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Search Result 5,28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Korean language model construc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을 통한 한국어 언어모델 구축 및 비교 실험)

  • Suhyune Son;Chanjun Park ;Jungseob Lee;Midan Shim;Sunghyun Lee;JinWoo Lee ;Aram So;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295-299
    • /
    • 2022
  • 자원이 부족한 언어 환경에서 사전학습 언어모델 학습을 위한 대용량의 코퍼스를 구축하는데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 방법론을 적용하여 비교적 자원이 부족한 한국어에서 해당 방법론의 효율성을 분석한다. 적은 양의 한국어 코퍼스인 400K와 4M만을 사용하여 다양한 한국어 사전학습 모델 (KLUE-BERT, KLUE-RoBERTa, Albert-kor)과 mBERT와 전반적인 성능 비교 및 분석 연구를 진행한다. 한국어의 대표적인 벤치마크 데이터셋인 KLUE 벤치마크를 사용하여 한국어 하위태스크에 대한 성능평가를 진행하며, 총 7가지의 태스크 중에서 5가지의 태스크에서 XPT-4M 모델이 기존 한국어 언어모델과의 비교에서 가장 우수한 혹은 두번째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이를 통해 XPT가 훨씬 더 많은 데이터로 훈련된 한국어 언어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일 뿐 아니라 학습과정이 매우 효율적임을 보인다.

  • PDF

Llama2 Cross-lingual Korean with instruction and translation datasets (지시문 및 번역 데이터셋을 활용한 Llama2 Cross-lingual 한국어 확장)

  • Gyu-sik Jang;;Seung-Hoon Na;Joon-Ho Lim;Tae-Hyeong Kim;Hwi-Jung Ryu;Du-Seong 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27-632
    • /
    • 2023
  • 대규모 언어 모델은 높은 연산 능력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탁월한 성능을 보이며 자연어처리 분야의 주목을 받고있다. 이러한 모델들은 다양한 언어와 도메인의 텍스트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지만, 전체 학습 데이터 중에서 한국어 데이터의 비중은 여전히 미미하다. 결과적으로 이는 대규모 언어 모델이 영어와 같은 주요 언어들에 비해 한국어에 대한 이해와 처리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대규모 언어 모델의 한국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Cross-lingual transfer learning 기법을 활용하여 모델이 다양한 언어에 대한 지식을 한국어로 전이시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모델은 기존의 다양한 언어에 대한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도 한국어에 대한 처리 능력을 상당히 향상시켰다. 실험 결과, 해당 기법을 적용한 모델은 기존 모델 대비 nsmc데이터에서 2배 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이며, 특히 복잡한 한국어 구조와 문맥 이해에서 큰 발전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 적용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Korean Language as a World Language (세계어로서의 한국어 정보처리)

  • Lee, Dong-H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377-384
    • /
    • 1992
  • 보편적으로 일반 문법의 질서에 부합될 수 있는 자연언어들이 상호 번역이라는 수단을 통해 언어 변환이 가능하다면 이들 언어는 세계어이다. 한국어도 그 하나에 속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세계어라고 하는 보다 넓은 관점에서 보아 가면서, 이에 따라 고려해야할 문제들을 검토함으로서 한국어 정보처리의 개념을 정립하고, 나아가 세계 속의 한국어 위치를 다듬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 PDF

Construction of A Semantic Hierarchy of Korean Nouns (한국어 명사 의미 계층 구조 구축)

  • Cho, Pyeong-Ok;Ok, Cheol-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129-135
    • /
    • 1997
  • 한국어 명사들을 의미별로 분류하여 계층화시킨 '한국어 명사 의미 계층 구조'는, 한국어 문장을 처리할 때 한국어의 의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정보들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어 사전의 명사에 대한 뜻풀이말을 이용하여 bottom-up 방식으로 '한국어 명사 의미 계층 구조'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축한 '한국어 명사 의미 계층 구조'는, tree가 43개, node가 12,833개, terminal node가 10,347 개이며, 깊이가 17인 하나의 forest이다. 이것의 제 1, 2 계층(level 1,2)에서의 분류 형태는 top-down 방식에 의한 기존의 분류들과 매우 다른 모습인 반면에, 제 3 계층 이하에서의 분류 형태는 의미소성(意味素性)에 의한 기존의 분류와 거의 일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 PDF

A Study of Korean Subdialogues and Discourse Markers (한국어 대화체의 부 대화 유형 및 담화표지에 관한 연구)

  • Lee, Hyon-Ho;Lim, Hye-Won;Kim, Young-Mi;Yang, Young-H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477-49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대화체에 사용되는 담화표지와 부 대화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대화체에 사용되는 각종 담화표지에 대한 기존의 언어학적 연구를 정리하였고, 실제 한국어 대화자료를 녹취, 전사하여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만들었으며,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한국어 대화체에서 관찰되는 부 대화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부 대화와 담화표지들간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것은 인간과 컴퓨터간의 특정 목적 대화를 구현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인간과 컴퓨터가 예약, 상담 등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인간이 실제로 사용하는 담화표지 및 의사소동 책략 등을 반영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담화분석 연구자들이 실제 대화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어 대화체의 기저에 흐르는 대화의 메카니즘을 다방면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그 결과를 토대로 전산학 연구자들이 한층 바람직한 한국어 대화인지 모형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uilding a Corpus for Korean Tutoring Chatbot (한국어 튜터링 챗봇을 위한 말뭉치 구축)

