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뉴스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Korean Fake News Detection with User Graph (사용자 그래프 기반 한국어 가짜뉴스 판별 방법)

  • Kang, MyungHoon;Seo, Jaehyung;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97-102
    • /
    • 2021
  • 최근 급격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가짜뉴스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어 가짜뉴스 문제를 딥러닝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연구들은 본문 기반의 가짜뉴스 탐지를 진행하였으며 최근에는 기사 본문 외의 보조적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과 개선된 방식들 모두 적절한 가짜뉴스 탐지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여 모델이 산출한 가짜뉴스 표현 벡터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었다. 또한 한국어 가짜뉴스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적절한 공개 데이터셋 또한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어 가짜뉴스 탐지 문제에서 독자 반응정보를 추가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사용자 그래프 기반 한국어 가짜뉴스 판별 방법'과 해당 모델이 적절히 학습할 수 있는 간이 데이터셋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ranslation Pre-processing Technique for Improving Analysis Performance of Korean News (한국어 뉴스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번역 전처리 기법)

  • Lee, Ji-Min;Jeong, Da-Woon;Gu, Yeong-Hyeon;Yoo,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19-623
    • /
    • 2020
  • 한국어는 교착어로 1개 이상의 형태소가 단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텍스트 분석 시 형태소를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자연어를 처리하는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영미권에서 만들어졌고 영어는 굴절어로 특정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하나의 형태소가 단어를 구성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영문은 주로 띄어쓰기 위주로 토큰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텍스트 분석이 한국어에 비해 복잡함이 떨어지는 편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한국어 텍스트 분석은 영문 텍스트 분석에 비해 한계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어 텍스트 분석의 성능 향상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번역 전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번역 전처리 기법이란 원본인 한국어 텍스트를 영문으로 번역하고 전처리를 거친 뒤 분석된 결과를 재번역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뉴스 기사 데이터와 번역 전처리 기법이 적용된 영문 뉴스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했다. 그리고 주제어 역할을 하는 키워드를 단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인 Word2Vec(Word to Vector)을 통해 유사 단어를 추출했다. 이렇게 도출된 유사 단어를 텍스트 분석 전문가 대상으로 성능 비교 투표를 진행했을 때, 한국어 뉴스보다 번역 전처리 기법이 적용된 영문 뉴스가 약 3배의 득표 차이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했다.

  • PDF

COVID-19 Korean Fake News Detection using Named Entity and User Reproliferation Information (개체명 및 사용자 재확산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COVID-19 가짜 뉴스 검출)

  • Park, Chaewon;Kang, Jiwon;Lee, Daeun;Lee, Munyoung;Han, Jin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85-90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면서 감염증 정보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코로나 관련 루머가 온라인상에서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이러한 코로나 관련 가짜 뉴스를 사전에 탐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코로나 가짜 뉴스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개체명과 사용자 재확산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가짜 뉴스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가짜 뉴스 팩트체킹 언론인 서울대팩트체크센터에서 코로나 관련 루머 및 가짜 뉴스에 대한 검증 기사를 수집한 후, 기사로부터 개체명 추출 모델을 통해 주제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해 유튜브 상의 사용자 재확산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셋을 구성하였다. BERT 기반의 제안 모델을 다양한 비교군과 비교하였고, 특성 조합에 따른 실험을 통해 각 특성 정보(기사 텍스트, 개체명 데이터, 유튜브 데이터)가 가짜 뉴스 탐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PDF

KcBERT: Korean comments BERT (KcBERT: 한국어 댓글로 학습한 BERT)

  • Lee, Junbu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37-440
    • /
    • 2020
  • 최근 자연어 처리에서는 사전 학습과 전이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과제에 높은 성능 향상을 성취하고 있다. 사전 학습의 대표적 모델로 구글의 BERT가 있으며, 구글에서 제공한 다국어 모델을 포함해 한국의 여러 연구기관과 기업에서 한국어 데이터셋으로 학습한 BERT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BERT 모델들은 사전 학습에 사용한 말뭉치의 특성에 따라 이후 전이 학습에서의 성능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 나타나는 구어체와 신조어, 특수문자, 이모지 등 일반 사용자들의 문장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한국어 뉴스 댓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한 KcBERT를 소개한다. 본 모델은 최소한의 데이터 정제 이후 BERT WordPiece 토크나이저를 학습하고, BERT Base 모델과 BERT Large 모델을 모두 학습하였다. 또한, 학습된 모델을 HuggingFace Model Hub에 공개하였다. KcBERT를 기반으로 전이 학습을 통해 한국어 데이터셋에 적용한 성능을 비교한 결과, 한국어 영화 리뷰 코퍼스(NSMC)에서 최고 성능의 스코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여타 데이터셋에서는 기존 한국어 BERT 모델과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Korean Fake news Detection Model Using Word Embedding (워드 임베딩을 활용한 한국어 가짜뉴스 탐지 모델에 관한 연구)

  • Shim, Jae-Seung;Lee, Jaejun;Jeong, Ii Tae;Ahn, Hyu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99-20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가짜뉴스 탐지 모델에 워드 임베딩 기법을 접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한국어 가짜뉴스 탐지 연구는 희소 표현인 빈도-역문서 빈도(TF-IDF)를 활용한 탐지 모델들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는 가짜뉴스 탐지의 관점에서 뉴스의 언어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는데, 특히 문맥에서 드러나는 언어적 특성을 구조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밀집 표현 기반의 워드 임베딩 기법인 Word2vec을 활용한 텍스트 전처리를 통해 문맥 정보까지 반영한 가짜뉴스 탐지 모델을 본 연구의 제안 모델로 생성한 후 TF-IDF 기반의 가짜뉴스 탐지 모델을 비교 모델로 생성하여 두 모델 간의 비교를 통한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Word2vec 기반의 제안모형이 더욱 우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An Empirical Study of Topic Classification for Korean Newspaper Headlines (한국어 뉴스 헤드라인의 토픽 분류에 대한 실증적 연구)

