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데이터 세트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Korean Instruction Tuning Dataset (언어 번역 모델을 통한 한국어 지시 학습 데이터 세트 구축)

  • Yeongseo Lim;HyeonChang Chu;San Kim;Jin Yea Jang;Minyoung Jung;Saim Sh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591-595
    • /
    • 2023
  • 최근 지시 학습을 통해 미세 조정한 자연어 처리 모델들이 큰 성능 향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로 학습된 자연어 처리 모델에 대해 지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데이터 세트는 공개되어 있지 않아 관련 연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5 기반 한국어 자연어 처리 모델인 Long KE-T5로 영어 데이터 세트를 번역하여 한국어 지시 학습 데이터 세트를 구축한다. 또한 구축한 데이터 세트로 한국어로 사전 학습된 Long KE-T5 모델을 미세 조정한 후 성능을 확인한다.

  • PDF

A New Dataset for Korean Toxic Comment Detection (비윤리적 한국어 발언 검출을 위한 새 데이터 세트)

  • Park, Jin Won;Na, Young-Yun;Park, Kyub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606-609
    • /
    • 2021
  • 최근 한국에서도 이루다의 윤리 이슈를 기점으로 딥러닝 모델의 윤리적 언어학습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 데이터에 비해 한국어 데이터는 Korean Hate Speech Detection Dataset 이 유일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데이터 세트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세부 라벨이 제한적이라는 문제를 개선한 새로운 데이터 세트를 제안하고, 해당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다양한 신경망 분류 모델을 적용한 벤치마크 결과를 공개한다.

KE-T5-Based Text Emotion Classification in Korean Conversations (KE-T5 기반 한국어 대화 문장 감정 분류)

  • Lim, Yeongbeom;Kim, San;Jang, Jin Yea;Shin, Saim;Jung, Min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96-497
    • /
    • 2021
  • 감정 분류는 사람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구분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로, 지난 수십 년간 감정 분석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감정 분류의 품질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단일 레이블링 대신 다중 레이블링된 데이터 세트를 감정 분석에 활용하는 연구가 제안되었고, 본 논문에서는 T5 모델을 한국어와 영어 코퍼스로 학습한 KE-T5 모델을 기반으로 한국어 발화 데이터를 단일 레이블링한 경우와 다중 레이블링한 경우의 감정 분류 성능을 비교한 결과 다중 레이블 데이터 세트가 단일 레이블 데이터 세트보다 23.3% 더 높은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했다.

  • PDF

Corpus Construction of National Assembly Minutes Summarization for Korean Abstractive Meeting Minutes Summarization (한국어 회의록 생성 요약을 위한 국회 회의록 요약 말뭉치 구축 연구)

  • Younggyun Hahm;Yejee Kang;Seoyoon Park;Yongbin Jeong;Hyunbin Seo;Yiseul Lee;Hyejin Seo;Saetbyol Seo;Hansam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92-197
    • /
    • 2022
  • 요약 연구의 주류는 아직 문서를 대상으로 하지만, 최근에는 회의 요약 연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 국어 빅데이터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아직 연구되지 않은 국회 회의록 생성 요약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회 회의록에 대한 생성 요약 데이터세트를 구축하였다. 또한 생성 요약 모델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세트에 대한 정량 및 정성적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국회 회의록 요약 데이터세트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생성 요약과 회의록 요약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였다.

  • PDF

Controlled Korean Style Transfer using BERT (BERT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의 스타일 변화)

  • Lee, Joosung;Oh, Yeontaek;Byun, hyunjin;Min, Kyungk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95-399
    • /
    • 2019
  • 생성 모델은 최근 단순히 기존 데이터를 증강 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속성을 가지도록 스타일을 변화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타일 변화 연구에서 필요한 병렬 데이터 세트는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비병렬 데이터를 이용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이미지 분야에서 대표적으로 cycleGAN[1]이 있으며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논문들이 사용하는 데이터도메인은 긍정 문장과 부정 문장 사이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영화리뷰 데이터 세트인 NSMC[2]를 이용한 감성 변화를 하는 문장생성에 대한 연구로 자연어 처리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BERT[8]를 생성모델에 이용하였다.

  • PDF

Proposed Methodology for Building Korean Machine Translation Data sets Considering Phonetic Features (단어의 음성학적 특징을 이용한 한국어 기계 번역 데이터 세트 구축 방안)

  • Zhang Qinghao;Yang Hongjian;Serin Kim;Hyuk-Chul K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92-595
    • /
    • 2022
  • 한국어에서 한자어와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일상어의 경우 한자어와 외래어의 비중이 약 53%, 전문어의 경우 약 92%에 달한다. 한자어나 외래어는 중국이나 다른 나라로부터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쓰이는 단어들이다.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한자어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과 원어 표기를 발음해보면, 발음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자어인 도서관(图书馆)을 중국어로 발음해보면 thu.ʂu.kwan'로 해당 단어에 대한 한국 사람의 발음과 상당히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Source Length, Source IPA Length, Target Length, Target IPA Length, IPA Distance 등 총 5가지의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한 한국어-중국어 한국어-영어 단어 기계번역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고자 한다.