  • Kim, Hansaem;Choi, Kyung-Ho;Han, Ji-Yoon;Jung, Hae-Young;Kwak, Yong-Ji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288-293
    • /
    • 2017
  • 교수-학습 발화는 발화 턴 간에 규칙화된 인과관계가 강하고 자연 발화에서의 출현율이 낮다. 일반적으로 어휘부, 표현 제시부, 대화부로 구성되며 커리큘럼과 화제에 따라 구축된 언어자원이 필요하다. 기존의 말뭉치는 이러한 교수-학습 발화의 특징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용 튜터링 챗봇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도가 떨어진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 수집, 도구 기반의 수집, 주제별 수집 및 분류, 점진적 구축 절차의 원칙에 따라 교수-학습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는 준구어 말뭉치를 구축한다. 교실에서 발생하는 언어학습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대화 흐름을 제어하고 채팅용 메신저와 유사한 형태의 도구를 통해 말뭉치를 구축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 튜터링 챗봇을 개발하기 위해 말뭉치 구축용 챗봇과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교수자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발화문을 생성한 준구어 말뭉치를 최초로 구축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PDF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and phrase structure parsing using multi-task sequence-to-sequence learning (Multi-task sequence-to-sequence learning을 이용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구구조 구문 분석)

  • Hwang, Hyunsun;Lee, Changki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03-107
    • /
    • 2017
  •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구구조 구문 분석은 한국어 자연어처리에서 난이도가 높은 작업들로서 최근에는 해당 문제들을 출력열 생성 문제로 바꾸어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이용한 end-to-end 방식의 접근법들이 연구되었다.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구구조 구문 분석을 출력열 생성 문제로 바꿀 시 해당 출력 결과는 하나의 열로서 합쳐질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구구조 구문 분석을 동시에 처리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구구조 구문 분석을 동시에 처리할 시 형태소 분석이 구구조 구문 분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구구조 구문 분석 또한 형태소 분석에 영향을 주어 서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Mongolian's suffixes based on the object case markers of Korean (한국어 목적격조사의 몽골어 격 어미 결정)

  • Khulan, Setgelkhuu;Shin, Joon-Choul;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87-590
    • /
    • 2018
  • 한국어 목적격 조사를 몽골어 격 어미로 번역할 때 한국어 목적격 조사가 몽골어의 여러 격 어미로 번역이 될 수 있는데, 기존의 연구들은 한가지 격 어미로만 번역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동시에 품사 및 동형이의어 태깅 시스템인 유태거(UTagger)를 기반으로 한국어 목적격 조사의 몽골어 격 어미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어기초사전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유태거와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유태거의 정확률은 72%인데 반해 제안한 방법은 94%로 제안한 방법이 22%p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A hierarchical Korean Word-order Generation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영한기계번역에서 계층적 한국어 어순 생성)

  • 서진원;이신원;정성종;안동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303-30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영한기계번역 시스템에서 한국어 문장을 생성할 때 올바른 한국어 어순 규칙을 제안한다. 한국어 생성은 영한기계번역의 최종 단계로서 이전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가지고 목적 언어인 한국어 문장을 만드는 곳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계층적 어순 생성 규칙은 한국어 의존구조를 기본으로 하며 규칙 적용은 4가지 함수를 단계적으로 적용시킨다. 인터넷의 발들은 언어 장벽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부각시켰으며 이를 위해서 기계번역은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한국어 문장에 대하 올바른 어순 생성 규칙은 번역 결과의 품질을 증가시키며, 기계 번역뿐만 아니라 한국어 생성을 필요로 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the selection of similar English sentence based on example using the Korean parser (한국어 구문 분석기를 이용한 예문기반 유사 영문 선택에 관한 연구)

  • 권영훈;윤영호;한광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360-362
    • /
    • 2000
  • 본 연구는 예문을 이용하여 한국어 문장과 가장 유사한 영어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기존 연구보다 예문 지시의 정확도를 향상하고 기존의 문제점이었던 문장성분 선택의 불일치성을 제거하기 위해 한국어 구문 분석 시스템을 추가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한국어 구문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는 한문장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조화시킬 때 서술부가 문장의 의미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서술부를 헤더로 선택하고 단순히 조사 정보를 사용하여 각 문장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서술부 연결 관계를 기초로 프레임의 슬롯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 영문이 필요한 한국어 문장이 입력되면 입력 문장에 대한 형태소 분석과 한국어 구문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문장에서 서술부와 연결되는 주요 성분을 분리하여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과 이미 구축된 예문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가중치와 유사도를 계산함으로써 한국어 문장과 유사한 영어 문장의 예를 제시하여 영작에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