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산 담수어류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한국산 담수 어류에 기생하는 Chilodonella hexaticha에 관하여 (Chilodonella hexasticha(Protozoa, Ciliata) from Korean freshwater fish)

  • 지보영;김기홍;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3-118
    • /
    • 1996
  • 한국산 담수어류에 기생하는 섬모충류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수온 $22^{\circ}C$에서 붕어(Carassius carassius)로 부터 Chilodonella 속 기생성 섬모충을 검출하여 동정 분류하였다. 감염어의 체표, 지느러미 및 아가미에 무수히 많은 섬모충이 관찰되었으며 감염 부위에 과도한 점액이 분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빈사 상태의 병어에서는 궤양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감염된 붕어로 부터 검출된 Chilodonella 충은 그 모양이 타원형으로 후면의 가장자리에 notch(V자형 새김)가 없고 배복(背腹) 방향으로 편평하였다. 충체의 길이는 30-$45{\mu}m$이며 폭은 15-$30{\mu}m$인 것으로 계측되었으며 가장자리의 섬모열은 왼쪽과 오른쪽이 각각 3-5열 이었다. 그리고 아치 모양의 오른쪽 섬모열은 직선의 왼쪽 섬모열보다 길이가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충체 내부에는 직경 8-$15{\mu}m$의 둥근 대핵과 직경 2-$4{\mu}m$의 소핵이 있었으며, 복면(腹面) 앞부분에 있는 세포구는 충체 표면에서 직접 밖으로 열리며 세포인두와 연결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세포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 인두는 10-16 가닥의 간상체(桿狀體)양 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쪽 끝이 굽어져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충체는 2개의 수축포를 가진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각각 오른쪽 앞끝과 왼쪽 뒤끝에 위치했다. 그리고 수온 $22^{\circ}C$에서 이 기생충의 번식은 단순한 이분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이 기생충은 Chilodonella hexasticha(Kiernik, 1909)로 분류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청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Clupeidae(Pisces: Clupeiformes) from Korea)

  • 윤창호;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9-60
    • /
    • 1998
  • 한국산 청어과(科) 어류에 대한 분류학적인 재검토를 실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연안 22개 지점에서 채집하거나 국외에서 입수한 표본에 대한 계수 계측형질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결과, 한국산 청어과(科)는 10속(屬) 11종(種)으로 확인되었다. Pristigaster 속(屬) 어류는 남미의 담수역에서만 분포 서식하며, 배지느러미가 없는 특정을 지니고 있어 Chyung (1977)이 보고한 때치 Pristigaster chinensis는 준치의 동종이명으로 확인되었다. 청어과(科) 어류의 학명을 재검토한 결과, 눈퉁멸의 학명은 Etrumeus micropus에서 E. teres (De Kay, 1842)로, 샛줄멸은 Spratelloides japonicus에서 S. gracilis (Temminck et Schlegel, 1846), 이와치는 Sardinella immaculata에서 S. jussieu (Valenciennes, 1847)로, 밴댕이는 Harengula zunasi 에서 Sardinella zunasi (Bleeker, 1854) 및 납작전어는 Macrura reevesii에서 Tenualosa reevesii (Richardson, 1846)로 확인되어, 이들의 학명을 변경하였다. 청어과(科) 어류는 우리나라 전해역에서 고르게 출현하였으며, 비교적 전 해역에서 고르게 출현하는 종은 전어 Konosirus punctatus와 밴댕이 Sardinella zunasis로 확인되었고, 한국산 고유종은 없었다.

  • PDF

한국산 Cobitis속 어류( Pisces: Cobitidae)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1. 왕종개(Colitis longicowus)의 지리적 변이 (Systematic Studies of the Genus Cobitis (Pisces: Cobitidae) in Korea ll. Geographic Variations of Cobitis longicowus)

  • 박병상;김재흡김종범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85-593
    • /
    • 1991
  • 한국 특산종 C. longicolpus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하고자 discriminant function 분석에 의한 형태적 변이 그리고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적 변이를 전국적으로 조사하였다. 11개 집단의 discriminant function분석결과 11개 집단은 형태적으로 뚜렷한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13개 집단의 유전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13개 집단 평균 A = 1.37, P = 29.96%, HD = 0.076 및 HG = 0.083으로 일반적인 담수어류의 종내 집단 간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5 : 0.88으로 타 어종의 일반적인 집단 및 유전적 근연정도와 유사하였다.

