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형태소

Search Result 51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utomatic Construction of Syntactic Relation in U-WIN (U-WIN의 구문관계 자동구축 방법)

  • Im, Jihui;Kim, Dongmyoung;Choe, Hoseop;Yoon, Hwa-Mook;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84-90
    • /
    • 2007
  • 일반적인 어휘망이 의미 관계에 의한 연결 구조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된 것과는 달리, U-WIN은 의미관계를 비롯하여 개념 관계, 형태 관계, 구문 관계 등과 같이 의미 관계의 범위를 확장한 어휘 관계를 적용하여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WIN의 어휘 관계 중의 하나인 구문관계를 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용언의 용례에서 문형정보를 기준으로 구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후보명사를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후보명사는 용언의 세분화된 의미별로 정확하고 다양하게 추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U-WIN은 다의어의 뜻풀이 하나하나를 개별적인 어휘로 구분하여 구축하였으므로, 어휘 간의 구문관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후보명사의 여러 의미 중에서 하나의 의미로 결정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용례 매칭 규칙, 구문패턴, 의미 유사도 등을 차례로 적용하여 후보명사의 의미를 분별하였으며, 또한 구문패턴의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용례에 나타나지 않지만 구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명사를 추출하여 구문관계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명사 중심의 어휘망이 용언과의 구문관계 구축을 통해 형태소 분석, 구문 분석, 의미 분석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어휘망의 기반을 다지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Wordnet Extension for IT terminology Using Web Search (웹 검색을 활용한 워드넷에서의 IT 전문 용어 확장)

  • Park, Kyeong-Kook;Lee, Kwang-Mo;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189-193
    • /
    • 2007
  • In this paper, we designed a methodology to expand the WordNet. We added unknown terms like IT technical terms to the existing WordNet by using web search. The WordNet is an online taxonomy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rms, but it usually showed limitation to contain new technical terminologies. That's why we tried to expand the WordNet. Firstly, when we met unregistered terms in WordNet, we built a query of those terms for web search. Given a web search results, we tried to find out terms with a high-level relatedness with the unregistered terms. We used the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to score the relatedness between terms and located the unregistered term as a hyponym of terms with high score of relatedness.

  • PDF

Word Sense Disambiguation Based on Local Syntactic Relations and Sense Co-occurrence Information (국소 구문 관계 및 의미 공기 정보에 기반한 명사 의미 모호성 해소)

  • Kim, Young-Kil;Hong, Mun-Pyo;Kim, Chang-Hyun;Seo, Young-Ae;Yang, Seong-Il;Ryu, Chul;Huang, Yin-Xia;Choi, Sung-Kwon;Park, Sang-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2.10e
    • /
    • pp.184-18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주변에 위치하는 어휘들간의 문맥 공기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과는 달리 국소 구문 관계 및 의미 공기 정보에 기반한 명사 의미 모호성 해소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의 WSD 방법은 구조 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문장의 구문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주변 어휘들과의 공기 관계로 그 의미를 파악하려 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동사구의 논항 의미 관계뿐만 아니라 명사구내에서의 의미 관계도 고려한 국소 구문관계를 고려한 명사 의미 모호성 해소 방법을 제안한다. 이 때, 명사들의 의미는 자동번역 시스템의 목적에 맞게 공기(co-occurrence)하는 동사들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리고 한중 자동 번역 지식으로 사용되는 명사 의미 코드가 부착된 74,880 의미 격틀의 의미 공기정보를 이용하였으며 형태소 태깅된 말뭉치로부터 의미모호성이 발생하지 않게 의미 공기정보 및 명사구 의미 공기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 의미 모호성이 발생하는 명사들에 대해서 83.9%의 의미 모호성 해소 정확률을 보였다.

  • PDF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a Sentiment Dictionary Using a Web Corpus Collected from Game Domain (게임 도메인 웹 코퍼스를 이용한 감성사전 구축 및 평가)

  • Jeong, Woo-Young;Bae, Byung-Chull;Cho, Sung Hyun;Kang, Shin-Ji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8 no.5
    • /
    • pp.113-122
    • /
    • 2018
  • This paper describes an approach to building and evaluating a sentiment dictionary using a Web corpus in the game domain. To build a sentiment dictionary, we collected vocabulary based on game-related web documents from a domestic portal site, using the Twitter Korean Processor. From the collected vocabulary, we selected the words whose POS are tagged as either verbs or adjectives, and assigned sentiment score for each selected word. To evaluate the constructed sentiment dictionary, we calculated F1 score with precision and recall, using Korean-SWN that is based on English Senti-word Net(SWN).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average F1 scores are 0.85 for adjectives and 0.77 for verbs,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the syllable frequency on transposed letter effect of Korean word recognition (한글 단어 재인 시 음절 빈도가 글자 교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Lee, Seonkyoung;Lee, Yoonhyoung;Lee, Chang H.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2 no.3
    • /
    • pp.99-115
    • /
    • 2021
  • Unlike most other alphabetic languages, letter transposition effect was not found in Korean except in the syllable level and in the morpheme leve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le reason of the absence of letter transposition effect in Korean. Based on previous letter transposition studi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whether syllable frequency is a moderating variable and is responsible for the absence of the letter transposition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letter transposition effect was found when a transposed non-word has high frequency syllable(e.g., 민주화 → 진무화), while such effect was not seen in a transposed non-word with low frequency syll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tter transposition effect can found in Korean as well. The results also implicate the possibility that syllable frequency is the main moderating variable regarding the Korean letter transposition effect.

