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노드

Search Result 32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Proposed Self-Generation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for Image Recognition (영상 인식을 위한 제안된 자가 생성 지도 학습 알고리즘)

  • 이혜현;류재욱;조아현;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26-230
    • /
    • 2001
  •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영상 인식에 적용한 경우 은닉층의 노드 수를 경험적으로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의 은닉층 노드 수를 동적으로 설정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RT1을 수정하여 지도 학습 방법과 결합한 자가 생성 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콘테이너 영상의 문자 및 숫자 인식 문제에 적용하여 기존의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과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된 자가 생성 지도 학습알고리즘이 기존의 오류 역전과 알고리즘보다 지역 최소화에 빠질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 학습 시간과 수렴성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상 인식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 PDF

GCS algorithm for efficient learning in ECG classification by unsupervised ANN (비교사 신경망을 통한 심전도 진단의 효율적 학습을 위한 GCS 알고리즘)

  • Oh, Yeong-Jae;Lee, Chong-Ho;Kim, Tae-S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537-2539
    • /
    • 2004
  • SOM은 심전도 신호의 진단에 있어서 효과적인 Clustering을 해주는 신경망이라는 것을 몇몇의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1] 하지만 출력노드의 크기를 임의로 지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일반적으로 출력층의 크기가 클수록 진단결과는 좋지만 인간시간은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진단능력과 학습속도 사이의 균형에 관련된 문제가 대두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기존의 SOM 신경망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GCS(Growing Cell Structures)를 이용한 심전도의 학습속도와 분류능력 사이의 효율성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이 방범은 GCS를 이용하여 적절한 노드의 수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이용한 심전도 진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SOM이 할 수 없었던 자체적인 출력노드의 증감을 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출력노드의 감소로 인해 연산량이 줄어 학습시간의 효율성이 증가하였다.

  • PDF

Improving Embedding Model for Triple Knowledge Graph Using Neighborliness Vector (인접성 벡터를 이용한 트리플 지식 그래프의 임베딩 모델 개선)

  • Cho, Sae-rom;Kim, Han-jo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6 no.3
    • /
    • pp.67-80
    • /
    • 2021
  • The node embedding technique for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obtaining good quality results in graph mining. Until now, representative node embedd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for homogeneous graph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learn knowledge graphs with unique meanings for each edge. To resolve this problem, the conventional Triple2Vec technique builds an embedding model by learning a triple graph having a node pair and an edge of the knowledge graph as one node. However, the Triple2 Vec embedding model has limitations in improving performance because it cal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iple nodes as a simple measu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feature extraction technique based on a grap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o improve the Triple2Vec embedding model.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neighborliness vector of the triple graph and learns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nodes for each node in the triple graph. We proves that the embedding model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existing Triple2Vec model through category classification experiments using DBLP, DBpedia, and IMDB datasets.

Hidden Node Pruning of Multilayer Perceptrons (다층퍼셉트론의 중간층 노드 수 축소 방법)

  • Oh,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4
    • /
    • 2010
  • 다층퍼셉트론의 구조를 결정할 때 중간층 노드 수를 정하는 부분이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처음에 중간층 노드수를 임의로 크게 설정한 다음, 학습의 진행에 따라 중간층 노드 수를 축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중간층 노드들 간의 상관관계를 활용한 방법으로 이전의 방법들보다 훨씬 간단하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Optimal Neural Network structural BPN based on character value of Hidden node (은닉노드의 특징 값을 기반으로 한 최적신경망 구조의 BPN성능분석)

  • 강경아;이기준;정채영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5 no.2
    • /
    • pp.30-36
    • /
    • 2000
  • The hidden node plays a role of the functional units that classifies the features of input pattern in the given question. Therefore, a neural network that consists of the number of a suitable optimum hidden node has be on the rise as a factor that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a resul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decides the number of hidden nodes based on back-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 If the number of hidden nodes is designated very small perfect learning is not done because the input pattern given cannot be classified enough. On the other hand, if designated a lot, overfitting occurs due to the unnecessary execution of operation and extravagance of memory point. So, the recognition rate is been law and the generality is falle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hat decides the number of neural network node with feature information consisted of the parameter of learning algorithm. It excludes a node in the Pruning target, that has a maximum value among the feature value obtained and compares the average of the rest of hidden node feature value with the feature value of each hidden node, and then would like to improve the learning speed of neural network deciding the optimum structure of the multi-layer neural network as pruning the hidden node that has the feature value smaller than the average.