  • PDF

한국산 담수어류(잉어과) 몇종의 핵형과 DNA 상대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Karyotypes and Comparative DNA Values in Several Korean Cyprinid Fishes)

  • Kang, Yung-Sun;Park, Eun-H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7-108
    • /
    • 1973
  • 한국산 담수어류 4종(잉어과)에 대한 염색체 및 DNA 상대량을 조사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어 이들의 세포유전학적 특징을 계통학적인 면에서 고찰하였다. 1) 참마자(Hemibarbus longirostris) 및 누치 (H. labeo)의 염색체수는 2n=50으로써 그중 참마자는 7쌍의 metacentric (A그룹), 14쌍의 submeta와 subtelocentric(B 그룹) 그리고 acro 내지 telocentric 염색체(C그룹) 4쌍으로 구성되며 arm수 (AN)는 92였다. 누치의 핵형은 A, B 및 C 그룹이 각각 9, 11 그리고 5쌍으로써 AN은 90이된다. 2) 버들개(Moroco lagowskii) 및 버들치 (M. oxycephalus)의 염색체수는 역시 2n=50이었으며, 이들의 핵형도 다같이 A그룹이 6쌍, B그룹이 14쌍 그리고 5쌍의 C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N은 90이었다. 3) 4종의 DNA상대량은 모두 붕어의 약 60%에 해당하였다.

  • PDF

담수어 열수추출물 및 효소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 I 전환효소 저해작용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Hot-Water Extract and Enzymatic Hydrolysate of Fresh Water Fish)

  • 김태진;윤호동;이두석;장영순;서상복;염동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71-877
    • /
    • 1996
  • 담수산 어류의 고도이용과 이들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 해명을 위하여 전통적인 건강보양식품으로 애용되어 온 담수산 어류를 대상으로 열수추출물과 효소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ACE 저해작용 및 gel 여과에 의한 ACE 저해획분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알아 보았다. 열수추출물과 효소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활성은 담수어류 중 잉어가 가장 높았으며, 효소가 수분해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하여 강한 경향을 보였다. Ethanol가용성 획분이 침전획분에 비하여 강한 ACE 저해능을 나타내었으며, 잉어 효소 가수분해물의 70% ethanol 가용성 획분이 가장 높은 ACE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효과를 지니는 활성획분의 분자량은 열수추출물에서는 약 1,400이었으며 효소 가수분해물에서는 1,400 보다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고, 시료 중 잉어 효소 가수분해물이 가장 높은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회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열수추출물에 있어서는 glycine, alanine, leucine, proline등의 합량이 많았으며 효소 가수분해물에 있어서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proline 등의 함량이 많았다. 활성획분의 $IC_{50}$/은 효소가수분해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경향이었다.

  • PDF

신규해양원시균류(Thraustochytriaceae)를 이용한 오메가-3 및 오메가-6지방산을 다량 함유하는 윤충과 물벼룩 생산

  • 강석중;박유수;최병대;김광양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51-252
    • /
    • 2000
  • 해산어류는 담수어나 육상의 포유동물과는 달리 사료내의 18탄소 전구체의 지방산에서부터 충분한 양의 필수지방산을 생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사료를 통하여 이들 성분을 공급해야만 한다(Yamada, 1980). 최근에는 사료 내에 필수지방산의 한 종류인 EPA(20:5n-3)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DHA(22:6n-3)로 전환되는 속도가 늦기 때문에 해산어 자치어의 DHA요구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Bell, 1995; Sargent, 1997). (중략)

  • PDF

한국산 담수어류 버들붕어, Macropodus ocellatus (Pisces, Osphronemidae) 망막의 시각세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Visual Cells in the Retina of Macropodus ocellatus (Pisces, Osphronemidae) Freshwater Fish from Korea)

  • 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8-223
    • /
    • 2017
  • 한국산 담수어류 버들붕어의 눈을 관찰하고 시각을 담당하는 망막의 시각세포 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버들붕어는 구형의 수정체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각막은 노란색으로 확인하였다. 눈은 $3.5{\pm}0.2mm$의 크기였으며 두장/안경비는 $31.1{\pm}5.0$으로 비교적 큰 눈을 가지고 있었다. 버들붕어의 망막은 $158.2{\pm}10.6{\mu}m$의 두께였으며 시각세포층에는 간상세포 ($57.3{\pm}1.3$), 동형 이중원추세포($33.9{\pm}3.7$) 및 단일원추세포($27.8{\pm}1.6$)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횡단면을 확인한 결과 정방형의 모자이크 모델을 보유하고 있었다. 모든 시각세포는 내절과 외절의 구분이 뚜렷하였으며 간상세포가 원추세포보다 더 길어 원추세포들의 외절과 외절사이에 간상세포의 내절이 존재하였다. 간상세포의 외절은 망막 색소상피층 아래까지 신장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을 통해 미세구조를 확인한 결과 원추세포와 간상세포 모두 내절과 외절을 연결하는 배상극이 관찰되었으며 간상세포 및 동형 이중원추세포의 형태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시각세포의 횡단면을 관찰한 결과 짧은 단일원추세포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동형 이중원추세포가 정방형 배열을 하고 있었다.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5. 미꾸리속 어류 2종의 유전적 변이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5. Genetic Variations of Two Species of the Genus Misgurnus from Korea.)

