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서지

검색결과 1,856건 처리시간 0.031초

전자정보원의 서지기술에 관한 연구 - ISBD(ER)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Description of Electronic Resources Related with ISBD(ER))

  • 김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5
    • /
    • 2000
  • 인터넷을 통하여 텍스트나 음성, 화상자료 등 다양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전자정보원에 접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서지통정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 논문은 전자정보원의 체계적인 서지통정을 위한 규범이 되고 있는 국제표준서지기술법 ISBD(ER)을 중심으로 ISBD(CF)에서 ISBD(ER)로 변경된 배경과 함께 최근의 목록작성에 대한흐름을 개관하고, ISBD(ER)가운데 특징적인 서지요소와 기술규칙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AACR2R, OCLC 매뉴얼. CCM Module 31. 그리고 USMARC와 함께 검토함으로써 원격 전자정보원의 서지기술에 있어서 관련규칙들의 문제점과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차세대 서지 기술 형식으로서의 BIBFRAME 모형 연구 (BIBFRAME Model for the Next Generation Bibliographic Description Format)

  • 박지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년도 제2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웹 환경에 적합한 서지 기술을 위해 LC에서 개발한 BIBFRAME을 분석하고, BIBFRAME이 개방형 서지 데이터의 생성에 적합한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BIBFRAME의 등장 배경 및 특징을 FRBR 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BIBRAME은 1)서지 객체의 지적 내용과 물리 매체를 구분하고 있었는데, FRBR의 제1그룹보다 단순한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2) 인명전거와 주제전거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전거를 정의하고 있었으며, 서지데이터 작성자의 관점과 이용자의 관점을 함께 고려하였다. 3) 다양한 외부 데이터와의 연계 및 개별 도서관에 특화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주석 개념을 도입하였다. BIBFRAME은 MARC 레코드에서 변환하거나 직접적으로 서지데이터를 작성하는 방안이 모두 가능하며, 웹 환경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PDF

FRBR 모형에 기반한 서지정보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bliographic Interface Based on the FRBR Model)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7-339
    • /
    • 2006
  • 디지털 정보환경 속에서 동일한 내용이지만 형태와 표현 방식이 다른 저작들이 빈번하게 생성되어지자, IFLA는 다양한 매체, 응용 및 기능을 수용하고 이용자의 정보탐색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서지정보기술 권고안인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여러 기관에서 이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탐색, 식별, 선정, 획득하고 또 항해할 수 있게 하는 FRBR 모형 기반의 서지정보시스템을 실험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이러한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개발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서지정보 인터페이스 개발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새로운 탐색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선보이고 있는 FRBR모형 기반 서지정보시스템의 전체적 특징을 살펴본 후, 각 시스템이 제공하는 탐색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동북 아시아지역의 국가서지 현황

  • 구자영
    • 도서관문화
    • /
    • 제17권4호
    • /
    • pp.3-6
    • /
    • 1976
  • 본고는 오는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개최될 국제도서관협회연맹대회 전체회의A(동양출판물의 서지통제-국가 서지의 역할)에서 발표될 논문을 미리 게재하는 것임을 밝혀 준다.

  • PDF

KORMARC 서지레코드의 FRBR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RBR Algorithm for KORMARC Bibliographic Record)

  • 김정현;이성숙;이유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2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KORMARC 서지레코드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FRBR을 적용한 검색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OCLC와 LC를 비롯한 국내외 FRBR 구현 알고리즘 개발 사례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이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하였으며, 국립중앙도서관의 국가서지레코드에서 추출한 KORMARC 실험데이터를 분석하여 FRBR의 4가지 서지적 개체로 식별요소를 추출하였다. 저작세트별로 관련 저작을 군집화하기 '저자+표제'와 같은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을 작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한편 국가서지레코드를 분석한 결과, KORMARC 서지레코드를 대상으로 FRBR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서지레코드를 정비하고 레코드의 입력 수준을 전반적으로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계량서지학적(計量書誌學的) 연구(硏究)의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Theory and Practice of Bibliometric Studies)

  • 윤구호
    • 정보관리연구
    • /
    • 제20권1호
    • /
    • pp.1-29
    • /
    • 1989
  • 계량서지학(計量書誌學)과 그 응용분야(應用分野)는 매우 광범위하다. 본고(本稿)는 첫째로 계량서지학적(計量書誌學的)의 기원 및 정의를 간략히 살펴보고, 둘째로 계량서지학적(計量書誌學的) 연구(硏究)모델과 기본법칙(基本法則)을 분석해 보고, 셋째로 계량서지학적(計量書誌學的) 분석기법(分析技法)을 분석대상(分析對象)데이터별(別)로 고찰해 보고, 마지막으로 량서지학(計量書誌學)의 적용분야(適用分野)를 구명해 봄으로써 계량서지학적(計量書誌學的) 연구(硏究)를 촉진하고자 한다.

