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자 성취도

검색결과 820건 처리시간 0.025초

학습자중심 소통 강화 스페인어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anish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on Strengthening Learner-centered Communication)

  • 강필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443-44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 스페인어 과정 속에서 의사소통을 통해 소통 강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문제기반학습 교수 학습방법으로 학업성취도와 협동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했다. A대학에서 2021년 9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스페인어를 교양으로 수강하는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중심 문제기반 교수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과 전통적 방식으로 수업을 실시한 통제반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 및 실험반의 사전사후 협동능력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하위영역이 의사소통 영역에서로 유의미한 결과, 0.031(*p<.05)로 나타났다. 실험반의 협동능력에 관한 사전 사후 비교 결과 평균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문제기반학습에 있어서 협동능력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학습자 중심의 문제기반 학습활동은 분명히 전통적인 수업방식보다 스페인어 학습자들에게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는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습자중심 융합교수법으로 스페인어 소통 강화에 적합한 교수법 개발과 교수학습 모델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는 21세기가 원하는 인재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식 기반 교육컨테츠 저작시스템 (Knowledge Based Authoring System for Educational Contents)

  • 장재경;김호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7-65
    • /
    • 2004
  • e-Learning 에서 교수-학습자들 간에 형성되는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수행할 목적으로 교수자들이 교수 설계 이론에 따른 다양한 강의틀에 교육 컨텐츠를 보다 쉽게 저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SCORM 표준에 따라 학습객체 간 관계를 설정하여 저작된 컨텐츠는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개념화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시맨틱 웹의 RDF를 적용하여 학습객체 간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지식맵을 구성하였고, 교수자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단어를 등록하여 일종의 어휘사전을 만들 수 있는 온톨로지를 도입하였다. 학습자의 이해도와 성취도를 고려한 개별학습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입된 상호작용점을 따라 학습자마다 개별적인 학습맵이 구성되어 학생 개인의 학습활동과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다.

  • PDF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Naver Band)

  • 김세영;윤성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695-706
    • /
    • 2016
  •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 학습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네이버 밴드 기반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정의적 학습성과 지표인 만족도와 인지적 학습성과 지표인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H대학교 학부생 70명을 4명씩 18개 팀으로 나누어 6주간 네이버 밴드를 활용해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단계를 마칠 때마다 팀별로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프로젝트 종료 후에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만족도에 대한 개별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팀별 성찰일지에서 네이버 밴드에 대한 생각을 기술한 내용들을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만족도와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지각된 유용성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들의 진술을 통해 네이버 밴드의 구체적인 장점들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 네이버 밴드를 활용하는 것의 장점과 가능성을 바탕으로, 팀 프로젝트 학습 운영을 위한 매체 활용 전략을 논의하였다.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아바타 활용 수업 개발 (Effects of Avata on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 이중환;박병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61-470
    • /
    • 2004
  •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활용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많은 사이트들이 제공하는 아바타는 강한 동기 부여와 만족감을 형성해줌으로서 성인이나 청소년들에게도 모두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스스로 꾸밀 수 있는 호감 가는 아바타를 활용한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학습에 활용해 봄으로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어, 수학, 사회, 과학의 각 교과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동료 에이전트가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eer Agent on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Programming Education)

  • 한건우;이은경;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43-5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래밍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동료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실제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하여 동료 에이전트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학습자와 에이전트 사이의 역할을 동료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Tutor와 Tutee로 정의하고, 에이전트가 학습자의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학습자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동료 에이전트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이나 학습내용을 제공한다. 개발된 동료 에이전트 시스템을 실제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료 에이전트 학습 시스템이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과 더불어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몰입형 가상현실 영어 회화 학습이 언어불안감과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English Conversations on Language Anxiety and Learning Achievement)

  • 정지연;정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21-3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사용한 영어 회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몰입형 가상현실과 모바일 기기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학습자는 가상 캐릭터와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회화 패턴을 9 개의 에피소드에 걸쳐 학습하였다. 학습을 시작하기 전(사전)과 모든 학습을 마친 뒤(사후)의 언어불안감을 비교한 결과, 언어불안감은 몰입형 가상현실과 모바일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언어불안감이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학습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 에피소드에서 회화 패턴을 학습하기 이전의 반응(1단계)과 가상 캐릭터와의 회화 학습이 일어난 후의 문장(4단계)을 문장 길이, 적절성 및 정확성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조건 모두 1단계보다 4단계에서 문장 길이, 적절성,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그 중 문장 길이는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더욱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몰입형 가상현실이 학습자가 영어 회화 학습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언어불안감 감소 및 회화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PBL 기반 PSC-Note를 적용한 온라인 학습 효과 (On-line Learning Effect Applying PBL-based PSC-Note)

  • 김화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3-455
    • /
    • 2021
  •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온라인학습은 선택이 아닌 필수 학습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수동적인 동영상 시청에 의지한 온라인 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력 저하 및 낮은 학습 성취도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PBL 교수법에 PSC-Note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학습 성취도를 높이고자 한다.

  • PDF

하이퍼텍스트 유형과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ypertext Structure and Self-Direction on Learning Performance)

  • 박정환;양은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81-193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퍼텍스트 유형과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H시 소재 H고등학교 1학년 2학급 69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검사를 실시하여 평균점수 이상을 얻은 학생을 자기주도성이 높은 집단으로, 그 미만을 얻은 학생을 자기주도성이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실험처치를 하였다. 연구 결과, 하이퍼텍스트 유형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이퍼텍스트 유형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이루어져 지속적인 학습효과를 검증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기주도성 이외의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연구와 컴퓨터일반 교과 외 다양한 학습내용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FL 학습자의 자기이론: 한국과 파키스탄 비교연구 (Role of Self-Theories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Pakistani Students)

  • 아지즈 무다사르;신태섭
    • 비교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1-1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EFL)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자기이론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한국과 파키스탄 학생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자기이론이란 자신의 능력을 생득적으로 타고난 고정된 것으로 인식하거나 자신의 능력은 노력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믿는 학습자의 신념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및 파키스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능에 대한 자기이론과 영어에 대한 자기이론을 자기보고 방식과 비네트(Vignette)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자기 이론이 학생들이 보고한 일반적 학업성취도와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두 국가 대학생들의 자기이론을 비교한 결과, 지능 및 영어능력에 대한 자기이론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국가 대학생들의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지능 및 영어에 대한 자기이론이 학생들의 일반적 학업성취도와 영어 학업성취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지능과 관련하여 연구된 자기이론을 외국어로서의 영어 학습 상황까지 확장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과 파키스탄 대학생들을 비교함으로써 문화권과 상관없이 자기이론이 외국어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