Semantic analysis via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using Naver movie review data (네이버 영화 리뷰 데이터를 이용한 의미 분석(semantic analysis))

  • Kim, Sojin;Song, Jongwo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5 no.1
    • /
    • pp.19-33
    • /
    • 2022
  •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social media, its abundant text-based data generated by web users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for data analysis. For example, we often witness online movie reviews from the 'Naver Movie' affecting the general public to decide whether they should watch the movie or not. This study has conducted analysis on the Naver Movie's text-based review data to predict the actual ratings. After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movie ratings, we performed semantics analysis using Korea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is research sought to find the best review rating prediction model by compar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odels. We also compared various regression and classification models in 2-class and multi-class cases. Lastly we explained the causes of review misclassification related to movie review data characteristics.

과학영재 선발과정의 분석 및 개선안 제안 -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선발과정 중심으로 -

  • Gang, Hyeon-A;Jo, Gyu-Seong;Kim, Ja-H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239-248
    • /
    • 2005
  • 이 논문은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정을 중심으로 과학영재아 판별과정을 분석해보고,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점검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과학, 수학과 관련된 창의적 문제의 지필평가 성적이 선발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다. 지필평가 단계에서 지망분야에 관계없이 과학, 수학 및 창의력검사를 모두 치러야 하는 교육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점수 활용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점검하였다. A 교육원의 경우 학생 선발은 다단계 평가를 원칙으로 하고 있었으며, 1단계 지필평가에서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라는 세 과목 시험의 합산점수로서 선발하고 있었다. 이 교육원의 ○○년도 중등과정 응시자 276명을 대상으로 합격자와 불합격자의 지필평가 점수를 분석하여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의 시행에 오류가 없었는지 점검하였다. 또 이들의 합산에 의한 선발이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의 상관도분석에서 과학은 수학 및 창의력검사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수학과 창의력검사는 독립적으로 분석되었다. 또 이들의 합산에 지원분야별 배점으로 계산한 선발은 본래의 취지, 즉 과학, 수학, 창의력에서 모두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의도대로 진행되었으나, 판별분석 결과 합격과 불합격자 판별에서 88.1%의 정확도를 보여 다소 오류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해당년도에 출제된 문제의 난이도 및 시험 과목별 평균점수 차를 고려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파악되어져 원점수 대신 표준점수로 변환하여 오류를 보완할 것을 제안한다. 자체와 직접 관련되는 영역으로는 좌반구의 측두엽과 전두엽 부분이 관찰되었다. 특히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시 나타나는 형태점화 양상과 관련된 대뇌영역으로 발견된 브로카 영역에서의 활성화는 어미 변환과 관련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산출시 관련되는 articulation, motor coordinate관련 영역으로 추정되고, 측두엽의 활성화는 형태소, 의미 관련 지식의 data base로 추정된다. 또한 우반구 전두엽 부분에서 관찰된 활성화는 억제관련 영역으로 짐작된다.러한 동물실험이 그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성향 및 기억의 종류에 따른 약물효과의 차이는 기억과 관련된 질병인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 개개인에게 맞는 적절한 특징적인 치료약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 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

  • PDF

On Doublets (쌍형어에 대하여)

  • Yi, Eun-Gyeong
    • Cross-Cultural Studies
    • /
    • v.50
    • /
    • pp.425-451
    • /
    • 2018
  •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issues of the discussions on the subject of doublets. In general, as a definition, the use of doublets refer to a pair of words which have a common etymon, but also to a pair of words or grammatical morphemes that have the same meaning and similar forms of the word. In this paper, we have seen that a typical pairing word is a pair of words with a common etymology. Generally speaking, it is possible to divide doublets into subtypes depending on the identified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the meaning or form. The most distant type from the typical type of doublets is a pair of words that do not have a common etymon, but have the same meaning and are similar in form. The second issue about doublets is whether doublets include only words. For example, if some josas (postpositions or particles) have a common etymon, then it is noted that they can be accepted as a kind of doublets. In the case of suffixes, it may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suffixes as doublets if they have a common etymon. In other words, it is not necessary to recognize the suffixes as doublets because the derivatives which are derived by the suffixes can be accepted as doublets. In the case of endings, it may be possible to recognize a pair of endings which have the same meaning and the common etymon as a doublet. Otherwise, the word forms to which the endings are combined can be accepted likewise as doublet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ndings typically in use in the Korean language may have syntactic properties, the endings should be considered as doublets rather than the words which have the endings. Finally, we conclude that there may be some debate as to whether stem doublets or ending doublets belong to a lexical item in the lexicon.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plural underlying forms and may be deserving of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