  • PDF

서지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입력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tandard Entry System for the Constructing Bibliographic Database)

  • 오상훈;구중억;최성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377-37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서지데이터베이스 품질향상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초로 하여 논문형태의 데이터베이스 특성을 파악한 후 표준입력 필드에 해당하는 기준을 정하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적용하는 입력시스템 모델을 구현하고자 한다. 데이터베이스 제작자들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정보사용자의 만족도를 충족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서지데이터 입력을 위한 표준화된 입력방법을 통해 기존의 편집기를 활용한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제작시 문제점들을 개선하였으며 사용자 만족도, 데이터 양, 품질향상을 웹을 통한 입력시스템으로 구현하여 서지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서지 유틸리티와 CIP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 OCLC와 미국국회도서관 CI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Utility and Its Use of CIP Data : With a Focus on the LC CIP Program and OCLC)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49-367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미국국회도서관의 CIP (Cataloging in Publicati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지 유틸리티를 통한 CIP 데이터 접근, 배포, 개선 및 활용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LC CIP 프로그램은 많은 출판사의 참여와 지속적 성장, CIP 서지정보의 품질에 대한 신뢰와 즉각적 접근을 위한 서지 유틸리티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출판 후 서지정보의 완전성과 정확성 개선을 위한 품질제어 노력 등의 특성을 갖는다. LC와 OCLC와 같은 서지 유틸리티 사이의 협력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출판시 도서목록' 프로그램의 제한점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의 대표 서지기관으로서 출판예정 단행본에 제한된 CIP 데이터 뿐 아니라 모든 유형의 국내간행 신구간 자료에 대한 정확하고 완전한 서지 및 전거 레코드에 대한 국내 도서관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 PDF

패턴인식기법들 이용한 편목전문가시스템 설계 (A Study on Design of Cataloging Expert System)

  • 김현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4년도 제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표제면과 판권지의 서지요소의 레이아웃 특성과 구문적 특성을 이용하여 서지요소의 종류를 패턴인식 지식베이스와 전거화일들을 이용하여 자동 인지하고 인지된 서지요소를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과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 기술규칙에 기초하여 KORMARC 형태로 출력해 주는 편목전문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미국에서의 한국학관계 문헌의 서지적 통정에 관한 연구 (A bibliographic essay on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 Ro, Jin-Young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21-148
    • /
    • 1987
  • 종래에는 중국이나 일본에 관한 연구에 종속되어 부가적인 것으로 취급되어 오던 한국학이 한국의 선진 공업국화와 경제적인 국제 지위의 향상에 힘입 어 한국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 본고를 통해 서방국 가 중에서는 한국 연구에 가장 앞서 있다고 할 수 있는 미국에서의 한국학 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학에 종사하는 학자.전문인들의 단체에는 어떤 것이 존재하며, 또한 이들 전문인들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경로로서의 1차 학술잡지, 단행본, 총서, 박사학위 논문 등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학을 연구하는 학자.전문인들의 연구의 결실이라고 할수 있는 1차 자료들이 정보의 재생산과 효과적인 정보 활용을 위해 서지적인 통정이 조 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고찰하기 위하여 현존하는 연구안내서, 서지, 그리고 한국관계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미국의 저명한 도서관과 그 도서관 에서 발행하고 있거나 이미 발행한 장소목록 등을 구체적으로 상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미국에서의 한국학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역사등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회화, 조각, 무용, 민속 그리고 종교와 같은 인문과학 분야에서의 한국학은 매우 미미한 것임을 알수 있었 다. 둘째로, 미국의 한국학 관계자료의 서지적 통정면에서는 현행서지와 초 록 서비스는 거의 부재의 상태임이 드러났다. 따라서 한국학 관계자료의 신 속한 접근을 위한 현행서지나 색인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 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