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Search Result 5,28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Korean Phoneme Sequence based Word Embedding (한국어 음소열 기반 워드 임베딩 기술)

  • Chung, Euisok;Jeon, Hwa Jeon;Lee, Sung Joo;Park, Jeon-Gue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225-227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어 서브워드 기반 워드 임베딩 기술을 다룬다. 미등록어 문제를 가진 기존 워드 임베딩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워드 임베딩 기술을 한국어에 적용하기 위해, 음소열 기반 서브워드 자질 검증을 진행한다. 기존 서브워드 자질은 문자 n-gram을 사용한다. 한국어의 경우 특정 단음절 발음은 단어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서 음소열 n-gram은 특정 서브워드 자질의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서브워드 임베딩 기술을 재구현하여, 영어 환경에서 기존 워드 임베딩 사례와 비교하여 성능 우위를 확보한다. 또한, 한국어 음소열 자질을 활용한 실험 결과에서 의미적으로 보다 유사한 어휘를 벡터 공간상에 근접시키는 결과를 보여 준다.

  • PDF

Automatic Question Generation for Korean Word Learning System (한국어 어휘학습시스템을 위한 자동 문제 생성)

  • Choe, Su-Il;Im, Ji-Hui;Choe, Ho-Seop;Ock,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6.06a
    • /
    • pp.9-14
    • /
    • 2006
  • 본고는 한국어 교육방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한국어 어휘를 대상으로 한문제 출제 방식에서 문제 은행식 출제 방식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한국어 어휘 학습 시스템을 위한 자동문제 생성 기술을 제시한다. 먼저 기존 한국어 어휘 문제의 문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8가지 어휘력 평가 유형 및 각 유형별 자동 문제 생성 패턴을 구축하고, 한국어 어휘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국어사전을 기반으로 한 자동 한국어 어휘 문제 생성 기술을 제시한다.

  • PDF

Constructing a Korean Language Resource and Developing a Temporal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for Korean Documents (한국어 시간정보추출 연구를 위한 언어자원 및 시스템 구축)

  • Lim, Chae-Gyun;Oh, KyoJoong;Choi, Ho-J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636-63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영어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한국어 언어자원을 지속적으로 구축함으로써 한국어 문서로 구성된 시간정보 주석 말뭉치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시간정보추출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말뭉치 구축 과정에서의 시간정보 주석 작업은 가이드라인을 숙지한 주석자들이 수작업으로 기록하고, 어떤 주석 결과에 대해 의견이 다른 경우에는 중재자가 주석자들과 함께 검토하며 합의점을 도출한다. 시간정보추출 시스템은 자연어 문장에 대한 형태소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시간표현(TIMEX3), 시간관계와 연관된 사건(EVENT), 시간표현 및 사건들 간의 시간관계(TLINK)를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추출된 한국어 시간정보는 문서 내 공통된 개체에 대한 공간정보와 결합함으로써 시공간정보가 모두 반영된 SPOTL을 생성한다. 추후 실험을 통하여 제안시스템의 구체적인 시간정보추출 성능을 파악할 것이다.

  • PDF

Frame-semantics and Argument Disambiguation of Korean FrameNet using Bi-directional LSTM (중첩 분할된 양방향 LSTM 기반의 한국어 프레임넷의 프레임 분류 및 논항의 의미역 분류)

  • Hahm, Younggyun;Shin, Giyeo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52-35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프레임넷 분석기를 구축하기 위하여 한국어 프레임넷 데이터를 가공하여 공개하고, 한국어 프레임 분류 및 논항의 의미역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프레임넷은 단어 단위가 아닌 단어들의 범위로 구성된 범위에 대해 어노테이션된 코퍼스라는 점에 착안하여, 어휘 및 논항의 내부 의미 정보와 외부 의미 정보, 그리고 프레임과 각 의미역들의 임베딩을 학습한 중첩 분할된 양방향 LSTM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프레임 분류에서 72.48%, 논항의 의미역 분류에서 84.08%의 성능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프레임넷 데이터의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 PDF

English-Production Structures of Korean-English Bilinguals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의 영어 산출 구조 분석)

  • Shin, Sung-Shik;Yum, Eun-Young;Chung, Cha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128-141
    • /
    • 1996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와 비이중언어자인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언어 처리의 독립성과 영어 처리의 사고 억제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서 두 개의 산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로 산출 과제를 준 후에 한국어, 영어 단어에 대한 어휘 판단 과제를 하였다. 이중언어자는 한국어-영어 처리 체계가 분리되어 있어서 산출 언어와 목표 단어의 언어가 바뀐 경우에 단어 판단시간이 더 길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비이중언어자는 영어 산출 후에 한국어, 영어 단어에 대한 판단 시간이 모두 느려졌으며 이것은 영어 산출에 많은 심적 자원을 소모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실험2에서는 영어로만 1분간 산출 과제를 주고 20초씩 나눈 세 구간에서 발화된 단어 수를 측정하였다. 이중언어자는 세 번째 구간에서 유의미하게 발화된 단어수가 감소하였지만 비이중언어자는 세 구간에서 발화된 단어수가 비슷하였다. 이것을 영어 산출시의 처리 부담과 관련하여 논하였다.

