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사회복지행정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4초

정보통신기술(ICT)이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대상자의 역학관계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the Power Dynamics between Social Welfare Bureaucrats and Recipients)

  • 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335-374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6명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3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이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수급자의 관계에 미친 변화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공공행정에서 ICT의 도입은 행정정보의 투명한 공유와 공개를 가능하게 하여 일선관료와 주민의 관계에 신뢰성과 민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복지 공공행정을 사례로 정보화가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수급자의 관계에서 불신을 심화시키고 상호역량을 약화시킬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ICT를 통해 전담공무원과 수급자가 상대편의 정보와 데이터에 의지하게 되면서 면대면의 인간관계가 확인조사와 민원제기처럼 상대방에 대한 의심과 불만을 표출하는 사무적 절차로 대체되는 현상을 짚어볼 것이다. 나아가 ICT-기반의 행정시스템이 전담 공무원의 일상업무와 수급자의 생활세계를 조밀하게 감찰하게 되면서 일선관료에게 부여되던 자율적 정책선택권이 축소되고 수급자들의 공개적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현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정보화가 휴먼서비스의 신뢰성과 민주적 자율성을 제고하는 것만이 아니라, 반대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관계를 더 비인격적이고 무기력하게 만드는 측면도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대학 행정 직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for Job Stress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 최수찬;이은혜;원경림;조영림;김다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67-8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 행정 직원의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와 그 영향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대학 행정직원의 근로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복지적 개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약 5주간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근무하는 행정 직원 25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27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적 특성(조직몰입, 조직문화, 조직 지원)과 직무 특성(직무만족, 직무 통제, 감정노동)은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통합적이고 다양한 문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이 갖고 있는 자원 및 인프라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복지 서비스(상담, 여가활동 기회 제공, 역량 강화 교육 등) 제공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대학 행정 직원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지자체 및 교육청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복지부문 정보화의 효과에 대한 시론적 논의 :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formatization on the Social Welfare Sector: with a focus on the Integrated Social Welfare Management System)

  • 함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11-21
    • /
    • 2013
  •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급여 및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 관리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으로서 사회복지 행정의 효율화에 기여하고, 나아가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구축되었다.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은 복지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지자체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량을 경감시키고 일하는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전달체계 효율화 측면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정보화 평가 또한 복지행정업무의 효율성측면과 예산, 인력 감축 규모를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구축 및 운영에 따른 경제적 측면, 공급자 측면 그리고 수요자 측면에서 정보시스템의 효과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사회복지통합관리망의 실질적인 성과를 제시하였다.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수준 및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직렬간 비교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Level and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in Social Welfare Officials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Series of Classes)

  • 전병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68-179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 북 지역의 주민센터에서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 291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수준을 살펴보고, 이 변수들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사회복지직이 행정직보다 더 높았으며, 직무만족은 행정직이 사회복지직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사회복지직은 직무스트레스의 직무요인이었고, 행정직은 직무스트레스의 조직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각 직렬에 따라 직무만족을 향상하고 이직의도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에 대하여 사회복지직과 행정직으로 나누어 그들의 직무와 관련한 요인의 수준 및 관계에 대해 처음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