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제간연구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urvey of the Thought of Scientist on Research Collaboraion (과학기술자의 공동연구에 대한 인식 조사)

  • 설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5-5
    • /
    • 1998
  • 1980년대 이후 과학기술자들의 공동연구가 산학연 혹은 학제간 공동연구라는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네트워크이론으로 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산학연 공동연구는 연구결과의 산업적인 활용 촉진을 위한다는 성격이 강해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했지만, 학제간 공동연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기술혁신학회와 같은 경우는 학제간 공동연구 촉진을 학회의 중요한 추진방향으로 잡고 있을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제간 공동연구를 중심으로 국내 과학기술자들의 공동연구에 대한 인식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연구를 수직적인 공동연구와 수평적인 공동연구로 나누고, 수평적인 공동연구를 학제간 연구라 규정한다. 또한 학제간 연구를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과학기술자들의 인식과 행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과학기술계 전 분야의 3,18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 PDF

Network Analysis of Connectivities among the Disciplines of Convergence Researchers: Cases of Convergence Research Groups in a University (융합연구자 학제 간 연결성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대학 내 융합연구그룹의 사례)

  • Song, In Han;Kim, Hye 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153-163
    • /
    • 2019
  •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vergence research to solv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research problems is more increasing. For successful convergence research, connectivity beyond the boundary and distance between disciplines is a key facto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among researchers, we investigated the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s among 487 researchers' disciplines in a university by using network anayl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connectivity between similar disciplines were higher than different disciplines, (2) the density and cohesion level of connectivity within the same campuses were higher, and (3) network centrality was concentrated in engineering and medicine.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overcoming boundaries and distances as obstacles to convergence research and the necessity of diversification of centrality were proposed. While previous studies mainly analyzed the research outcome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researchers' connectivity and collaborative structures in the actual convergence research procedures.

An Interdisciplinarity Identification based upon the Mapping Between Authors' Affiliations and Research Areas (연구자 소속과 연구영역 매핑에 의한 학제성 규명에 관한 연구)

  • Chung, Eun-Kyung;Chung, Yeon-Kyoung;Lee, Jeong-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1
    • /
    • pp.147-16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terdisciplinarity among eight research areas based upon the correlations between researchers' department affiliations and research areas. More specifically, eight research areas and their sub-areas, 153 sub-areas with researchers' department affilia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interdisciplinarity between Social Science and Multiple Science Areas, Social Science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Natural Science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and Agricultural Science.

Facilita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 Analysis of Grant Proposal Acceptance Rates in South Korea (학제 간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 연구)

  • Cho, Sung Kyum;Lee, Kwang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5
    • /
    • pp.539-544
    • /
    • 2018
  • Interdisciplinary, or convergence, research has been a priority for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and many scholars in Korea have proposed interdisciplinary projects. Of the 4,930 proposals for the submitted in 2017, 2,575 (52.2%) of these proposals could be considered interdisciplinary projects. However, interdisciplinary projects had an acceptance rate of 35.0%, compared to an acceptance rate of 42.1% for single-discipline proposals. According to the study, despite the large share of research projects that appear to b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was not reflected properly in the evaluation. I would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prepare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esearch field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may be duly considered.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Interdisciplinary Journals by Examining Co-Author Network (공저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외 학제적 저널의 특성 분석)

  • Choi, Hyung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6.08a
    • /
    • pp.23-27
    • /
    • 2016
  • 최근 학제간 연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연구자들 간의 협력관계, 특히 학술적 협력관계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저 네트워크 자체의 속성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공저 분석 기법을 통해 특정 학문 분야의 지적 구조를 해석하려는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외 학제적 저널의 공저 현황과 소속기관 유형을 살펴보고 매개 중심성과 연결정도 중심성을 통해 학술지별 주요 소속기관과 저자들의 위치, 그리고 그들간의 협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inter-disciplinarity on renewable energy research (지식흐름 관점에서 신.생에너지연구의 학제간 다양성 분석 -태양전지 연구를 중심으로-)

