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술회의자료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48초

197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강연회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6권5호통권48호
    • /
    • pp.33-33
    • /
    • 1973
  • 금번 과학주간을 맞아 각학회는 정기총회및 학술강연회를 가졌다. 주로 결산보고와 예산심의, 연구논문발표회등인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회의자료와 안내서가 미처 전달되지 못해 게재하지 못한 학회가 있음을 지면을 통해 사과드리며 각학회내의 동정과 소식을 알리기 위한 학회소식란을 많이 이용해주기 바란다.

  • PDF

쇽웨이브 기술을 이용한 유아의 감성교육을 위한 하이퍼미디어 컨텐츠 개발 (Development of Hypermidia Contents for Childrens′s Emotional Education Using Shockwawe Technology)

  • 우영효;이근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792-796
    • /
    • 2002
  • 새로운 교육적 매체로서의 인터넷과 웹은 이제 전통적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강고한 도전이 되고 있다. 정보화사회의 열려진 공간으로서의 인터넷은 우리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자발적이고 스스로의 학습 전략과 문제해결 대안을 찾아가는 발견적 학습이론과 구성주의이론에 의한 열린 학습환경을 지향해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정보화 과학화 합리화를 지향하는 사회와 학교의 흐름속에서 실제 상처받고 잊혀져 가는 부분이 학생들의 감성이나 태도와 관련된 영역들이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감성교육을 위한 보조자료로서의 동화 컨텐츠를 개발하여 유아들을 위한 감성교육의 자료를 축적하고자 한다.

  • PDF

2006년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량과 수질인자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Runoff and Water Quality Factor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 김동필;김성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65-869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설마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2006년의 신뢰성 있는 수문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유역의 유출거동에 따른 수질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시험유역에서는 10분 단위의 연속적인 우량 및 수위관측과 연간 30회 이상의 유량측정성과를 통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수질분석을 위한 시료는 유량측정시 전적비교, 사방교 지점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였다. 실험실에서 분석한 항목은 pH, DO, BOD, COD, T-N, T-P, SS로 총 7개 항목으로 수질측정은 우기가 시작된 시기인 7월에 집중적으로 측정 분석하였으며, 7월 이후에도 각 지점당 6회의 추가 측정으로 각각 22회의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2개 측정지점에 대하여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홍수기 및 갈수기로 기간을 구분하여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개 지점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BOD는 T-P와 SS, COD는 T-N과 SS가 공통적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적비교와 사방교의 유기물 농도가 SS와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적비교와 사방교간 홍수기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COD는 T-N, SS와 그리고 SS는 COD와 공히 상관관계가 높으며 갈수기도 COD와 SS의 상관관계가 같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인용 분석을 통한 학문간 회색문헌의 활용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Usability of Grey Literature among Sciences, Using Citation Analysis)

  • 조현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73-294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학문분야별 연구자들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참고하는 주요 정보원을 자료 형태별로, 그리고 7개 학문분야별로 비교. 분석해 보고 이 가운데 회색문헌에 대한 학문 분야별로 선호도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인용분석을 통하여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 연구자들의 회색문헌과 백색문헌에 대한 선호도가 분야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분야와 상관없이 국내에서 발간되는 국, 영문 학술지 사이에서도 그 선호도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동일한 분야 내에서 영문학술지와 국문학술지 사이에 인용된 문헌에 대한 회색문헌과 백색문헌의 두 집단 간에도 선호도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분야와 언어 변수를 통제한 후 자료 형태별로 편상관계수 값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회의록 자료와 기타자료 사이의 편상관계수 값이 타 형태의 자료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회의록 자료를 많이 인용한 논문은 기타자료도 동시에 인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TAL-2002를 이용한 학술정보의 관리를 위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of Academic Content Using KRISTAL-2002)

  • 김병규;강무영;최선희;박재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737-740
    • /
    • 2004
  • 과학기술 분야 학회에서 생산하고 있는 학술자료(학회지, 논문지 및 학술회의자료 등)를 수집, 가공하여 학술정보 DB를 구축하고, 정보이용자들이 원하는 학술정보를 언제 어디서든지 인터넷을 통해 서지사항은 물론 디지털 원문까지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학술정보 종합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과 타 기관의 상호대차 및 원문 교환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의 표준인 XML과 데이터의 저장관리와 빠른 검색을 제공하는 KISTI의 최신 IRMS인 KRISTAL-2002을 기반으로 하여 학술정보 관리를 연구하고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기고 - UIA 2017 서울대회의 성공적 학술회의 준비를 위한 제언 -제18차 ICOMOS 총회 및 학술대회 참가를 바탕으로 (feature - Recommendation for successful preparation for 2017 UIA World Congress in Seoul Scientifical symposium -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18th ICOMOS Assembly and the Scientifical symposium)

