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단계별

Search Result 53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초등학교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 Han, Gil-Jun;Lee, Yang-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19-126
    • /
    • 2003
  •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지도하다 보면 문제해결력이 상당히 낮다는 것을 자주 경험하곤 한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고민하고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보는데, 그 해결 방안으로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하여 아이들의 전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높여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하여 소집단의 구성을 수학 성적을 토대로 하여 5단계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로는 크게 3가지로 정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일제 학습에 비하여 수학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는가? (실험반과 비교함) 둘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개인별 수학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켰는가? (개인별 비교; 실험반에 국한됨) 셋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수학 교과에 대한 아동들의 수학적인 태도변화를 가져왔는가? 위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들을 해결한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문제해결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나왔고, 또한 5단계로 분류한 아동들 개개인의 문제해결력에서는 특히 중하위권에 있는 아동들이 실험 후에 문제해결력이 높게 나왔다. 끝으로, 아동들의 수학적인 태도 변화에 관한 설문에서는 소집단 협력학습으로 인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많이 생긴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7차 교육과정에서 주장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소집단 협력학습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아동들의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또 하나의 수업 형태로서도 시도해 볼만한 것이라 생각한다.

  • PDF

A Study on Learning Models Personalized for High-Leveled Learners in Computer Programming Classes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상위 학습자들의 맞춤형 학습 유형 탐구)

  • Ahn, You-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45-24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상위 수준 학습자들을 위한 맞춤형 학습 모형 사례들을 살펴본다. 동일한 학습자들에게 여러 가지 학습 모형들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효과적인 학습 유형이 어떤 것인지 탐색해보고 그 학습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들의 성적 변화를 분석해봄으로써 상위 수준 학습자에 적합한 맞춤형 학습 모형을 탐구해가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A Programming Learning by Diense's Play Activities (딘즈의 놀이학습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모형)

  • Kim, Gil-Hyun;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349-356
    • /
    • 2005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프로그래밍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초등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는 놀이 학습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학습 모형을 작성하였다. 본 논문은 1) 놀이학습이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고, 2) 학습자와 학습내용을 분석, 3) 수업모형과 각 단계별 세부사항, 4) 실제 수업에의 활용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놀이학습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은 초등학생이 프로그램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고 흥미있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PDF

Design of System for Remote Instruction using Personal Study Information (개인별 학습정보를 이용한 원격교육 시스템의 설계)

  • 손지현;문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901-904
    • /
    • 2003
  • 최근에 웹을 이용한 원격교육에 대한 않은 학습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단순히 학습만을 고려한 방법부터 실시간으로 원격시험을 치르는 방법까지 다양하다 웹 기반의 학습에서 많이 적용되는 방법이 문제를 통한 학습이며, 기존의 학습들은 학습자가 개인 수준에 안는 문제 난이도를 직접 선택하거나, 문제를 동적으로 추출하여 학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단순히 출제되는 문제 자체의 차별성을 기반으로 하므로 학습자의 능력별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의 문제유형별 약점정보를 기반으로 유형별 추출되는 문제에 난이도를 두어 개인별 학습 능력을 정확히 평가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의 학습에서 개인별 학습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여 문제들을 출제하므로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문제유형과 문제난이도에 대한 개인의 정보를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학습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인 원격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Example Spaces Constructed by Students in Learning the Area of a Trapezoid based on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학습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예 공간 분석)

  • Oh, Min Young;Kim, Nam Gy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4 no.4
    • /
    • pp.247-264
    • /
    • 2021
  • The area of a trapezoid is an important concept to develop mathematical thinking and competency, but many students tend to understand the formula for the area of a trapezoid instrumentally. A clue to solving these problems could be found in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and Watson and Mason' concept of example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area of the trapezoid. This study analyzed the example spaces constructed by students in learning the area of a trapezoid based on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ample spaces for each stage of math learning constructed by the students were a trapezoidal variation example spaces in the play stage, a common representation example spaces in the comparison-representation stage, and a trapezoidal area formula example spaces in the symbolization-formalization stage. The type, generation, extent, and relevance of examples constituting example space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e of the example spaces was presented as a map. This study also analyzed general examples, special examples, conventional examples of example spaces, and discussed how to utilize examples and example spaces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area of a trapezoi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appropriate to apply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to learning the are of a trapezoid, and this study can be a model for learning the area of the trapezoid.

Development of Game-type Learning Program for Multi-level Learning in Number and Operation Field (수.연산 영역의 수준별 학습을 위한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 개발)

  • Lee, Jae-Mu;Jin, Young-Seo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6 no.3
    • /
    • pp.43-50
    • /
    • 2006
  •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program supporting how to teach multi-level of students in number and operating field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requires different teaching ways for various standards of student in the school. However, in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having hard time giving the proper lesson for each student due to the lack of supplementary classes and the excessive numbers of students in a class. Thus this research provides "Game-type learning Program" and supports individual learning lessons to give each student an opportunity to form a correct concept of number and operation. This system sets up suitable steps for each student by checking their leaning progress and accomplishment. When a student has a trouble, can give a help or show specific things which could be related with the matter. As a result, students have got more interests in studying math, furthermore, actually, the help and giving a clue helped students a lot in settling the problems.

  • PDF

The Learning Ability Checking system based on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능력성숙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학습능력 진단 시스템)

  • 방영일;구본경;허용도;김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714-71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진단하기 위하여 각 단계별로 질문을 제시하고 질문의 응답여부에 따라 자신의 학습 능력을 평가받고 향후 자신의 능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학습능력 진단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능력성숙 모델(CMM)을 기반으로 질문 리스트를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전단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직업에 따라 별도의 질문 리스트를 준비하였고 질문 리스트와 메시지 및 가산점을 조정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ltimedia Courseware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학습 장애아를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 김명기;양단희;정혜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400-402
    • /
    • 2002
  • 지금까지의 코스웨어는 주로 우수아와 일반아를 대상으로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 장애아들을 대상으로 개별화 학습 ICT 활용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를 제작하였다. 특히 학습 동기와 흥미도를 강화하여 학습 부진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교육정보화 매체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단계별 개별화 학습자료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 장애아들이 정확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사물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Face Recognition using LDA and Local MLP (LDA와 Local MLP를 이용한 얼굴 인식)

  • Lee Dae-Jong;Choi Gee-Seon;Chun My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12-216
    • /
    • 2006
  • MLP는 뛰어난 학습능력으로 인하여 많은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 방법으로서 최급경사법에 근거한 오차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때문에 학습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입력차원의 크기가 크거나 클래스간 학습데이터의 유사성이 클 경우 최적의 파라미터를 구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LDA와 local MLP을 이용한 새로운 얼굴인식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우선 LDA 기법에 의해 차원이 축소된 얼굴의 특징벡터를 계산한다. 다음 단계로서 전체 학습영상을 사용하기 보다는 그룹별로 분할된 얼굴영상에 대해 MLP를 수행하므로서 그룹별로 최적인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마지막 단계로 그룹별로 수행된 local MLP를 결합함으로써 전체 얼굴인식 시스템을 구성한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 ORL 얼굴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 방법인 PCA나 LDA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