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술 정보서비스

Search Result 12,893, Processing Time 0.178 seconds

A Study on the Service Features for Next Generation Open Access Journals (오픈액세스 학술지의 차세대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 Choi, Sang-Hee;Choi, Seon-He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7 no.4
    • /
    • pp.89-107
    • /
    • 2010
  • Open access journal has been one of the major academic information sources for researcherscharacterizing itself as free resource. Recently, as competition among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provides becomes intense, open access journal also needs to enhance its service and expand information service functi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service features for next generation service of open access journals by analyzing service features of leading journal database services. As a result, four service features are suggested such as journal article components and multimedia features, expanded searching features, social service features and mobile information service.

A Case Study on Journal Article Visualization Service (학술정보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시각화 적용 사례 연구)

  • Cho, Sung-Nam;Seo, Tae-Sul;Park, Sun-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973-976
    • /
    • 2015
  •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학술적 정보 서비스도 서지 정보 위주에서 디지털화를 통해 단순 문자 서비스에서 여러 전자적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다. 최근에는 학술정보 서비스의 다양화 및 정보 전달 제고와 이용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학술정보 시각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학술지 정보가 XML로 출판되면서 XML 데이터 가공을 통해 시각화 서비스가 한층 수월하게 되었다. 국내 XML 기반 학술지 원문을 서비스하는 KPubS 사이트에 대한 학술정보 시각화 기법을 적용한 사례 연구를 통해 학술정보 서비스의 다양성 및 품질 제고뿐만 아니라 향후 XML 데이터 기반 시각화 서비스 활성화 및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cademy Information Analysis Service using OntoFrame (OntoFrame 기반 학술정보 분석 서비스 - 심사자 추천과 연구성과 분석 -)

  • Kim, Pyung;Lee, Seungwoo;Kang, Insu;Jung, Hanmin;Lee, Jungyeoun;Sung, Won-K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76-83
    • /
    • 2007
  • 학술정보 분석 서비스는 학술정보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연구과제의 심사자 선정과 연구자의 연구성과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이다. 연구과제의 심사자 추천 서비스에서는 피심사자와 심사자의 관계, 평가자의 전문도 및 전문 분야가 사용되며, 연구성과 분석 서비스에서는 분야별/기관별 연구성과물 현황, 분야별 전문가 현황, 연구자 네트워크 등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정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학술정보를 온톨로지로 구축하였고, OntoFrame 기반의 추론 시스템을 적용하여 학술정보를 저장 및 확장한 후 심사자 추천 서비스와 연구성과 분석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학술정보 온톨로지의 구성과 OntoFrame 기반의 학술정보 시스템의 구성 및 서비스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학술정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rough Repeated Usability Tests (반복적 사용성 평가를 통한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구현)

  • Jung, Han-Min;Lee, Mi-Kyung;Sung, Wo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33-238
    • /
    • 2007
  • 학술연구정보 서비스는 연구자의 연구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서비스이다. 그렇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아직까지 학술연구정보 서비스에 대한 심도 깊은 사용성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OntoFrame이라는 시맨틱 웹 기술 기반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구현 과정에서 반복적인 사용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어떻게 서비스가 효용성과 사용성을 갖추어가는 지를 실증함으로써 사용성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사용성 평가 목표에 따라 서비스 시안(Mock-up)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자 인터뷰 중심의 1차 사용성 평가와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술연구 정보 서비스간 비교 평가 중심의 2차 사용성 평가를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성 관련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도출할 수 있었다. 사용성 평가는 매 구현 단계마다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본 학술연구정보 서비스의 사용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 PDF

Study on Scholarly Information Visualization for Improving Communication Efficiency (정보 전달 효율 향상을 위한 학술정보 시각화에 관한 연구)

  • Seo, Tae-sul;Cho, Se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1-212
    • /
    • 2015
  • 정보의 홍수 시대에 사는 인터넷 이용자들은 많은 정보 중에서 자기가 원하는 정보만을 빠르게 찾아내고자 한다. 학술지의 경우는 대부분 문자로 서비스되고 있는데, 이를 시각화하여 서비스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가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학술지 논문 기사 원문 전체가 XML로 구축되는 양이 늘어나고 있어서, XML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술정보의 시각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정보를 시각화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고 학술정보 시각화 서비스 방안을 마련한다.