  • 양서영;김종범김재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2-465
    • /
    • 1994
  • 미꾸리속의 미꾸리(Misgumus anguillicaudatus)와 미꾸라지(M. mizolepis)의 종내 및 종간 유전적 변이와 유전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2종 15개집단과 대만산 Paramisgumus김늠bwanus 1개 집단을 대상으로 전기영동법의 의한 동위효소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ongui각caudotus 9개 집단의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는 P=34.20%, Ho=0.099, He=0 114였고. M. mizolepgs 6개 집단은 평균 P=35.55%, Ho=0 141, He=0.148이었으며, p연abwonus는 P=45.9%, Ho=0.132. 연e=0.119로서 일반적인 담수어류에 비해 높은 변이를 나타내었다 종간 평균 유전적 근연치를 비교한 결과 M. aneuflISca udatuo와 M. mfzole부랍 사이는 5=0.467이었고. M. angu연흘audatus와 P. dabrvanus 사이는 5=0.475로 비교적 근연관계가 낮았으나 M. mizolep결와 P. dabwanuo 사이는 5=0.834로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다 유전적 차이치를 토대로 M. ongu비상라udctus와 M. mfzolep결의 종분화 연대를 산출한 결과 이들은 약 350만년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산 검정망둑(Tridentiger)속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Goby, the Genus Tridentiger (Gobiidae, Pisces) from Korea)

  • 김익수;최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69
    • /
    • 1989
  • 1982년부터 1987년 사이에 우리나라 연안과 기수 및 담수에서 채집한 Tridentiger속 어류의 표본을 검토하여 이들을 새로운 검색표와 함께 재기재하고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1미기록종에 대해 기재하였다. 즉 한국산 Tridentiger속에는 T. trigenocephalus, T. obscurus, T. nudicervicus T. brevispinis가 출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T. trigenocephalus는 동해안과 남해안의 연안과 기수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고 T. nudicervicus는 전북 옥구군 미성읍과 금강하구에서만 출현하였다. 형태적으로 T. obscurus와 아주 유사하여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T. obscurus와 동일종으로 여겨졌던 T. brevispinis는 논산, 부안, 삼척(담수), 아산, 영덕 등의 담수에서 출현하였고, T. obscurus는 제주도 (서귀포, 중문), 삼척(맹방해수욕장 부근), 보길도 등의 기수에서 출현하였다. 또한 T. brevispinis는 체장에 대한 백분비로서 제1등지느러미 제3기조의 길이가 암컷은 14.4-24.7, 수컷은 16.1-32.0이고, 새비수가 8-11인 반면, T obscurus는 체장에 대한 백분비로서 제 1등지느러미 제3기조 길이가 암컷은 15.4-33.0, 수컷은 24.4-43.8이고 새파수가 11-14개라는 점에서 2종은 잘 구분되었다.

  • PD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사육을 위한 Chlorella의 배양 1. 적종 Chlorella의 선택 (Chlorella cultivation for mass culture o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I. Selection of suitable Chlorella species)

  • 허성범;김현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5-143
    • /
    • 1988
  • 해산어류 및 갑각류의 유생사육시 먹이로 사용되는 rotifer(Brachionus Plicatilis)의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Chlorella중 어떤종이 대량사육에 가장 적합한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수산 Chlorella 2종, 담수산 Chlorella 4종에 대한 성장 및 영양염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산 Chlorella중에서는 C. ellipsoidea가 f/2배지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고 담수산 Chlorella 중에서는 C. vulgaris가 Complesal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2. 성장의 측면에서 볼 때 담수산인 C. vulgaris는 해수산인 C. ellipsoidea보다 specific growth rate가 1.68배나 높게 나타났다. 3. 영양염의 측면에서 볼 때 지방은 해수산인 C. ellipsoidea가 조단백과 회분은 담수산인 C. vulgaris가 더 높았다. 아미노산측정에서 $NH_3$의 함량이 담수산인 C. vulgaris가 해수산인 C. ellipsoidea보다 8배 이상 높은 점이 특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