  • Kim, Minji;Park, Jung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41-141
    • /
    • 2010
  • 과학기술은 기술영역간의 관계를 통해 고유한 연구영역을 그리며 발달하며, 이는 학제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기존 기술들이 독특한 결합과정의 형성을 의미한다. 기술의 결합과정은 지식의 결합과정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에너지산업과 다른 특성을 갖는 신 재생에너지의 기술발전경로를 '지식흐름'의 관점에서 탐색하여 신 재생에너지 연구의 학제 구조 및 다양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량서지학적 분석은 데이터 수집의 간편성 및 초기 연구결과물 분석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 의해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응용되어 왔다. 특히, A.L Porter(1984)에 의해 'citation'을 이용한 학제간관계 측정에 적용하여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바탕으로 지식흐름을 관찰하는데 선구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Tijsen(1992)은 동시분류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네덜란드 에너지 연구분야의 학제구조를 분석하였고, Kajikawa(2007)은 에너지분야의 신기술인 태양전지와 연료전지에 한정하여 인용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발전의 경향을 알아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량 서지학적 방법의 하나인 co-classification 방법론을 적용하여 태양광 분야 중 태양전지에 초점을 맞추어 학제 간 다양성 분석 연구를 수행 하였다. 태양광은 신 재생에너지 중 전후방연관 파급효과가 가장 큰 분야이며, 반도체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그 기술을 전개할 수 있기에 국내 산업과의 연관도가 높은 산업이다. 태양전지의 연구 동향 파악 및 고유의 연구영역을 도출을 분석하기 위한 기본 자료는 ISI의 'Web of Science'를 기반하여 수집하였다. 또한 태양광 연구의 연구구조 파악을 위하여 계량서지학분석의 하나인 'co-classification' 방법론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학제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1979-2009년까지의 태양전지 연구 논문 2,602개를 바탕으로 동시에 2개 이상의 SC를 포함한 논문은 총 논문의 51.8%이며, 출현한 SC는 65개로 분석되었다. 이 중 2개 이상의 SC가 동시에 출연한 횟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기술의 결합과정 또는 지식의 결합과정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wo Ways of Doing Cross-disciplinary Philosophy of Science Research: Inter-disciplinary STS and Multi-disciplineary STS (학제간 과학철학 연구의 두 방향: 간학문 STS와 다학문 STS)

  • Yi Sang-Wo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5 no.2 s.10
    • /
    • pp.1-21
    • /
    • 2005
  • It has been a point of dispute how to define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or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ill, STS is now emerging as an autonomous research discipline with its own agendas and styles of reasoning from a mere collections of various meta disciplines such as philosophy of science, history of science and sociology of science. The paper discusses how philosophy of science in its cross-disciplineary mode can contribute to STS (understood a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research given these recent academic trends. We can start from the observation that there are two distinctive ways of doing cross-disciplinary research: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Then it is shown with concrete examples how philosophy of science can productively participate in both ways of cross-disciplinary researches in STS.

  • PDF

The Characteristics of Area Stud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Geography (지역연구의 특성과 지라학과의 관계)

  • 김희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243-258
    • /
    • 2000
  • 지역연구는 해외지역연구(foreign area studies)의 준말로, 연구자의 문화와는 다른 문화권 혹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학제적인 연구이다. 지역은 시대와 정의자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인지개념으로 세계지역, 문화지역, 국가단위지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지역연구는 1920년대에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전쟁 전에는 유럽지역이 지역연구의 주요 대상지역이었으며 전후 냉전시기에는 제3세계가, 그리고 현재는 전세계의 모든 지역이 연구지역으로서 주요한 가치를 지닌다. 지역연구는 정책지향적이고 학제적인 연구이며 현장연구를 중요시하는 특성을 지닌다. 지역연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공분야의 학위와 현지언어 능력, 광범위한 지역 지식, 현장 경험 등을 갖춰야 한다. 그러나 분과학문과 지역에 대한 관심의 균형 문제가 분과보편주의와 지역특수주의 간의 갈등으로 나타나 지역연구의 목적이 희석되기도 하였다. 지리학은 몇가지 이유로 인해 지난 몇 십년간 지역연구에 대해 비교적 관심을 덜 가졌다. 그러나 지리학자는 공간 상호작용의 분석과 자연환경에의 접근 등을 통하여 지역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연구의 큰 목적 중의 하나인 지역성 구명의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PDF

The Application of Micro Controller Board to Engineering Education for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 (한국다학제간 캡스톤디자인에 마이크로콘트롤러 보드의 적용)

  • Yoon, Seok-Beom;Jang, Eun-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2
    • /
    • pp.531-537
    • /
    • 2014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odel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capstone design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s Engineering Department.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 various capstone design works are designed and proceeded by multidisciplinary students at the summer session.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described in this paper includes the involvement of five department's student who have not collaborated in capstone design experience. This study focuses on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 education by using the micro controller board called Arduino Uno that consists of an assortment of sensors and actuators. The result of self-satisfaction survey was shown the meaningful teaching process for the engineering department students who could have more creative and industrial experiences. As a result, we are able to get the result of the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technology education in the area of convergence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