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문화 콘텐츠

Search Result 3,18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한국전통화약무기 및 로켓의 디지털콘텐츠 소재개발 -web서비스를 중심으로-

  • 유원종
    •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 no.2
    • /
    • pp.83-91
    • /
    • 2003
  • 문화관광부의 문화콘텐츠산업육성 사업 중 핵심적인 사업의 하나가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소재화 사업일 것이다. 이는 문화콘텐츠의 소재가 되는 문화유산을 비롯한 각종 문화원형 아이템들을 활용해서 경쟁력있는 디지털콘텐츠로 기획, 가공, 제작하여 유통 서비스하는 문화콘텐츠산업의 근간이 될 수 있는 것이며 결국 문화산업전체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포석이 된다. (중략)

A Study on Development Model for Digital Contents of Cultural Archetype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 황동열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1
    • /
    • pp.45-62
    • /
    • 2003
  • This studied conceptional definition of digital contents and necessity of cultural contents by digital technology in progress. In addition,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based on ultimate idea and imagnation in our culture, refered from cultural archetype and digital content technology was offered by the study. Through abstraction of cultural archetype contents factor, this study deduced development model of digital contents extracted by value chain of cultural archetype contents.

  • PDF

A Study on Ways to Foster Cultural Contents through Contentization of Tea Culture (차(茶)문화의 콘텐츠화를 통한 문화콘텐츠 육성 방안 연구)

  • Kim, Mi-kyung;Guo, Jin-yu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2
    • /
    • pp.59-67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ster domestic tea (茶) culture as a single cultural content containing domestic culture, to increase domestic 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o suggest new cultural sanctions in the content era. Given the growth of the contents industry and the flow of domestic culture, cultural contents represented by the "Hallyu" of today do not exist at present, so it seems the time to move to keep pace with the tim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ore Korean content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has shed light on Korean tea (茶) culture, and reviewed the case of China, which is known as the origin of tea (茶) culture, and suggested a strategy for content creation of domestic tea (茶) culture. For this, the most prerequisite is to identify the identity and value of the domestic tea (茶) culture, and then expand education on tea (茶) culture and diversify the profit structure to serve as Korean cultural contents (茶) It suggested that the rediscovery of culture should be made.

Practical Use of New Media in Making Cultural Content of The Cultural Archetype (뉴미디어를 활용한 전통 문화 원형의 문화콘텐츠화에 관한 연구 - 문화원형을 소재로 한 미디어아트 작품 사례를 중심으로)

  • Lim, Kyung-Ho;Kim, Min-Kyung;Choi, Moon-Sun;Yoon, Joon-S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640-644
    • /
    • 2008
  • In this paper, firstly, I take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archetype and cultural content, and discuss about methodology that the cultural archetype can be cultural content. As the methodology of making cultural content of cultural archetype, analyzing media art which used material of the painting and korea traditional dance in the Chosun Dynasty, the photograph in the era from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to modern age, and a folk play, etc. And the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method of making cultural content of the cultural archetype using new media.

  • PDF

콘텐츠연재 /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에 죽고 마케팅에 뜬다"

  • O, Ik-Jae
    • Digital Contents
    • /
    • no.7 s.122
    • /
    • pp.136-140
    • /
    • 2003
  • 콘텐츠 비지니스란 엔터테인먼트, 정보, 교육 콘텐츠를 창작하고 디지털로 개발해 디지털 상품화시켜 유통하는 비지니스이다. 콘텐츠 비지니스에서 마케팅이란 콘텐츠 비지니스를 하고자 하는 기업 또는 개인이 콘텐츠를 기획, 제작, 편집해 소비자에게 경험시키는데 관련된 모든 체계적 비지니스 활동이다. 문화산업에서 콘텐츠 마케팅은 문화 마케팅이다. 문화 마케팅은 마케팅으로 문화를 창출하는 것이며, 문화를 마케팅에 접목하는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Virtual 3D Contents f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Culture Archetype of BanChaDo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 개발)

