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도서관

검색결과 9,926건 처리시간 0.033초

도서관업무의 기계화

  • 한국도서관협회
    • 도서관문화
    • /
    • 제16권8호
    • /
    • pp.17-19
    • /
    • 1975
  • 본회 전문위원회 기계화분과위원회는 도서관 기계화를 도모하여 도서관 기능의 향상과 봉사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사업목표를 세우고 우선 첫 단계로서 도서관 기계화에 대한 설명과 도서관 기계화 사례(내용)를 소개하여 도서관 기계화를 촉진시키고자한다. 이번에 게재하는 내용은 도서관 기계화에 대한 설명이며 다음에는 계속하여 도서관 기계화 사례(내용)를 소개할 예정이다.

  • PDF

도서관의 변화와 혁신으로 열린 미래를

  • 이진영
    • 도서관문화
    • /
    • 제46권6호통권361호
    • /
    • pp.26-28
    • /
    • 2005
  • 《도서관문화》6월호 특집란에서는 각 급 도서관 현장 사서 및 다양한 분야의 오피니언리더들의 '도서관 마케팅 및 도서관 PR'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는 지면을 마련하였다. 아직도 일부에서는 도서관은 열심히 일하는 데 알아주지 않는다는 불만의 소리가 높은데 이는 우리 스스로 도서관을 알리는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한 것이 아닐까도 싶다. 도서관의 외부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생존전략의 하나로서 '도서관 마케팅 및 도서관 PR'을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편집실의 자문에 도움을 준 '한국도서관마케팅연구소'에 감사드린다.

  • PDF

제50회 전국도서관대회 I

  • 한국도서관협회
    • 도서관문화
    • /
    • 제54권11호
    • /
    • pp.11-29
    • /
    • 2013
  • 한국도서관협회는 2013년 10월 23일(수)부터 25일(금)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도서관대회 그 반세기의 회고와 미래 전망 : 창조의 힘 도서관, 새 시대를 꿈꾸다"를 주제로 제50회 전국도서관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대회는 도서관 관계자 3,000여명이 참가하였으며, 다양한 학술프로그램과 전시회, 포스터세션, 문화행사 등이 열렸다. 이에 11월호와 12월호 특집에서는 이번 대회의 결과를 정리하여 소개한다.

  • PDF

한국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Public Library Polic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1-46
    • /
    • 2016
  • 이 글의 목적은 공공도서관계가 당면해 있는 문제의 본질과 원인을 도서관 기본법과 도서관 발전계획의 특징과 한계를 통해 밝혀내고, 문제의 해결을 위한 공공도서관정책의 개선 방향과 전략 그리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공공도서관정책의 핵심 도구이자 결과인 도서관 기본법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면서 그 특징과 한계를 밝혀내었으며, 둘째, 정책의 로드맵인 도서관 발전계획을 추적하면서 그 내용적 특징과 구조적 한계를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진체계에 있어 핵심 요소인 정책기구, 행정조직, 전문직 단체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때 정책추진체계의 혁신을 위한 공공도서관사람들의 책무에 대해 제언하였다.

특집-도서관법 개정과 도서관 정책 방향 변화

  • 한국도서관협회
    • 도서관문화
    • /
    • 제47권12호통권378호
    • /
    • pp.21-48
    • /
    • 2006
  • 지난 10월 4일 정부공포로 확정된 새로운「도서관법」은 기본적으로 도서관 정책 수립 및 추진 체계를 새롭게 정비하고, 지방분권 시대를 맞아 지역 단위도서관 정책과 행정 강화라는 큰 틀의 변화를 담고있다. 이번 호에서는 개정「도서관법」에 따라 새롭게 만들어 질‘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지방분권시대 도서관 정책 방향에 대한 지방설명회(2006.11.29,광주광역시)에서 발표된 내용을 수록한다. 아직 확실한 모양새를 갖추지는 못했으나, 위원회 등은 새로운 도서관문화 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기대된다. ■ 편집자 주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