  • 조인숙
    • 건축사
    • /
    • 통권550호
    • /
    • pp.86-93
    • /
    • 2015
  • 2017 UIA 서울대회가 불과 2년 반 정도 후면 개최된다. 조직위원회가 차질 없이 잘 준비하고 있겠지만 대한건축사협회의 본질이 건축을 실무로 하는 사람들의 모임인지라 학술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다양한 참고자료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미약하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 글을 소개한다.

  • PDF

인공위성을 활용한 연안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Research on Monitoring System of Costal Environment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

  • 최민하;선우우연;김형록;이종혁;이재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6-256
    • /
    • 2015
  • 해양환경에 관한 정보는 효율적인 연안 해역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며, 해양환경요소에 대한 분석을 위해 현장 실측자료뿐 아니라 과거자료, 현재자료, 예측자료 등이 요구된다. 또한 연안환경 관리자뿐 아니라 해상관련 종사자, 어민 등이 해양환경 정보에 빠르게 쉽게 접근할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물에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물정보학(Hydroinformatics)이 크게 관심을 받고 있으며, 학술지 발간 및 학술회의 개최 등을 통해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연안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체계적인 연안환경 분석을 위해서는 방대한 시공간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시스템이 요구되므로 다양한 관측방법 적용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연안환경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국외의 연구사례들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연안환경에 적합한 위성을 조사함으로써 연안환경 분석과 관련하여 관측 가능한 인자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안환경 모니터링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인공위성 기법의 특징들을 이해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향후 서해안지역의 연안 환경 변화 탐지를 위한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한반도 연안환경분석을 위한 인공위성의 유용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 PDF

온라인 화상 회의 시스템의 몰입 개선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Metaverse Platform to Improve Immersion of Online Video Conferencing System)

  • 윤동언;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37
    • /
    • 2022
  • 줌(Zoom), 디스코드와 같은 온라인 화상 회의 시스템은 접근성이 좋고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주로 비대면 업무를 볼 때 쓰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화상 회의 시스템은 양방향 상호작용이 어려워, 이를 이용하는 참여자들에게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몰입의 부재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 공간 컴퓨팅의 발전과 함께 주목받게 된 메타버스는 청각과 시각, 촉각 정보를 활용하여 3차원 가상세계에서도 현실세계와 같이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온라인 화상 회의 시스템의 몰입 부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을 통해 플랫폼 이용자끼리 가상공간에서 서로의 업무 화면을 공유 및 확인하며, 다양한 자료를 교환할 수 있다. 참여자의 몰입 개선을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의 환경과 개선안을 구성하고, 기존 온라인 화상 회의 플랫폼과 비교하였다.

  • PDF

감염병 재난 시 예방 단계에서의 지자체 취약성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of Local Governments in the Prevention Stage in the Case of an Infectious disease Disaster)

  • 서경민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0-1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평시 또는 감염병 발생이전 지자체별 취약성 평가를 통해 감염병 발생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지표를 평가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코로나19 대처사항(각종 회의자료 및 보고자료 등), 선행연구 등을 기반으로 확산취약시설, 감염취약계층, 사회적 취약여건, 대응능력(보건·의료/재정적, 사회적 대응역량) 총 4개의 증감유형으로 분류한 후 세부 평가지표로 약 24개로 세부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취약성 평가 결과는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감염병 대응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독신여성들의 여가체험 이해 (Leisure Experiences of Unmarried Women)

  • 김이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297
    • /
    • 2007
  • 본 연구는 현재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마니아 계층인 독신여성들의 여가 실체를 규명하여 이들의 여가경험의 체험적 맥락과 특성들을 문화기술지 방법으로 규명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목적 샘플링 과정을 통하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회의 개별면담과 1회의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자료 수집을 위해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전사 작업, 코드화, 의미화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개개인의 익명성과 사생활 보호를 위해 노력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독신여성들은 여가를 '즐거움과 흥미' '해방감' 그리고 '자유로움'을 표출시키기 위한 도구이며, 삶을 긍정적으로 바꾸는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PDF