 5 dam basins were selected, the daily dam storage level and daily precipitation data were collected. MAP (Mean Areal Precipitation was calculated by using Thiessen polygon method, and MAP were converted to accumulated values for 6 cumulative periods (30-, 60-, 90-, 180-, 270-, and 360-da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atio of variation coefficient between storage level and MAP for 6 cumulative perio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umulative period. Correlation of cumulative precipitation below 90-day was low, and that of 270-day was high. Correlation was high when the past precipitation during the flood period was included within the cumulative period. The ratio of variation coefficient was higher for the shorter cumulative period and lower for the longer in all dam, and that of 270-day precipitation was closed to 1.0 in every month.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analysis with TLWSA (Threshold Line of Water Supply Adjustm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percentage of precipitation shortages. It i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270-day cumulative precipitation on Boryung dam and other 4-dam were less than 90% and 80% as threshold level respectively, when the storage was below the attention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age and percentage of dam outflow and precipitation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impact of artificial dam operations on drought analysis, and the magnitude of dam outflow caused uncertainty in the analysis between precipitation and storage data. It is concluded that threshold level should be considered for dam drought analysis using based on precipitation.

Assessment of Depth-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Seoul (기후변화에 따른 서울지역의 강우-지속기간-빈도 관계 평가)

  • Shin, Ju-Young;Joo, Kyoung-Won;Kim, Soo-Young;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70-374
    • /
    •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수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확률강수량을 알아야 한다. Global Circulation Model(GCM)은 미래의 기후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많은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GCM의 시간축척은 일반적으로 월단위로 시간단위 자료를 사용하는 수공학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GCM 예측값은 실강우값과 큰 편의(bias)를 가지고 있어 직접적인 적용이 힘들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다운스케일(downscale)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다운스케일기법을 적용하여 시간자료를 예측하면 전반적인 통계값을 잘 재현해내나, 극치값의 경우 잘 재현해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 월강수량과 연최대 시간강수량의 이변량빈도해석을 통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지속기간-빈도 관계의 변화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최대 월강수량과 연최대 시간강수량과의 관계가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관측강수량을 이용하여 연최대 월강수량과 연최대 시간강수량의 이변량분포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변량 분포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copula 모형을 적용하였다. 구축된 모형에 GCM으로 예측된 연최대 월강수량을 적용하여 미래의 확률강수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점을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A2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적용한 GCM 예측값을 이용하였다. 적용결과 A2 기후변화 시나리오 상에서 미래의 확률강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areal rainfall in Jeju region according to the spatial interpolation scheme (강수의 공간보간 기법에 따른 제주 면적강수량 비교)

  • Um, Myung-Jin;Lee, Jeong-Eun;J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31-931
    • /
    • 2012
  • 제주지역의 강수자료는 최근에 이르러 69개 지점으로 증가하여 비교적 밀도있는 강수관측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자료 증설 내역과 이설 등으로 인해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자료를 기반으로 면적강수량을 산정할 경우 다소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2년부터 2010년까지의 강수자료를 바탕으로 관측소 개수를 기반으로 기간을 구분하여 각 기간별로 공간보간기법별로 면적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사용한 공간보간기법은 PRISM(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기법과 티센(Thiessen)법으로 19년간의 일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각각 면적강수량을 산정했다. PRISM기법을 이용한 경우는 고도, 관측점으로부터의 거리, 방향성 분석 및 해안가중치를 고려하여 계산하였고, 티센법의 경우는 기간별로 상이한 티센망을 구축하여 산정하였다. 지점 관측강수량에서 고도가 증가할수록 강수량이 증가하는 제주형 산악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보간기법에 의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도에 따른 상관성은 PRISM기법에 의한 결과에서 더 높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법별 산정된 면적강수량은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며 PRISM기법에 의한 값이 티센법에 비해 약 1%정도 크게 계산되었다.

  • PDF

Method of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recharge and the variation of 10-year minimum precipitation (강수량-함양량 관계와 10년 최소강수량 변화를 고려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기법)

  • Chung, Il-Moon;Lee, Jeongwoo;Lee, Jeong Eun;Kim, Min 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6
    • /
    • pp.421-427
    • /
    • 2019
  • The amount of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in Korea has been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10-year frequency low precipitation by the recharge rate. In practice,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frequency analysis of precipitation is omitted, and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verage recharge rate by the minimum precipitation in the recent 10 years is used as the recharge amount. Therefore, the contradiction arises that the amount of precipitation to be appli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iod selection rather than the actual low precipitation by the 10-year frequency analysi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for estimating the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using the recharge amount considering the moving averaged 10-year minimum precipitation and the size of precipitation. This method was applied to the Uiwang, Gwacheon and Seongnam areas and the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f the 10-year minimum precipitation is selected in the period including the extreme drought, the problem of underestimating the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can be overcome by using the moving average minimum precipitation.

Evaluation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using Climatic Indices in Korea (기상인자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확률강수량 평가)

  • Oh, Tae-Suk;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9
    • /
    • pp.681-690
    • /
    • 2009
  • In this research, design precipitation wa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climatic indices and its uncertainty assessment was evaluated. Climatic indices used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moisture index which observed glob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the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and the climatic indices. and then climatic indices which have the larger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selected. Therefore, the regression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y a locally weighted polynomial regression. Next, climatic indices were generated by montecarlo simulation using kernel function. Finally, the design rainfall was calculated by the locally weighted polynomial regression using generated climatic indices. At the result, the comparison of design rainfall between the reflection of the climatic indices and the frequency analysis did not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alculation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to reflect climate change.

Performance tests and uncertainty analysis of precipitation types (강수량계 종류별 성능시험 및 불확도 분석)

  • Hong, Sungtaek;Park, Byungdon;Kim, Jonglib;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7
    • /
    • pp.935-942
    • /
    • 2018
  • Precipitation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dams and rivers, supply of dranking water for urban and industrial complex, farming and fishing, forest greening, and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prepare for disasters and to obtain economical effects in case of flood damage, it is necessary to measure accurate precipitation.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characteristics tests for various types of rainfall gauge using integrated verification system, which can analyze the performance of collective type rainfall gauge. The uncertainty for tipping bucket rain gauge was 0.0041 mm, where weight type and surface tension type was 0.0045 mm and 0.0039 mm respectively. Therefore, the uncertainty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cipitation system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uncertainty is also influenced greatly by the re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