  • PDF

OK-KGD:Open-domain Korean Knowledge Grounded Dialogue Dataset (OK-KGD:오픈 도메인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 구축)

  • Seona Moon;San Kim;Jinyea Jang;Minyoung Jeung;Saim Sh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342-345
    • /
    • 2023
  • 최근 자연어처리 연구 중 오픈 도메인 지식 기반 대화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연구를 위해서는 오픈 도메인 환경을 갖추고 적절한 지식을 사용한 대화 데이터셋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오픈 도메인 환경을 갖춘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은 존재하지 않아 한국어가 아닌 데이터셋을 한국어로 기계번역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를 사용할 경우 두 가지 단점이 존재한다. 먼저 사용된 지식이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한국인이 쉽게 알 수 없는 대화 내용이 담겨있다. 그리고 번역체가 남아있어 대화가 자연스럽지 않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자연스러운 대화체와 대화 내용을 담기 위해 새로운 오픈 도메인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오픈 도메인 환경 구축을 위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의 지식을 사용하였고 사용자와 시스템의 발화로 이루어진 1,773개의 대화 세트를 구축하였다. 시스템 발화는 크게 지식을 사용한 발화, 사용자 질문에 대한 답을 주지 못한 발화, 그리고 지식이 포함되지 않은 발화 3가지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셋을 통해 KE-T5와 Long-KE-T5를 사용하여 간단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 PDF

On the Present Construction Status of Speech Databases at KAIST Communications Research Laboratory (KAIST 통신연구실의 음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 최인정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272-275
    • /
    • 1995
  • 한국과학기술원 통신연구실에서 진행중인 한국어 음성 데이터베이스의 개발 현황에 관하여 기술한다. 음성데이타베이스의 구축을 위하여 사용된 절차와 환경, 및 데이터베이스의 음성학적, 언어학적 성질들이 상세히 기술된다. 데이터베이스는 damtjddlstlr 알고리듬의 개발 및 평가를 위하여 사용되도록 고안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5종류의 음성 데이터, 즉 3천단어 규모의 무역관련 연속음성, 가변길이 연결 숫자음, phonembalanced 75 고립단어, 지역명 관련 500 고립단어, 한국어 아-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 PDF

Performance of Korean spontaneous speech recognizers based on an extended phone set derived from acoustic data (음향 데이터로부터 얻은 확장된 음소 단위를 이용한 한국어 자유발화 음성인식기의 성능)

  • Bang, Jeong-Uk;Kim, Sang-Hun;Kwon, Oh-Wook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1 no.3
    • /
    • pp.39-47
    • /
    • 2019
  •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ontaneous speech recognizers by extending their phone set using speech data. In the proposed method, we first extract variable-length phoneme-level segments from broadcast speech signals, and convert them to fixed-length latent vectors using an long short-term memory (LSTM) classifier. We then cluster acoustically similar latent vectors and build a new phone set by choosing the number of clusters with the lowest Davies-Bouldin index. We also update the lexicon of the speech recognizer by choosing the pronunciation sequence of each word with the highest conditional probability. In order to analyz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new phone set, we visualize its spectral patterns and segment duration. Through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using a larger training data set than our own previous work, we confirm that the new phone set yield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phoneme-based and grapheme-based units in both spontaneous speech recognition and read speech recognition.

A Automated Method for Training Keyword Spotter based on Speech Synthesis (키워드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합성 기반 자동 학습 기법)

  • Lim, Jaebong;Lee, Jongsoo;Cho, Yonghun;Baek, Y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494-496
    • /
    • 2021
  • 최근 경량 딥러닝 기반 키워드 음성인식은 가전, 완구, 키오스크 등 다양한 응용에 음성 인터페이스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키워드 음성인식은 일부 키워드만 인식 가능한 음성인식 기술로서 저성능 디바이스에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응용에 따라 필요한 키워드에 대하여 다시 음성데이터를 수집해야하고 이를 학습하여 모델을 새로 준비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성데이터 수집 없이 음성합성을 통해 생성한 음성으로만 키워드 음성인식 모델을 학습하는 음성합성 기반 자동 학습 기법을 제안하였다. 생성한 음성데이터를 활용하고자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집한 실제 음성데이터가 필요한 한계가 있다. 제안한 자동 학습 기법은 생성한 음성데이터에 대해 복합 데이터 증대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음성데이터 없이 키워드 음성인식의 정확도를 높였다. 제안한 기법에 대하여 상용 음성합성 서비스를 기반으로 수집한 한국어 키워드 데이터세트를 활용하여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20개 한국어 키워드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제안한 기법을 적용하여 학습시킨 키워드 음성인식 모델의 정확도는 86.44%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