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지원 교육 콘텐츠

Search Result 22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Learner Satisfaction Factor of the Cyber Home Learning Servi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사이버 가정 학습 서비스의 학습자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Yu, Jeong-Su;Lee, Kum-O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59-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을 교사가 교실 수업과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을 연계하여 운영함에 있어 어떤 요인이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Y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월간 운영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들에게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는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결과보상기능은 사이버가정학습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유용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던 교육적 효과, 콘텐츠 품질은 만족도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키는 본질적인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학습지원기능, 시스템 안정성 및 편리성, 상호작용 등 시스템적인 기능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인들은 단지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이 효과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습을 지원하는 기능, 시스템 안정성 및 편리성, 선생님과 학생 또는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모든 시스템적인 기능은 수강생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s and mobile devices on learning foreign languages

  • Chi-Woon J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5
    • /
    • pp.189-196
    • /
    • 2023
  •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CALL)" and "Mobile-based language learning (MALL)" actually influence education, deviating from the traditional "drill and practice" method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Specifically, for first-year college students who have relatively poor English skills and do not feel enough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I will produce educational video content using multimedia authoring tools and upload it to the e-learning system. Video content is configured to be accessed and utiliz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computers, smartphones, tablets, laptops, etc. Ultimately, an exploration of educational value behind the utilization of IT devic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ELT) and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theory behind effective instructional use of such technology are presented. That is to say, the effectiveness of language learning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introduced. The article closes by suggesting how to use computers and mobile media for 'Flipped Learning'.

Actual G-Math Game Design for Directly Constructivism (직접적 구성주의에 의한 실체적 G-Math 게임 디자인)

  • Lee, Ji-Won;Chang, Hee-Dong;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9-40
    • /
    • 2012
  • G-러닝 게임은 게임의 집중력과 재미 요소를 기반으로 학습의 목적을 가진 콘텐츠로, 최근 아동 교육용 G-러닝 게임의 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연구된 G-러닝 게임은 교육성과 게임성의 디자인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균형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의 분수 학습을 위한 G-러닝 게임의 게임디자인 방법을 논한다. 분수 개념은 4학년 교과 과정 중 학습 난이도가 높고 이해가 어려워 단순 교수법보다 구성주의 학습법이 적합하다. 게임과 교육의 융합을 위한 디자인의 일환으로 G-Math 게임을 개발하였다. G-Math 게임은 구성주의 학습방법을 기초하여 ETC(탐구, 협동, 대화, 이해)이론으로 디자인 하였다. 본 연구는 G러닝 게임의 교육성과 게임성을 융합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디자인함으로서 G-Math에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Tool Using LTI in Smart Devices (Smart Devices에서 LTI(Learning Tool Interoperability)를 활용한 협력학습 도구의 설계 및 구현)

  • Chang, Kun-Won;Park, Sa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28-31
    • /
    • 2011
  • 최근 이러닝의 연구방향의 변화는 기존의 Courseware를 중심으로 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기반의 학습관리 위주의 기능에서 학습자의 학습행위를 보조하고 지원하기 위한 학습 환경의 제공으로 관심이 옮겨지고 있다. 기존 LMS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는데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 수의 부족, 이종의 시스템간의 콘텐츠 재활용의 불가, 콘텐츠 단가의 하락으로 인한 고급의 콘텐츠 부재, 학습몰입도의 저하 등이 핵심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학습도구를 제공하고 더불어 기반 플랫폼에 상관없이 이종의 시스템에서 모두 실행이 가능한 LTI 기반의 학습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학습계획과 교육 분야를 선택할 수 있어 스마트한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Subject Information Linked to Textbooks to Support Self-directed Creativ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nline Environment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창의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교과서 연계 서지정보 및 주제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 SoYoung Yoo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2
    • /
    • pp.93-114
    • /
    • 2023
  •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paradigm that values self-directed creative education, schoo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emphasiz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through curriculum-linked programs as their main tasks. For self-directed learning, it is essential to provid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and there should be abundant textbook-linked references that can deepen and expand the curriculum reflected in textbooks. This study established KDC-linked information related to unit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curriculum-linked books, restructured KDC system based on major subj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stablished a curriculum-linked subject information. Libraries can strengthen support for self-directed creative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online environment by linking library content targeted for each user wi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ontent focusing on learning topics in the curriculum.

교육과정과 디지털 콘텐츠를 연결한 링크드 데이터 프로파일 활용 방안

  • Jeong, Hyeon-S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2
    • /
    • pp.81-88
    • /
    • 2014
  • 본고에서는 교육내용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프로파일 설계 및 활용에 대해 소개한다. 성취기준은 학생들이 학습의 결과로 반드시 알아야 할 지식, 능력 및 태도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으로서 국가 교육과정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교수학습지원시스템은 성취기준 링크드데이터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교육과정, 수럽계획, 학습자원, 평가 등을 연계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Social Learning in Workforce Education (소셜러닝을 적용한 직업교육 성과분석 사례연구)

  • Lee, Sookyoung;Park, Yeonje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4
    • /
    • pp.523-534
    • /
    • 2015
  • Social learning is a form to support learners' active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with other learners and instructors by using social media. The concept of social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beyond the simple use of social media for learning or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understanding of social lear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theories of learning in designing and developing a program for workforce education. As a pilot test, the newly developed social learning program was implemented to 302 employees with the title of 'Innovative Display Strategy for POP". 138 employees successfully completed the social learning course that focuses on delivering contents in time-line based platform, supporting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working effectively through small smart devices in their workplace.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three kinds of data-source: learner's log data, their final evaluation score, and the survey to measure the satisfaction about social learning.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social learning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ogram revis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application.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tandard Contents for A SCORM Baed CTL (SCORM기반 교수학습지원센터 표준화콘텐츠설계 및 구현)

  • 김은주;류승필;박기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62-264
    • /
    • 2004
  •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ICT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교수학습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직접적인 교육의 장으로서 웹이 자리 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작된 ICT 학습자료들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고, 운영 플랫폼에 의존적인 형태로 제작되어 일선 교사들이 콘텐츠를 재활용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선 교사들의 공유 및 표준화에 관한 요구를 조사하고,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는 SCORM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될 수 있는 표준화된 교수학습용 콘텐츠를 설계 및 제작을 통하여 ITS(Intelligent Tutoring System)의 대안으로서의 SCORM 도입의 가능성을 찾고, 일선 학교현장에서의 활용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ontents Service for Museum Experience and Learning (박물관 체험 학습의 지원을 위한 콘텐츠 구성방안)

  • Kim, Na yun;Kim, Sang 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86-288
    • /
    • 2010
  • 박물관은 인류의 다양한 문화의 보고이다. 사회와 문화의 변화로 박물관은 수집, 보존, 연구, 전시라는 고전적이고 기본적 기능을 넘어서 교육과 문화를 포함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멀티플랫폼은 박물관 체험 학습의 지원을 위한 콘텐츠로서, 관람객의 체험을 통한 지식의 확장과 소통에 더욱 효과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