  • PDF

Automatic Segmentation of Positive Nuclei and Negative Nuclei on Color Breast Carcinoma Cell Image Using Texture Feature and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칼라 유방암조직영상에서 질감 특성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양성세포핵과 음성세포핵의 자동 분할)

  • 최현주;허민권;최흥국;김상균;최항묵;박세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422-42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질감 특징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유방암조직영상의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신경회로망의 입력 노드에 사용될 질감 특징을 얻기 위해 10개의 영상에 대해 각 영역(양성세포핵, 음성세포핵, 배경)에서 10개씩의 화소를 선택하고, 그 화소를 중심으로 하는 5$\times$5 영역 30개를 획득, 총 300개의 영역에 대해 R, G, B 각각의 밴드에서 18개의 질감특징을 추출한다. 54개의 입력노드, 28개의 은닉노드, 3개의 출력노드의 구조를 가진 신경회로망을 구성하고,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경회로망을 최대오차율이 10-3보다 작을 때까지 학습시킨다. 학습에 의해 획득되어진 분류기를 이용하여 유방암 조직 세포영상을 양성세포핵, 음성세포핵, 배경부분으로 자동 분할한다.

  • PDF

Saliency Detection Based on Semi-Supervised Learning (준 지도 학습에 기반한 중요 객체 검출 방법)

  • Hwang, Insung;Lee, Sang Hwa;Park, Jae Sung;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169-17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준 지도 학습에 기반한 중요 객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색상과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분할한 후, 분할된 영역을 색상의 유사도로 연결하여 그래프를 만든다. 둘째, 색 대비 및 가장자리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중요 객체에 해당하는 씨앗 노드와 배경에 해당하는 씨앗 노드를 추출한다. 끝으로, 중요 객체 및 배경 씨앗 노드를 이용하여 준 지도학습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이미지 전체 노드의 중요도를 계산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최신의 다른 알고리즘보다 높은 재현율 구간에서 높은 정밀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도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Reducing the Number of Hidden Nodes in MLP using the Vertex of Hidden Layer's Hypercube (은닉층 다차원공간의 Vertex를 이용한 MLP의 은닉 노드 축소방법)

  • 곽영태;이영직;권오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4 no.9B
    • /
    • pp.1775-1784
    • /
    • 1999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removing unnecessary hidden nodes by a new cost function that evaluates the variance and the mean of hidden node outputs during training. The proposed cost function makes necessary hidden nodes be activated and unnecessary hidden nodes be constants. We can remove the constant hidden nodes without performance degradation. Using the CEDAR handwritten digit recognition, we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move the number of hidden nodes up to 37.2%, with higher recognition rate and shorter learning time.

  • PDF

Clustering with Adaptive weighting of Context-aware Linear regression (상황인식기반 선형회귀의 적응적 가중치를 적용한 클러스터링)

  • Lee, K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271-273
    • /
    • 2021
  • 본 논문은 이동노드의 클러스터링내에서 보다 효율적인클러스터링을 제공하고 유지하기위한 딥러닝의 선형회귀적 적응적 보정가중치에 따른 군집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클러스터링 군집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 상호관계에 따른 분류체계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이웃한 이동노드중 목적노드와는 연결가능성이 가장높은 이동노드를 클러스터내에서 중계노드로 선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정보를 이해하고 동적이동노드간 속도와 방향속성정보간의 상관관계의 친밀도를 고려한 자율학습기반의 회귀적 모델에서 적응적 가중치에 따른 분류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정보를 이해하고 클러스터링을 유지할 수 있는 자율학습기반의 적응적 가중치에 따른 딥러닝 모델을 제시 한다.

  • PDF

On the set up to the Number of Hidden Node of Adaptive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적응 역전파 신경회로망의 은닉 층 노드 수 설정에 관한 연구)

  • Hong, Bong-Wha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5 no.2
    • /
    • pp.55-67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n adaptive back propagation algorithm that update the learning parameter by the generated error, adaptively and varies the number of hidden layer node. This algorithm is expected to escaping from the local minimum and make the best environment for convergence to be change the number of hidden layer node. On the simulation tested this algorithm on two learning pattern. One was exclusive-OR learning and the other was $7{\times}5$ dot alphabetic font learning. In both examples, the probability of becoming trapped in local minimum was reduce. Furthermore, in alphabetic font learning, the neural network enhanced to learning efficient about 41.56%~58.28% for the conventional back propagation. and HNAD(Hidden Node Adding and Deleting) algorith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