  • Kim, Hye-Weon;Kim, Eun-Jin;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67-37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료 검증을 바탕으로 반차도의 문화원형(文和元型, Culture Archetype) 가상복원을 통한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반차도란 의궤에 담긴, 조선 시대 왕실의 행차를 그린 그림을 의미한다. 조선의 왕실문화를 활용한 궁궐콘텐츠는 한국 고유의 것이며, 스토리텔링이 풍부한 반차도를 활용한다면 국민의 전통문화 향유를 증대시킬 수 있다. 현대에서는 재현행사를 통해 왕실의 행차를 재현하고 있지만, 실내에서는 재현하기 어려워 왕실 행차에 대한 문화유산 접근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닷컴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제공하는 반차도 관련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반차도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므로 심도 있는 반차도 학습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료 고증 메타데이터에 기반을 두어 문화원형 가상복원 3D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문화원형 가상복원을 위한 3D 증강현실 콘텐츠의 활용 가능 모습을 살펴보고, 기록유산 반차도의 문화원형 가상복원기반 증강현실 3D 콘텐츠를 제안하다.

  • PDF

Remake Cultural content to be examined in the theory of Cultural translation (문화번역이론으로 살펴보는 리메이크 문화 콘텐츠)

  • Cho, In-y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5-336
    • /
    • 2019
  • 최근 많은 콘텐츠들이 생성되면서 리메이크 라는 개념이 중요해 지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주목받았던 것은 문화적 근접성(Cultural Proximity)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함에따라 문화에대한 거부감이 사라지며 글로벌 시대에 도래한 최근에는 문화적 근접성으로서만 리메이크 콘텐츠를 몬의하기에는 부족하다.본 연구는 문화번역이론(cultural translation)을 통해 리메이크 문화콘텐츠를 살펴 보고, 문화번역이론에서 말하듯이 번역이라는 것이 언어적인 것에서만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문화적 차원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핵심이다.

  • PDF

콘텐츠라인-한국우수문화콘텐츠전람회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no.3 s.142
    • /
    • pp.70-70
    • /
    • 2005
  • 양국 수교 40주년인 2005년 한 · 일 우정의 해를 맞이해 한국의 우수 콘텐츠가 ‘제8회 일본문화청미디어예술제’에 대거 선보였다. 이번 일본문화청미디어예술제 기간 중에 마련된‘한국우수문화콘텐츠전람회’에 9편의 국산 콘텐츠가 전시된 것. 일본에서 열리는 전시회에서 국내 콘텐츠가 선보인 적은 있었지만 일본측의 공식초청을 받아 특별전이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PDF

문화콘텐츠의 보호.유통과 법적 문제

  • 조용순
    •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 no.1
    • /
    • pp.9-21
    • /
    • 2004
  • 법적 의미로 "콘텐츠"란 "부호.문자.음성.음향 및 영상 등의 자료 또는 정보"(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조 제3호)이며, "문화적요소"란 "예술성.창의성 오락성.여가성.대중성"(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조 제1호 바목)을 말한다. 따라서 문화콘텐츠란 "문화적 요소가 체화된 부호.문자.음성.음향 및 영상 등의 자료 또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디지털'이라는 존재형식을 가지게 되면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콘텐츠"인 디지털문화콘텐츠가 된다(문화산업진홍기본법 제2조 제1호 제5호).(중략) 창출하는 디지털콘텐츠"인 디지털문화콘텐츠가 된다(문화산업진홍기본법 제2조 제1호 제5호).(중략).(중략)

A Study on OSMU Type Program Development of Life Cultural Content - A Case Study Focusing on Kimchi Culture - (생활문화콘텐츠의 OSMU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김치문화를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 -)

  • Choi, Eun-ok;Yoo, Myung-i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0-175
    • /
    • 2008
  • Kimchi is Korean traditional culinary culture an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cultural archetypes which reflect Korean sentiment and culture. Further, its virtue as a food has drawn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One thing that you can count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uccessful cultural content is creative material. Kimchi is a life cultural content with universal quality which is shared with mankind in its culinary culture and originality generated from Korean people and its history. The rich cultural factors of Kimchi, in mental and material aspects, can be a platform for successful content which is globally competitive. Contents of Kimchi cultur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cultural business,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its colorful cultural factors. And with the cases used as standards, OSMU type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archetype was suggest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Korean cultural archetype's possibility to be developed into a life cultural content and tried to help building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life cultural archety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