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계 공간

Search Result 1,97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ate Minimization for Analysis of Real-Time Systems Based on State Space Abstraction (상태 공간 추상화에 기반한 실시간 시스템의 분석을 위한 상태 감소)

  • 박지연;박주호;조기환;이문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571-57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상태 기계(Real-time State Machine, RSM)로 명제된 실시간 시스템의 행위의 쉽고 간결한 이해, 분석을 위한 새로운 상태 최소화 방법을 기술한다. 시스템의 행위를 보여주는 RSM 실행에 대한 상태는 제어 변수, 자료 변수, 시간 변소의 집합에 의해 정의된다. 상태 최소화는 4단계 추상화인 계산(computation), 제너릭(generic) 패턴, 한계 간격(limit interval), 동일 범위(coordinate scope) 추상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계산 추상화 단계에서는 연속적인 계산으로 연결된 다수의 상태를 하나의 상태로, 일반 패턴 추상화 단계에서는 상수 또는 함수 관계에 있는 동일 제어의 연속된 일련의 상태들의 집합을 하나의 제너릭 패턴으로 통합한다. 한계 간격 추상화 단계에서는 특정 값으로부터 음의 무한대나 양의 무한대 값으로 단조 증가, 단조 감소하는 값 사이에 있는 상태들을 하나의 상태로 통합한다. 마지막으로, 동일 범위 추상화 단계에서는 같은 범위에 존재하는 일련의 상태들을 하나의 상태로 통합한다. 각 추상화의 적용은 제어, 데이터, 시간의 무한한 상태 공간을 유한한 상태공간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많은 상태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시스템 행위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복잡도가 적은 개념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 PDF

An Augmented Reality Solution for Improving Marker Recognition and Solving Human Occlusion (마커인식 개선과 인체가 가려지는 문제해결을 위한 증강현실 솔루션)

  • Lu, Chengnan;Park, Jongyeol;Park, Jinh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2
    • /
    • pp.183-192
    • /
    • 2020
  • Due to the problem of matching between virtual world space and real-world space, the reality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rather low.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result, firstly virtual object is rendered without considering relation between real-world space and virtual world space. Secondly, virtual objects rely too much on the marker to reduce reality. We propose two schemes to improve the reality of augmented reality, one is people occlusion, the other is to reduce the dependence of virtual objects on the marker.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for the Enclosed Effect in the Space of Cities (도시공간에 있어서 둘러싸인감의 적용방법에 대한 연구)

  • Hyoung, Sung-E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9 no.spc3
    • /
    • pp.277-286
    • /
    • 2006
  • This study evaluates how much D/H and enclosed effects ar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centering around the spaces of cities in Japan. The partial ranks of the degree of angle in D/H and of the enclosure of the real spaces which the experimenter feels are measured through the method of partial rank correlation analysis on the sane objects. The result shows that all 42 samples(0.49), 25 interior space samples(0.63), and 17 exterior samples(0.59) are analysed to be less correlated. Seen above, there is limit to explaining modern spaces with the degree of angle in D/H. The result reveals that the space structure of modem cities consists of a lot more complex elements, so it is not suitable to evaluate the spaces of cities with the past theories of D/H and enclosed effect. Therefore, to evaluate the enclosed effect, a new evaluation model and a study of influential elements of city spaces and enclosed effect should be developed.

  • PDF

다기능 플로팅데크 설계를 위한 기초조사

  • Park, Seong-Sin;Yu, Ae-R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10-212
    • /
    • 2014
  • 현재 국내 어항은 순수한 수산업 생산지로서의 한계에 도달했고, 국가어항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어항과 고유자원을 활용해 관광을 위한 개발로 방향을 잡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는 다기능 플로팅데크의 출현도 기대가 가능한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1) 어항의 원기능을 담는 생활공간으로서의 작업용 데크, (2) 관광수요에 대응하여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레저용 데크, (3) 해상재해 시 안전공간으로서 이용되는 구조용 데크 등 세 가지 기능으로의 전환되는 플로팅 데크의 설계를 위해 기본 개념 정의와 조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for the acoustical quality of rooms (주관적 음향성능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Jeong Dae-Up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61-164
    • /
    • 2000
  • 음향공간의 질은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최종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관적인 판단은 주어진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종합적인 지각과 경험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를 정량 화하여 상호 비교하는 작업의 어려움과 한계는 많은 연구논문을 통해 지적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음향공간 내에서 음색지각의 변화를 JND개념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를 음향선호도와 비교함으로써 기존의 주관적 평가방법보다 객관화된 평가방법 제안의 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 PDF

