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법

Search Result 1,93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utomatic Text Classification Using Hybrid Multiple Model Schemes (하이브리드 다중 모델 학습 기법을 이용한 자동 문서 분류)

  • 명순희;조형근;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253-25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모델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문서 자동 분류의 성능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와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기존의 다중 모텔 기계 학습법들이 훈련 데이터 또는 학습 알고리즘의 편향에 의한 오류를 극복하고 한 것들인데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메타 학습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다중 모델 방식은 이 두 가지의 오류 원인을 동시에 해소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문서 집합에 대한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하이브리드 다중 모델 학습법이 전반적으로 기존의 일반 다중모델 학습법들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다중 모델의 결합 방식으로서 메타 학습이 투표 방식에 비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개방형 학습법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Jeon, Pyeong-Guk;Mun, Jeom-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231-243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개방형 학습법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수학 교수-학습법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한 반은 실험집단으로 하고 다른 반은 비교집단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개방형 학습법에 의한 수업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수업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로서, 오직 답이 하나로 제한되고 닫힌 통상적인 문제가 아니라 결과가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 문제상황을 제재로 하여 거기에 내재하는 결과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개방형 학습법에 의한 수업이 일반적인 수업보다 수학적 창의력 향상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며, 수학적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에서 남 ${\cdot}$ 여간에 차이가 없이 남과 여 집단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on LIS Education: Focused on Students'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 Han,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3
    • /
    • pp.81-10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urse with project-based teaming method for LIS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method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LIS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quasi-experimental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 LIS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LIS undergraduate students.

Case study on coaching-based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H University (Coaching학습법을 활용한 대학 수학 교육 사례 연구: H대학교를 중심으로)

  • Choi, Wonyoung;Kim, H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7 no.2
    • /
    • pp.193-205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aching based on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Those in the coaching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ose in the non-coaching group. In addition, the coaching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for those with poor academic performance or women than those with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or men respectively. Due to limitations on survey time and number of respondents, it is difficult to draw a general conclusion about the effect of coaching in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Still,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udy applies coaching as a method to teach students university mathematics for the first time and the results are in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on other subjects.

  • PDF

Integrating Multiple Classifiers in a GA-based Inductive Learning Environment (유전 알고리즘 기반 귀납적 학습 환경에서 분류기의 통합)

  • Kim, Y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3
    • /
    • pp.614-621
    • /
    • 2006
  • We have implemented a multiclassifier learning approach in a GA-based induc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learns classification rules that are similar to rules used in PROSPECTOR. In the multiclassifier learning approach, a classification system is constructed with several classifiers that are obtained by running a GA-based learning system several times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a classification system. To implement the multiclassifier learning approach, we need a decision-making scheme that can draw a decision using multiple classifier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wo decision-making schemes: one is based on combining posterior odds given by classifiers to each class and the other one is a voting scheme based on ranking assigned to each class by classifiers. We also present empirical results that evaluate the effect of the multiclassifier learning approach on the GA-based inductive teaming environment.

Fault Diagnosis using Neural Network by Tabu Search Learning Algorithm (Tabu 탐색학습알고리즘에 의한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결함진단)

  • 양보석;신광재;최원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280-283
    • /
    • 1995
  • 계층형 신경회로망은 학습능력이나 비선형사상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 특징을 이용하여 패턴인식이나 동정 및 제어 등에의 적용이 시도되어 성과를 올리고 있다. 현재, 그 학습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 역전파학습법으로 최급 강하법이나 공액경사법 등의 최적화 방법이 적용되고 있지만, 학습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점, 국소적 최적해(local minima)에 해의 수렴이 이루어져 오차가 충분히 작게 되지 않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u에 의해 고안된 random 탐색법과 조합된 random tabu 탐색법으로 최적결합계수를 구하는 학습알고리즘으로, 국소적 최적해에 수렴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렴정도를 개선하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회전기계의 이상진동진단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오차역전파법에 의한 진단결과와 비교검토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blem-solving learning method(WCSNA) based online learning system (문제해결 학습법(WCSNA) 기반 온라인 학습시스템 개발 및 응용)

  • Hong, Hee-d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4
    • /
    • pp.39-44
    • /
    • 2022
  • Mathematics franchise education companies are developing various online learning systems to provide on-off integrated education to learners. Most online learning systems deliver one-way lecture content to learners and perform quantit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for learning results. However, each learner has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 competencies, and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exactly where the level of understanding fell when solving a math method. and based on this, establish an online learning system to discover the weak points of learners and propose an effective learner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developed learning method and system, it is expected to cultivate balanced problem-solving ability for learners and provide differentiated brand image and counseling service to franchise compani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Integrated Type' teaching method for Adult Learners (Adult Learners를 위한 'Integrated Type' 교수법 적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Cho, Woo-Hong;Jang, Young-Eun;Byon, Kil-Hee;Yun, K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81-18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 교과과정 '융합형'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 특성에 맞는 수업방법을 적용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교수법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4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융합형' 교수법 적용 탐색, 2차 교수법 적용 지도법 논의, 3차 교수법 적용 및 보완, 4차 학습자 만족도 조사 및 분석 체계로 이루어졌으며, '융합형' 교수법 적용으로 아동(보육) 관련 교과목, 청소년 관련 교과목 위주의 공통 융합지도(하브루타 교수법, PBL 교수법)가 담당교수 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융합형 교수법'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현장연계 교과목 수업에 연계(아동,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는 (토론회, 공청회) 등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자료, 기술, 기법을 통해 학습자의 동기유발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non-face-to-face 5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pplying extended reality (XR)

  • Lee, Byong-Kwon;Lee, Kyoung-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9
    • /
    • pp.125-132
    • /
    • 2021
  • At a time when non-face-to-face classes are being held for a long time due to Corona (COVD-19), research on non-face-to-fa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s needed. Exis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limited in their application to non-face-to-face classes as they present face-to-face practical and experiential teaching methods. In this study, we present a method of utilizing the extended reality (XR: eXtended Reality) technology for the 5AL (5 Activity Learning) teaching method, which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lected by the Institute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e 5AL teaching method consists of PBL Learning, Havruta Learning, Flipped Learning, Smart Activity Learning, and Gamification Learning. In this study, a method of combining the released extended reality contents with 5AL was presented. In addition, we developed content that integrates the 5 learning methods of 5AL and confirmed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esting.

A Study on the Project Learning for The Game Developers (게임 개발자 양성의 프로젝트학습 연구)

  • Oh, Hyou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99-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게임 교육기관의 개발자 양성에 있어 프로젝트 학습법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교육에 있어 프로젝트 학습법의 기본 개념정리와 함께 이에 대한 궁극적인 목표, 운영과정과 활용에 대하여 선행이론을 검토하고 긍정적 효과와 유의점 등을 살펴보았다. 사례로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게임콘텐츠스쿨의 프로젝트 운영과정과 이에 대한 성과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동시에 한계점을 밝혔다. 미래사회의 다양성과 변화를 대비하는 측면에서의 교육 방향이자, 게임 개발자 인재육성에 가장 효율적인 학습법이 프로젝트 학습법임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 견고한 분석과 점검을 통해 한계점을 극복하고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서 학습자 중심의 미래형 인재 육성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