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요소

Search Result 2,90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with Idea Education and Support for Startup Infrastructure (아이디어 교육 및 창업 인프라 지원이 엔터테인먼트 산업 분야에 대한 대학생 창업의도 연구)

  • Lee, Ji-Hu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8
    • /
    • pp.19-31
    • /
    • 2021
  •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focusing on existing literature studies.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suggest realistic educational alternatives for university student start-ups and implications for start-up management to university start-up officials and those in charge of national start-up support policy.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item) for idea creation education,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how to connect ideas and products, technology methods that can increase content value, and user characteristics education with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will need to be continued. In addition, along with the idea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start-up business management such as financ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marketing, and operation management, and furthermore, confidenc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possibility of success in an entertainment start-up and a sense of adventure in a new job can be developed. Second, the space and equipment necessary for start-up (club room, student start-up room, entertainment-related equipment, etc.) should be provided centering on the opinion survey of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and various regulations of universities and government for student start-up should be relaxed. will have to In addition,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special lectures and consultations by experts, and on-the-spot education, etc., should be made to create more practical entrepreneurial knowledge. something to do. Third, for students wishing to start a busines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ir families about the field situation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accurately so that their children can develop a positive perception rather than a negative perception when choosing a business field. In addition, by promoting various successful cases of college students to their families after starting a business, families should be encouraged so that their children can develop a challenging spirit about starting a business. Fourth, it should be possible to form continuous clubs or gatherings with friends who wish to start a busines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furthermore, an opportunity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friends who actually started a business through these meeting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he meeting and the formation of friends should create a place for discussion about writing a business plan, how to succeed in starting a business, and management of startups, and psychological stimulation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each other's will to start a business arises. Fifth, various knowledge related to start-up (methods for securing funds, management of start-up organizations, grasping information about the market in which they want to start a business, etc.) should be cultivated, and how to write a business plan for the various entertainment industry fields they want to start up. You will also need to train them to be practical. Also, based on this knowledge formation, students themselves should be able to respond to risks and changes that may occur in entrepreneurship. Last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business start-up management, and various psychological stimulation activities are needed to make the confidence and fear of starting a business disappear.

Basic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Landscape Perceptual Response Prediction Mode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인공지능을 활용한 경관 지각반응 예측모델 개발 가능성 기초연구 - 머신러닝 기법을 중심으로 -)

  • Kim, Jin-Pyo;Suh, J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3
    • /
    • pp.70-82
    • /
    • 2023
  • The recent surge of IT and data acquisition is shifting the paradigm in all aspects of life, and these advances are also affecting academic fields. Research topics and methods are being improved through academic exchange and connections. In particular, data-based research methods are employ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landscape architecture, where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landscape preference evaluation and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a branch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landscaping field to build a landscape preference evaluation and prediction model to verify the simulation accuracy of the model. For this, wind power facility landscape images,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renewable energy source,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s. For analysis, images of the wind power facility landscapes were collected using web crawling techniques, and an analysis dataset was built. Orange version 3.33, a program from the University of Ljubljana was used for machine learning analysis to derive a prediction model with excellent performance. IA model that integrates the evaluation criteria of machine learning and a separate model structure for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used to generate a model using kNN, SVM, Random Forest, Logistic Regression, and Neural Network algorithms suitable for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generated model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most suitable prediction model. The prediction model derived in this study separately evaluates three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classification by type of landscape, classification by distance between landscape and target, and classification by preference, and then synthesizes and predic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prediction model with a high accuracy of 0.986 for the evaluation criter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andscape, 0.973 for the evaluation criter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0.952 for the evaluation criterion according to the preference was develop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verification process through the evaluation of data prediction results exceeds the required performance value of the model. As an experimental attemp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in landscape-related research,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high-performance prediction model by building a data set through the collection and refinement of image data and subsequently utilizing it in landscape-related research field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various types of landscape prediction models, including wind power facility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can be more useful and valuable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by exploring and applying research methods appropriate to the topic, reducing the time of data classification through the study of a model that classifies images according to landscape types or analyzing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landscape prediction factors using machine learning.

Incorporating Social Relationship discovered from User's Behavior into Collaborative Filtering (사용자 행동 기반의 사회적 관계를 결합한 사용자 협업적 여과 방법)

  • Thay, Setha;Ha, Inay;Jo, Geun-S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2
    • /
    • pp.1-20
    • /
    • 2013
  • Nowadays, social network is a huge communication platform for providing people to connect with one another and to bring users together to share common interests, experiences, and their daily activities. Users spend hours per day in mai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via posting, commenting, messaging, games, social events, and applications. Due to the growth of user's distributed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there is a great potential to utilize the social data to enhance the quality of recommender system. There are some researches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alysis that investigate how social network can be used in recommendation domain. Among these researches, we are interested in taking advantag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others in social network that can be determined and known as social relationship. Furthermore, mostly user's decisions before purchasing some products depend on suggestion of people who have either the same preferences or closer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we believe that user's relationship in social network can provid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quality in prediction user's interests of recommender system. Therefor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users encountered from social network is a common factor to improve the way of predicting user's preferences in the conventional approach. Recommender system is dramatically increasing in popularity and currently being used by many e-commerce sites such as Amazon.com, Last.fm, eBay.com, etc. Collaborative filtering (CF) method is one of the essential and powerful techniques in recommender system for suggesting the appropriate items to user by learning user's preferences. CF method focuses on user data and generates automatic prediction about user's interests by gathering information from users who share similar background and preferences. Specifically, the intension of CF method is to find users who have similar preferences and to suggest target user items that were mostly preferred by those nearest neighbor users. There are two basic uni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by CF method, the user and the item. Each user needs to provide his rating value on items i.e. movies, products, books, etc to indicate their interests on those items. In addition, CF uses the user-rating matrix to find a group of users who have similar rating with target user. Then, it predicts unknown rating value for items that target user has not rated. Currently, CF has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both information filtering and e-commerce applications. However, it remains some important challenges such as cold start, data sparsity, and scalability reflected on quality and accuracy of predi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various kinds of CF method such as hybrid CF, trust-based CF, social network-based CF, etc. In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recommendation performance and prediction accuracy of standard CF,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which integrates traditional CF technique with social relationship between users discovered from user's behavior in social network i.e. Facebook. We identify user's relationship from behavior of user such as posts and comments interacted with friends in Facebook. We believe that social relationship implicitly inferred from user's behavior can be likely applied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approach. Therefore, we extract posts and comments of each user by using Facebook Graph API and calculate feature score among each term to obtain feature vector for computing similarity of user. Then, we combine the result with similarity value computed using traditional CF technique. Finally, our system provides a list of recommended items according to neighbor users who have the biggest total similarity value to the target user. In order to verify and evaluate our proposed method we have performed an experiment on data collected from our Movies Rating System. Prediction accuracy evaluation is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much our algorithm gives the correctness of recommendation to user in terms of MAE. Then,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is made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in terms of precision, recall, and F1-measure. Evaluation on coverage is also included in our experiment to see the ability of generating recommend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 and more accurate in suggesting items to users with better performance. The effectiveness of user's behavior in social network particularly shows the significant improvement by up to 6% on recommendation accuracy. Moreover, experiment of recommendation performance shows that incorporating social relationship observed from user's behavior into CF is beneficial and useful to generate recommendation with 7% improvement of performance compared with benchmark methods. Finally, we confirm that interaction between users in social network is able to enhance the accuracy and give better recommendation in conventional approach.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