  • Park, Jeiyoon;Kim, Mingyu;Oh, Yerim;Lee, Sangwon;Min, Jiung;Oh, Youngd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87-292
    • /
    • 2021
  • 좋은 자연어 이해 시스템은 인간과 같이 텍스트에서 단순히 단어나 문장의 형태를 인식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 글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뉴스 헤드라인으로 뉴스의 토픽을 분류하는 open benchmark인 KLUE(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Evaluation)에 대하여 기존에 비교 실험이 진행되지 않은 시중에 공개된 다양한 한국어 라지스케일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하고 결과에 대한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KoBERT, KoBART, KoELECTRA, 그리고 KcELECTRA 총 네가지 베이스라인 모델들을 주어진 뉴스 헤드라인을 일곱가지 클래스로 분류하는 KLUE-TC benchmark에 대해 실험한 결과 KoBERT가 86.7 accuracy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Objectivity in Korean News Reporting : Machine Learning-Based Verification of News Headline Accuracy (기계학습 기반 국내 뉴스 헤드라인의 정확성 검증 연구)

  • Baik, Jisoo;Lee, Seung Eon;Han, Jiyoung;Cha, Mee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81-286
    • /
    • 2021
  • 뉴스 헤드라인에 제3자의 발언을 직접 인용해 전언하는 이른바 '따옴표 저널리즘'이 언론 보도의 객관주의 원칙을 해치는지는 언론학 및 뉴스 구독자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이 연구는 온라인 포털사이트를 통해 실시간 유통되는 한국어 기사의 정확성을 판별하기 위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Edit Distance와 FastText 기법을 활용해 기사 제목과 본문 내 인용구의 유사성을 측정하고, XGBoost 모델을 활용해 최종 분류한다. 아울러 이 모델을 통해 229만 건의 뉴스 헤드라인에 대해 직접 인용구가 포함된 기사가 취재원의 발언을 주관적인 윤색없이 독자들에게 전하고 있는지를 판별했다. 이뿐만 아니라 딥러닝 기반의 KoELECTRA 모델을 활용해 기사의 제목 내 인용구에 대한 감성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윤색이 가미되지 않은 직접 인용형 기사의 비율이 지난 20년 동안 10% 이상 증가했으며, 기사 제목의 인용구에 나타나는 감정은 부정 감성이 긍정 감성의 2.8배 정도로 우세했다.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 계산사회과학 방법론과 빅데이터에 기반한 언론 보도의 평가 및 개선에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 PDF

COVID-19-related Korean Fake News Detection Using Occurrence Frequencies of Parts of Speech (품사별 출현 빈도를 활용한 코로나19 관련 한국어 가짜뉴스 탐지)

  • Jihyeok Kim;Hyunchul Ah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2
    • /
    • pp.267-283
    • /
    • 2023
  • The COVID-19 pandemic, which began in December 2019 and continues to this day, has left the public needing information to help them cope with the pandemic. However, COVID-19-related fake news on social media seriously threatens the public's health. In particular, if fake news related to COVID-19 is massively spread with similar content, the time required for verific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genuine or fake will be prolonged, posing a severe threat to our society. In response, academics have been actively researching intelligent models that can quickly detect COVID-19-related fake news. Still, the data used in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are in English, and studies on Korean fake news detection are scarce. In this study, we collect data on COVID-19-related fake news written in Korean that is spread on social media and propose an intelligent fake news detection model using it. The proposed model utilizes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parts of speech, one of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fake news detection model based on Doc2Vec, a document embedding technique mainly used in prior studie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sed model can more accurately identify Korean COVID-19-related fake news by increasing the recall and F1 score compared to the comparison model.

Automatic Recognition of Korean Broadcast News Using Flexible Vocabulary Recognition Models (가변 어휘 인식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방송 뉴스 음성의 인식)

  • 유하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70-7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방송 뉴스 인식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한다. 인식 실험 과정에서는 실제로 방송된 음성을 인식하였으나, 인식을 위한 음향 모델은 본 연구소에서 갭라한 고립단어 인식용 가변 어휘 인식모델을 이용하였다. 가변 어휘 인식기는 방송 음성의 연속 문장을 이용하지 않고, 음향학적으로 고르게 분포된 고립 단어를 이용하여 학습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특성상 문장이 영어권과 같이 단어 단위가 아닌 어절로 나누어 지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전 표제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또한 탐색과정의 초기단계에 장거리 언어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Korean Q&A Chatbot for COVID-19 News Domains Using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기계 독해를 이용한 COVID-19 뉴스 도메인의 한국어 질의응답 챗봇)

  • Lee, Taemin;Park, Kinam;Park, Jeongbae;Jeong, Younghee;Chae, Jeongmin;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40-542
    • /
    • 2020
  • 코로나 19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 확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한국어 뉴스 데이터 기반의 질의응답 챗봇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BM25 기반의 문서 검색기, 사전 언어 모형인 KoBERT 기반의 문서 독해기, 정답 생성기의 세 가지 모듈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뉴스, 위키, 통계 정보를 수집하여 웹 기반의 챗봇 인터페이스로 질의응답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구현 결과는 http://demo.tmkor.com:36200/mrcv2 페이지에서 접근 및 사용을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