  • PDF

DOI Registration Service to Enhance Life Cycle of Scholarly Activities (학술활동 생명주기 지원을 위한 DOI 등록관리 서비스)

  • Shin, Jinseop;Park, Jaewon;Choi,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37-539
    • /
    • 2017
  • 학술활동 생명주기는 저자, 학술단체 및 정보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 논문투고, 심사, 출판,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보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생명주기 단계별로 학술단체들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도구들을 이용해 저자와 심사위원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돕고 있으며, 정보서비스 제공기관들은 출판된 학술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단계들에 표준식별체계를 적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해 주면 생명주기 활동에 들어가는 전체적인 시간, 노력,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이 발표에서는 학술활동 생명주기의 이해당사자들의 요구를 전반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DOI등록 관리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서 논한다.

The Academic Information Analysis Service using OntoFrame - Recommendation of Reviewers and Analysis of Researchers' Accomplishments - (OntoFrame 기반 학술정보 분석 서비스 - 심사자 추천과 연구성과 분석 -)

  • Kim, Pyung;Lee, Seung-Woo;Kang, In-Su;Jung, Han-Min;Lee, Jung-Yeoun;Sung, Won-Ky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7
    • /
    • pp.431-441
    • /
    • 2008
  • The academic information analysis service is including automatic recommendation of reviewers and analysis of researchers' accomplishments. The service of recommendation of reviewers should be processed in a transparent, fair and accountable way. When selecting reviewers, the following information must be considered: subject of project, reviewer's maj or, expertness of reviewer, relationship between applicant and reviewer. The analysis service of researchers' accomplishments is providing statistic information of researcher, institution and location based on accomplishments including book, article, patent, report and work of art. In order to support these services, we designed ontology for academic information, converted legacy data to RDF triples, expanded knowledge appropriate to services using OntoFrame. OntoFrame is service framework which includes ontology, reasoning engine, triple store. In our study, we propose the design methodology of ontology and service system for academic information based on OntoFrame. And then we explain the components of service system, processing steps of automatic recommendation of reviewers and analysis of researchers' accomplishments.

Development of STI Service Strategies for Supporting R&D Knowledge Activities (지식활동 지원을 위한 학술정보서비스 개발 전략)

  • Shim, Hyoung-Seop;Choi, Hee-Seok;Park, Ji-Young;Youn, Hyo-Hun;You, Beom-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642-1643
    • /
    • 2015
  • 기존의 학술정보서비스는 서지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원문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학술정보서비스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구자들의 연구활동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학술정보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Big Data, IoT 등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한 학술정보서비스 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Similar Documents and Related Researcher Retrieval Method (유서문서 및 관련연구자 검색 방법)

  • Han, He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6-9
    • /
    • 2010
  • 학술정보 이용자는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검색서비스를 이용한다. 대부분의 웹 이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수많은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여 시스템에 요청하고 선별된 정보 리스트들을 탐색하고 정보획득의 최종 목적지로써 해당 정보의 상세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논문 및 특허 정보를 제공하는 학술정보서비스의 경우 이용자의 최종 목적지는 한 건의 상세 메타정보 혹은 원문이 되는데, 이 때 이용중인 정보와 유사한 다른 유형의 학술정보 및 관련 연구 분야의 연구자 제공 서비스는 이용자의 정보획득 요구를 쉽게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NDSL(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서비스) 의 경우 동일 DB내에서의 유사문서 검색기능(논문검색에서는 유사논문 제공, 특허검색에서는 유사특허 제공)을 제공하지만 이는 이종 DB간 유사문서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수준이다. 본 논문에서는 논문, 특허, 연구보고서, 동향분석 자료를 포함한 학술정보 검색서비스에서 사용자 질의어와 검색엔진이 제공하는 검색 요소 및 부스팅(boosting) 기법을 이용한 이종 컨텐츠간 유사문서 리스트 및 관련 연구 분야의 연구자명 검색 서비스 기법에 대해 논한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학술정보를 서비스 최종 화면에서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반복되는 검색 및 탐색의 노력을 줄일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etaverse platform in the field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Shin, Jaemin;Han, Sangjun;Park,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634-635
    • /
    • 2022
  • COVID-19의 확산과 급속한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소통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게임이나 상용 시스템 위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적용은 요원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의 적용 형태와 지향범위에 따른 메타버스의 '증강현실, 일상기록, 미러월드, 가상세계' 등의 4가지 유형과 메타버스 플랫폼 주요 현황을 살펴보고, KISTI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학기술지식인프라 통합서비스 ScienceON과 연계하여 디지털 연구환경 조성과 개방형 협업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키온버스의 제공서비스 유형과 주요 기능 등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술정보서비스에 적용된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례로서 향후 메타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