  • PDF

Prediction of Chinese Learners' Korean Pronunciation Variations based on Contrastive Analysis (대조 분석 기반의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변이 양상 예측)

  • Yang, Seung Hee;Chung, Minhw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206-210
    • /
    • 2014
  • 음성언어처리 기술의 발전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컴퓨터를 활용한 언어교육 (CALL) 기반의 한국어 학습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언어의 대조 분석은 양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학습자들이 무엇을 학습해야 하고, 학습자들이 보이는 오류가 어떤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컴퓨터 기반 한국어 학습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 선행연구의 대조분석과 실험 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어 학습자들이 보일 수 있는 분절음 발음 변이 양상을 예측한다.

  • PDF

English Segmental Sounds adapted into Korean and Phonological Theory (한국어에 차용된 영어 분절음과 음운 규칙)

  • Lee Hae-Bong;Gu Pon-Seok
    • MALSORI
    • /
    • no.40
    • /
    • pp.91-104
    • /
    • 2000
  • 생성음운론의 입장에서 본 Hyman 가설을 적용할 때 영어와 한국어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영어 분절음 $/p^h,{\;}t^h,{\;}k^ h/$는 한국어 화자에게서 그대로 인식되며, 영어에는 있지만 한국어에 없는 /f, v, $\theta$/는 관련 음운 규칙이 적용되어 한국어음과 유사하게 된 $[/p^h]$], [p], [s]로 각각 인식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Hyman 가설의 적용은 /f, v, $\theta$/가 왜 한국어에서 존재하지 않고 관련 음운규칙이 적용된 형태로 나타나는 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최적성 이론에서는 입력형에서 모든 분절음을 받아들이고 언어간 제약등급의 차이로 /f, v, $\theta$/와 같은 분절음이 한국어에서 나타나지 않고 [p, t, k]로 나타난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최적성 이론은 영어 분절음이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The difference i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Noun Eojeol in the mental lexicon based on its etymology (한국어 명사어절의 어원에 따른 심성어휘집 표상 양식의 차이)

  • Yoon, Ji Min;Nam, Ki 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258-261
    • /
    • 2009
  • 한국어에서 어절은 띄어쓰기 단위이며 한국어의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사에 조사가 결합된 명사어절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 밝히고자 이 과정에 관여하는 빈도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명사의 빈도와 어절의 빈도를 조작하여 어절의 의미를 판단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자극을 제시한 방법에 차별을 둔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에서 모두 어절빈도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명사빈도의 주효과는 실험 2에서만 관찰되었고, 상호작용효과는 실험1과 실험2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의 어원에 따른 즉 다시 말해, 한국어 명사를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로 분류하여 어원에 따른 심성어휘집 표상 양식의 차이를 구별하여 보고 이를 토대로 더욱 세부적인 한국어 명사어절의 처리 과정을 규명하여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 Part of Speech for Korea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한국어 처리를 위한 품사 체계 연구)

  • Ahn, Mi-Jung;Kim, Jae-Han;Okcy,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581-592
    • /
    • 1993
  • 지금까지의 한국어 자연언어 처리에 기반이 되는 사전 품사 체계에 대한 연구는 형태소 분석, 구문 구조 분석, 그리고 의미 분석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한국어 자연언어 처리 각 분야는 자체의 고유한 독립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특성은 사전 품사 체계의 다양화를 초래하였으며, 연계성있는 자연언어 처리를 위한 통합 환경 조성을 저해시켜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자연언어 처리 전반에 걸친 통합 환경 조성을 위한 범용적인 사전 품사체계의 필요성에 따라 한국어 자연언어 분석의 각 분야에 적합한 사전 품사체계에 대하여 살펴 본 후, 한국어 자연 언어 처리 전반에 사용될 범용적이고 통합적인 기본 사전 품사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based-on Bilingual Rela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관용적 표현의 대응 관계에 기반한 영어-한국어 기계 번역)

  • Yoon, Sung-Hee;Kim, Yung-Tae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571-580
    • /
    • 1993
  • 영어 문장을 한국어 문장으로 기계 번역하는 과정에는 분석 규칙이나 변환 규칙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표현의 대응 관계들이 많이 나타난다. 본 논문은 영어-한국어 기계 번역에서 질적으로 향상된 한국어 문장을 얻기 위하여 두 언어 표현들 사이의 관용적 대응 관계에 기반하는 번역 방식을 논한다. 두 언어 표현들 사이의 다양한 직접 대응 관계를 제공하는 번역 사전을 이용하며, 입력 영어 문장으로부터 이와 같은 표현들을 인식하고 한국어 표현으로 직접적으로 대응시키는 번역 방식이다. 이러한 번역 방식은 기존의 변환 규칙 기반의 번역 방식보다 자연스러운 한국어 문장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많은 구조적-의미적 모호성을 해결함으로써 시간적-공간적 처리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