Data Providing Services In 4-dimensional GIS (4차원 지리정보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제공 서비스)

  • 이성호;김성수;김경호;박종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32-634
    • /
    • 2003
  • 4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은 기존의 2차원 공간정보의 평면적인 정보구조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확장된 좌표계를 가진다. 추가된 좌표축은 공간 객체들의 높이 정보축과 시간 정보축을 포함한다. 이 연구에서는 OGC에서 제안하는 2차원 기하 클래스 구조를 수용하고 추가된 시공간 정보를 다룰 수 있는 4차원 기하 객체 모델을 정의하였다. 또한. 시간 일 공간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를 구성하였으며 4차린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위하여 3차원과 4차원 시공간 연산 및 분석 기능을 구현하였다.

  • PDF

4S Framework Construction Structure for Interoper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공간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4S 기반 프레임워크 구축)

  • Oh, Byoung-Woo;Kim, Min-Soo;Joo, In-Hak;Lee, Jong-Hun;Yang, Young-Kyu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3 no.1 s.5
    • /
    • pp.95-108
    • /
    • 2001
  • The provision of spatial data is a key infrastructural requirement for the promotion of economic growth, environmental quality, social progress, etc. 4S technology integrates 4 kinds of systems that process spatial data: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nd SIIS (Spatial Imagery Information System). Spatial data processing field is expected to get synergy effect and overcomes development limit of individual unit technology via 4S technology. This paper discusses both the development of 4S-kernel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4S-based framework, In the development of 4S kernel technology, we will concentrate on the following issues: the development of 4S base components for reciprocity integration among GIS, SIIS, GNSS and ITS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4S-Mobile S/W and H/W, 4S-Van components, and national LBS technologies. And in the construction of 4S-based framework, we will especially concentrate on the ISP for overall 4S technologies,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earch center, and the guide model deduction for supervision and certification of 4S projects. Finally, we examine about how the construction of 4S-baed framework affects 4S industry.

  • PDF

An Architecture for a Spatial Big-Data Management System on Hadoop (하둡기반 공간 빅데이터 저장 관리 시스템 구조)

  • Lee, Kang-Woo;Cho, Eu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하둡 환경상에서 개발 중인 공간 빅데이터 저장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시스템은 공간 센서 및 IoT의 등장으로 대용량화된 공간 데이터로 인한 기존 공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성능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중이다. 본 시스템은 효과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빅데이터 처리 기술과 공간 정보 처리 기술을 접목하여, 대용량의 공간 정보를 수집,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효과적인 공간 데이터의 접근을 위해 스크립트 언어 기반의 공간 정보 처리 언어를 제공하고, SQL 형식의 선언적 공간 정보 질의 처리 기능도 제공하기 위해 개발 중에 있다.

  • PDF

Blind Watermarking based on the Spatial Domain (공간영역에 기반한 블라인드 워터마킹)

  • 강현호;박영란;박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867-872
    • /
    • 2002
  • 본 논문은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공간영역기반 워터마킹을 다루고 있다. 특히, 기존 연구 중 Lee[1]의 방법에서 nonblind 워터마킹의 한계를 확장시켜 원 영상과 워터마크 없이도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할 수 있는 blind 워터마킹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기법에서 다루어진 다양한 공격에서 동등이상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

  • PDF

도서전문을 싣는 데이터베이스 시대의 도래

  • DaBi, Da-
    • Digital Contents
    • /
    • no.5 s.84
    • /
    • pp.44-49
    • /
    • 2000
  • 지식의 보고 도서관. 도서관은 출판물로 가득한 창고이다. 그러나 사이버 시대의 도서들은 사상공간에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그간 디렉토리만을 실을 수밖에 없는 현실을 벗어나 이제는 도서 전문을 싣는 시대로 바뀐다. 물론 사이버 도서관은 거창한 건물도 필요가 없다. 가상의 세계. 그렇지만 현실의 세계 공간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실존하는 세계.미래의 도서관은 3차원의 세계를 뛰어넘고 있다. 더불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것의 한계를 짚어가며 데이터베이스의 새영역을 열어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