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접근방식

Search Result 27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Framework and Essential Elements of World Realms in World Regional Geography Subject (세계지리에서 권역 단원의 조직 방안과 필수 내용 요소의 탐구)

  • Jeon, J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1
    • /
    • pp.192-205
    • /
    • 2015
  • This study proposes a device for the organizational frameworks and essential (content) elements of world realms in world regional geography subject. Here, the term 'organizational framework' means the method of realms division, reasonable number and naming of realms, and approaches to reams inclusively. And the term 'essential elements' designate the core elements as big ideas that every student must study through world reams. To approach these thesis, the author suggests that there is a growing trend of a combined regional concept to apply for reams division, that it is necessary to rationalize the number of realms and to prepare rather a synthetic approach to realms than a single one. And then, the author presents five essential elements as big ideas of world reams that composed of four by thematic approach and one by global-issue approach. But, this study emphasizes that in organizing the essential elements for a realm it is a better strategy to bring elements selectively with a realm because certain element fulfils function specially to certain realm.

  • PDF

수학 교실에서 뇌-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

  • Sin, In-Seon;Jang, Yeong-Il;Gwon, Jeom-Ry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77-195
    • /
    • 2001
  • 인간의 교수${\cdot}$학습은 본질적으로 뇌 기능과 많은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뇌-기반 학습에서는 우리의 뇌가 최적으로 학습하는 방식에 기초해 접근을 시도한다. 지난 30년간의 뇌에 대한 연구는 교수${\cdot}$학습에 대해서 이용할 만한 많은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많은 교육연구가들은 뇌 연구를 기초로 뇌가 최적으로 학습하는 뇌-친화적 환경을 도입하였고, Politano & Paquin(2000)은 현행교실에 실제로 이용 가능한 뇌-기반 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10가지 요소를 제시하면서 뇌-기반 학습에서 학습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학습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통한 학습이 효과적임을 말하였다. 수학교육에서도 이와 같이 뇌-기반 학습을 배경으로 하는, 학습자의 학습감각을 고려한 교수${\cdot}$학습이 의미있다고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기반 학습의 의미를 고찰하고, 제 7차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 교실에 대한 학습감각을 조사하였으며, 수학 교실에서 학습자의 학습감각을 고려한 수업활동을 제시하였다.

  • PDF

The Text-Prompt Speaker Recognition for Customer Discrimination (출입자 판별을 위한 문맥 제시형 화자인식)

  • 서광석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127-13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문맥 종속 또는 문맥 독립형 화자 인식에서의 단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문맥 제시형 화자 인식을 수행하였다. 문맥 종속형 화자 인식은 제한된 문장이나 단어를 발성하여 출입 판별을 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기는 쉬우나 사칭자가 사용자의 목소리를 흉내낼 수 있으며[1], 문맥 독립형 화자 인식은 임의의 대화 문장이나 대화를 사용에게 유도하여 일정 시간 동안 녹음한 후에 이를 이용하여 사칭자가 접근을 허가 받을 수 있다는 단번이 있다. 또한 문맥 독립형 화자 인식에서는 접근 허가를 받기까지 많은 학습 시간이 필요하며 학습 시간이 적을 경우에 상당한 인식률의 저하가 발생된다. 문맥 제시형 화자 인식은 랜덤하게 제시된 단어만을 화자가 발성함으로써 특정한 문장이나 단어의 배열을 미리 녹음했다가 재생하는 방법을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학습을 위한 많은 시간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자로 하여금 랜덤하게 제시된 여러 개의 단어들을 순서적으로 발성하도록 하여, 발성 단어를 인식한 후에 인식된 단어를 통하여 화자를 판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PDF

The Analysis of Field Trip Activiti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현장학습의 분석)

  • Chang, Hyun-Sook;Choi, Kyung-Hee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24 no.4
    • /
    • pp.337-34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ield trip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ere was an average of 4.25 field trip activities each semester presented in the textbook from the 3rd to 6th grade, mostly related to earth science and biology. The places for field trips were limited to in-school environment and natural sites in communities, and mostly purported to gain understanding of rudimentary concepts. Field trip activities were intended to facilitate scienc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order to integrate with the textbook content rather than offering students simple one-time activities. Most activities in the textbook guided students step by step. The starting or follow-up activities in the fields trips and reminder for cautions were not clearly presented. In order for the field trips to integrate with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the text book, they have to be presented in the textbook systematically. It is also imperative to find out various fold trip places related to the content in the curriculum, develop efficient activities dealing with science at the appropriate level for students and increasing interests in science and its teaming.

