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 주도 평가

Search Result 457,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I-based Learner-led Assessment in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AI기반의 학습자 주도 평가의 효과성 고찰)

  • Shin, Heenam;Ahn, Sung Hun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7 no.3
    • /
    • pp.177-185
    • /
    • 2021
  • In future education, the paradigm of education is changing due to changes in learner-led and assessment methods. In addition, AI-based learning infrastructure and software education are increasingly needed.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I-based evaluation in future education by combining it with learner-led assessment. Using AI education and evaluation literature and Step 7 of the Learner-Driven Software Assessment Method, we sought to extract evaluation elements tailored to elementary school level in conjunction with the 2015 revised elementary practical course content elements, software understanding, procedural problem solving, and structural evaluation elements. In the future, we will develop a grading system that applies AI-based learner-led evaluation elements in software education and continuously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and help the school site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independently through AI-based learner-led assessment in software education.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Dynamic Reciprocal action (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웹기반 자기주도적 학습의 설계 및 구현)

  • 허순녕;이재희;이경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19-42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길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의 장면을 결정하고, 학습의 형태를 계획하여 학습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선계 및 구현하였다. 학습 설계 대상은 학습자와 길 사이의 동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필 학습방법으로 학습하기 힘들었던 단원인 고등학교 공통수학의 삼각함수를 선택하였다. 학습자가 학습장면에서 직접 실행해 보고 도형을 이동시켜 변화하는 현상을 관찰하고 탐구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피드백이 가능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학습자에 대한 정보와 학습의 상태는 DB를 이용하여 관리하도록 하였고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는 DB를 이용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er-led Assessment in Software Education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 주도 평가의 효과성 고찰)

  • Shin, Heenam;Ahn, Sung Hun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6 no.2
    • /
    • pp.101-106
    • /
    • 2020
  • In preparing for future education,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is increasing. In addition to the content of operation, the assessment portion issue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area in software education. In this study, we wanted to look at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er-led assessment in softwar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onsider what this suggests to the schooling. According to a study conducted on softwar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ent-led assessmen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 problem solving, information literacy, and increased interests in software education. Further research efforts are requested to help the schooling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through student-led software assess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ducation-Evaluation System for Self 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기반 교육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won, K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23-1026
    • /
    • 2005
  • 급속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교육에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수동적이며, 일방적인 교육 시스템에서 즉각적인 피드백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패턴을 지원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 시스템을 요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 출제 중심의 평가시스템이 학습내용의 정 오답만을 평가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여 질적인 피드백을 지원하는 문제 출제 중심의 웹기반 교육평가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학습자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문제출제의 난이도를 재조정하며, 학습자의 학습결손과 선수학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학습 진행의 주체자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 PDF

A Design of Web Math-instruction-model for Self 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기반 수학학습모델 개발)

  • 김현일;허정원;김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78-680
    • /
    • 2000
  • 교육은 학습자의 타고난 재능을 최대한 계발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개인에 최적화된 학습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준별, 개인별 수학학습을 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키울 수 있는 시스템을 web상에서 개발하여 구현하고자 한다. 기존의 Web에서 제공되는 수학학습을 살펴보면 텍스트 위주의 설명, 단순한 문제를 제공하고 정, 오답의 결과만을 제시해 주는 형태가 많다. 그러나 본 시스템은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동영상과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내용을 전개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평가문항은 진단평가를 통해 수준을 분석받고 수준별 평가 문항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제공으로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키고 수준별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 성취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는 이 시스템을 통해 스스로 학습을 선택하고 진행하게 되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키게 된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arner Estimation System for Leveled Learning (수준별 학습을 위한 학습자 평가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 박용출;피수영;정환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492-497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교사 주도적이고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준별 학습평가시스템을 제안한다. 수준별 학습을 위한 교육평가의 문항분석에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평가문항을 수준별로 분류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문제를 선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개인차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개별 학습지도를 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 PDF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in Medical School (의과대학의 학습경험 중심 전문직업성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 Yoo, Hyo Hyun;Kim, Young J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
    • /
    • pp.164-172
    • /
    • 2018
  • This study explores how to implement a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for a medical students and evaluates its program through effectiveness and usability test.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perience-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level. Seventy four first-year medical students enrolled in PDS1(Patient-Doctor-Society 1): professionalism, one-week block (30 hours), one-credit program based on a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All of the students were given six learning themes and learning resources and supporting tools, and conducted stepwise learning activities; preparation, organization, sharing, reflection and evaluation of experiences.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 results of student's self-assessment on 24 questionnaire items about professionalism. After the course, the students and instructors conducted a usability evaluation of the program through questionnaires or group interviews. Learners' self-assessment results of professionalism such as 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social accountability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atisfaction of the program was distributed to 3.58~3.78 according to items. Instructors and learner interviews confirmed practical usability throughout the course design, implementation and students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in medical school.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develope and evaluate the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in medical education.

A study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hat used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and prediction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및 예측 수행평가 시스템 연구)

  • Kim, Hyun-Jeong;Choi, Jin-Seek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677-678
    • /
    • 2008
  • 이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과의 수행평가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 및 예측하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업성취도의 평가는 루브릭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행평가의 채점을 논리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으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별 학업성취도를 측정 준거 별로 그래프로 표현하며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향후 점수를 예측하였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평가 결과 그래프로 현재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예측 결과로 자신의 학습의 준거 별 장 단점을 분석하여 학습 방향 및 학습시간에 대한 자기 성찰에 도움을 주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Learning Evaluation System in Remote Education (원격교육에서의 학습 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Jeong-Won;Park, Seu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89-1392
    • /
    • 2007
  •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이버학습, 원격교육 등 많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체 발전에 비해 원격 교육으로 인한 학습자의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다. 원격 교육의 경우 매체의 특성상 학습자의 편리, 시공간적인 제약의 극복 등 많은 긍정적 효과들을 바탕으로 자기주도 학습을 가능하게 하지만, 모니터링 기능의 부재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이 어려워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 진다. 원격교육에서 학습자의 성실한 학습태도는 학습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원격 학습자가 학습 컨텐츠를 수강하기 시작하여 마치기까지 모니터링 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도와 성취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격 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 태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분석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학습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and Examinations Assessment Methods by Using Membership Function and Fuzzy Logic (소속 함수와 퍼지 논리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과 시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정회인;강인주;노영욱;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741-74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능력을 조절하고 학습 내용과 시험 평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 및 시험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 및 시험평가 방법은 삼각형 타입의 소속 함수와 퍼지 논리를 이용하여 학습 능력과 시험 능력의 소속도를 계산하고 각각에 대해 퍼지 등급도를 부여하였다. 학습 능력의 소속도와 시험 능력의 소속도에 대해서 퍼지 관계의 연산 및 합성에 의해 최종 소속도를 계산하고 퍼지 등급도를 결정하여 학습자가 학습 능력의 소속도와 시험 능력의 소속도 및 최종 퍼지 등급도를 분석하여 스스로 학습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연구 내용을 정보 검색사 필기 과목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