  • PDF

The Implementation of Web Page Learning Memory Platform to support efficient Learning Model (효율적인 학습 모델을 지원하는 웹 페이지 학습 기억 플랫폼 구현)

  • Kim, Seongjun;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91-29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영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은 중요해지면서 다양한 방식의 영어공부와 학습모델들을 분석하고 오랫동안 가억이 가능한 학습시스템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영어의 기초가 되는 영어 단어의 공부법이 논리적인 근거 없이 강사의 인지도와 명성에 현혹되어 강사가 추천해 주는 공부 방법에 따라 잘못된 학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사람마다 자기에게 맞는 학습법은 분명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그 방법 외에 효과적인 다른 방법 또한 찾아 볼 수 있다. 헤르만 에빙하우스는 사람의 망각 연구한 결과 망각의 주기를 수치로 나타내었고, 라이트너는 플래시 카드를 박스에 넣어 복습을 반복하는 아날로그 장치를 만들어 복습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헤르만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 이론을 통해 효율적인 영어 단어 학습방법을 논리적으로 증명하고, 웹사이트를 사용한 라이트너 박스와 망각 곡선의 이론을 적용하여 망각의 주기에 따른 복습의 효과를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접근성이 좋은 학습형 플랫폼을 제공하여 시간 대비 학습률이 좋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Science (통합적 유아 과학 교육과정의 접근 방식)

  • 전명남;정정희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 no.2
    • /
    • pp.10-16
    • /
    • 2002
  • This paper discussed the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science with reference to linking activities like as math activities, music art activities, fay, lied rips, creative thinking, food experiences, literature links, creative movement, science activities and promoting concept connections by Halan et al(2000). The integrated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s based on whole mind of children and science literacy, science concept, science teaming through multiple pathways.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atabase Storage System for VRML Learning Material (VRML 학습자료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저장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정재선;이성원;이종학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12-615
    • /
    • 2004
  • 정보 시스템과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으로 다양하고 효율적인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VRML을 이용한 삼차원 공간의 학습자료 개발은 정보화 사회에서의 교수-학습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의 VRML 저작도구에서는 순차접근방식을 사용한 파일저장시스템을 이용하여 객체를 저장함으로서 객체의 효율적인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저장구조를 이용하여 삼차원 객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VRML 학습자료 저장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또한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물구조에 대한 삼차원 학습자료 생성을 예로 들어 보임으로서 그 효율성을 입증한다. 따라서 본 VRML 학습자료 저장 시스템은 교사들로 하여금 삼차원 학습자료를 상호간에 공유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삼차원 학습자료의 생성에 있어서 시간과 경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The Problem of the e-value of InterPro to find additional domains in Domain Combination (InterPro의 e-value 조정을 통한 신규 도메인 발견 접근 방식의 문제점)

  • Hur, Hee-Young;Han,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7-21
    • /
    • 2006
  • 도메인 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은 지난 몇 년 동안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도메인 기반 접근 방법 중에서도 도메인 조합 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가능성 순위 부여 기법은 예측 정확도면에서 다른 기법보다 월등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학습 집단을 사용하는 특징 때문에 전체 도메인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도메인 정보가 부족하여 다른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라도 같은 도메인 정보를 보여주기 때문에 예측 시스템의 결점을 드러내고 있다. 도메인 조합 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가능성 순위 부여 기법은 InterPro 데이터베이스의 도메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한다. InterProScan은 InterPro의 여러 멤버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Sequence 분석을 하는 소프트웨어로써 검색 후 단계에서 찾아낸 결과들을 e-value를 기반으로 여과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시된 e-value를 조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단백질 내 도메인 패턴의 다양화와 기존 도메인 정보가 없던 단백질의 도메인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으나 접근 방식의 한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ducation plan for informatics gifted using SMART education methods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의 교육방안)

  • Park, Jaehyeong;Choi, J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447-449
    • /
    • 2014
  • 스마트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활용방식의 변화,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보영재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적절한교육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보영재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은 학습활동에 필요한 문제해결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협업 능력 등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습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미래사회에 필요한 협업, 의사소통능력, 사고력,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 정보영재 학생을 위한 SMART 교수학습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ttention Network-Based Recommendation System with Simplified xDeepFM (단순화된 xDeepFM 을 통한 Attention Network 기반 추천 방법)

  • Yiwan Zhang;Inwhee Jo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489-490
    • /
    • 2023
  • 기계 학습에서 데이터 및 기능은 기계 학습의 상한을 결정한다.이러한 기능은 산업 생산에서 과도한 데이터 양과 유형으로 인해 상당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특징 처리 방법이 매우 중요해졌다. 대부분의 기존 특징 처리 방법은 특징 엔지니어링을 기능 검색 문제, 즉 모델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능 변환 작업을 검색하는 것으로 추상화한다. 그러나 자동 특징 엔지니어링의 경우 검색량과 변환 조합의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요인 분해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벡터 곱셈을 통해 상호 작용을 측정하면 조합 특징의 패턴을 자동으로 학습하는 방법이 특히 효율적이다. xDeepFM 은 명확한 방식으로 특징적인 상호작용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Compressed Interaction Network (CIN)를 제안한다. 여기에 제시된 Low-rank Compressed Interaction Network(LRCIN )은 xDeepFM 접근 방식에서 CIN 네트워크의 단순화된 개선을 기반으로 하며 xDeepFM 에 주의 메커니즘을 추가하여 보다 정확하게 예측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모델은 계산 복잡성을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예측 정확도도 다른 모델보다 훨씬 우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